- 세종실록97권, 세종 24년 8월
-
- 황희·신개 등을 불러 함길도 도절제사를 천거하게 하고, 서북지방의 새 땅을 찾아보게 하다
- 예조와 병조에 전지하여 문과와 무과의 시험을 준비시키라고 하다
- 강원도 원주에 우박이 내려 벼를 상하게 하다
- 종정성이 보낸 사람들이 토산물을 바치다
- 예조에서 사역원 강이관을 권려하는 일을 기록하여 올리다
- 김익상·하복생·안철석·이승문을 각지에 보내 영전을 수즙하도록 하다
- 집의 이사철이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는 의견을 아뢰다
- 예조에서 문과의 응시자격에 대하여 아뢰다
- 사헌부와 이사철·정갑손·허사문·백효문의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는 상소문
- 고약해·홍사석·이맹진·김효성·김윤수·하한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남상정이 원종 공신의 자손들도 호종할 길을 열어 줄 것을 건의하다
- 대호군 김하가 요동에서 돌아오니 옷을 하사하다
- 병조에서 무과의 관시에 관하여 건의하다
- 정갑손·민건·허사문·백효삼 등이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는 의견을 아뢰다
- 성균관에서 별시의 응시자격에 대하여 건의하다
- 황해도 관찰사에게 병의 원인이라고 의심되는 해골을 모두 치우고 수륙재를 거행하게 하다
- 예조에 친시에 응시할 자격을 알려 주다
- 병조에서 해안 방위에 미진한 사항을 보충하여 건의하다
- 의정부에서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는 의견을 아뢰다
- 중들과 싸운 유생들도 응시한 뒤 치죄할 것을 집현전에서 건의하다
- 장령 민건이 응시 조건을 완화해서 선비를 시취하는 길을 넓힐 것을 건의하다
- 왕세자가 전시 때의 강경의 제술의 분수에 대하여 건의하다
- 유천군 변효순을 평양에 보내 태조의 수용을 봉영하다
- 병조에서 무과 관시 때의 시취 요건에 대하여 아뢰다
- 사헌부에서 입학 기한을 어긴 자들에게도 응시 허가를 내린 것에 반대하다
- 좌헌납 유지가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는 의견을 아뢰다
- 형조에 전지하여 응방에 소속될 수 있는 자격에 대하여 말하다
- 종정성이 보낸 11명이 토산물을 바치다
- 각도 관찰사와 개성부 유수로 하여금 백정의 잡역 상황을 보고하게 전지하다
- 의정부가 경기전·집경전·영숭전의 전직에 대하여 아뢰다
- 우헌납 윤사윤이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는 의견을 아뢰다
- 왕세자가 근정전에 나가 친히 추첨하여 응시자를 고강하였다
- 정원수에 들지 못한 무과 45인이 상언하다
- 왕세자가 근정전에 나와 과거 응시자의 강경을 고사하다
- 종부시로 하여금 종학에 입학한 종친을 고찰하고 그들이 학교에 나오도록 하다
- 병조에서 각 도와 진의 첨절제사와 만호를 삼을 사람을 확보할 것을 건의하다
- 경상 우도 처치사에게 왜적을 경계하되 수륙군사를 합번하여 방어하지 말도록 하다
- 근정문에 나아가 조회를 받고, 종무직이 보낸 사람들의 토산물을 받다.
- 권제·정인지·안지 등을 불러 과장의 강경하는 법을 의논하다
-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는 사간원의 상소문
- 형조에서 경주 죄수 승통을 율에 따라 처단할 것을 아뢰다
- 의정부가 북경에 가는 사신의 종사관 천망을 규율에 따라 거행할 것을 건의하다
- 주문사 이변이 칙서를 가지고 북경에서 돌아오다
- 성균 생원들이 의금부에 수금된 스승을 풀어달라고 상소하다
- 좌정언 여효온이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는 의견을 아뢰다
- 신개·권제 등이 찬술한 《고려사》를 올리다
- 이정녕을 함길도에 보내 태조의 어용을 봉영하다
- 친히 근정전에 나아가 책문을 과시하고 광화문 밖에 나아가 무과 시험을 보이다
- 임금이 광화문 밖에 나아가 무과 시험을 보이다
- 문과에서 이교연 등 8인을, 무과에서 박거겸 등 17인을 뽑다
- 이백강·하연·김종서·강석덕에게 명하여 헌릉에 가서 수즙의 상황을 살피게 하다
- 김덕생의 후사를 세워 그의 제사를 받드는 것에 대하여 의논하게 하다
- 의금부에서 최경신을 율에 따라 처벌하다
- 최사강을 통해 북경에 보낸 표문
- 진양 대군·안평 대군 등에게 명하여 헌릉에 나가 수즙하는 상황을 살피게 하다
- 의금부에서 유생과 교관의 죄를 계사하다
- 강녕전에서 연회를 열다
- 종성성이 사람을 보내 토산물을 바치다
- 사헌부에서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는 상소문
- 사헌부에서 파면당한 박근이 다시 경차관이 되는 것에 대하여 반대하다
- 병조에서 평안도의 곡식상황 조사와 의창의 환곡 방법에 대하여 건의하다
- 임금이 근정전에 나아가 문과 무과를 방방하다
- 함한과 이교연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구차숭과 이종목이 사조하니 그들을 인견하다
- 형조에서 평양 죄수 감장을 참형에 처하도록 아뢰다
- 청주 목사 이원증이 사조하니 인견하고 말하다
- 영돈녕으로 치사한 권홍의 아내에게 종이와 쌀 등을 치부하다
- 형조에서 화순 죄수 김정과 금음동을 참형에 처하도록 아뢰다
- 사간원에서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는 상소문
- 박중림·성득식·유지·윤사윤 등이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는 의견을 아뢰다
- 의정부가 김덕생의 제사를 받들 후사에 대하여 건의하다
- 종언칠과 종성국, 종정성이 사람을 보내 토산물을 바치다
- 의정부 좌참찬 황보인이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는 의견을 아뢰다
- 허후와 정갑손이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는 의견을 아뢰다
- 병조에서 평안도의 조명간성의 보수에 대하여 건의하다
- 좌찬성 하연과 좌참찬 황보인이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는 의견을 아뢰다
- 호조 판서 남지와 예조 판서 허후가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는 의견을 아뢰다
- 정갑손 등 대간이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는 의견을 거듭 아뢰다
- 병조에서 평안도 백성들이 도망가지 못하도록 금방령을 엄히 할 것을 건의하다
- 김정부가 왜인 9인을, 최완이 왜인 38인을 체포하다
- 근정전에서 양로연을 베풀다
- 사헌부와 사간원이 연명으로 상소하여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다
- 정갑손과 박중림 등이 관사의 문을 닫고 궐문을 지키면서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다
- 집현전 부제학 최만리의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는 상소문
- 벌이 등지에 사는 3인이 와서 토산물을 바치다
- 대궐 안의 부엉이가 운 곳에다 해괴제를 거행하는 일이 없도록 예조에게 명하다
- 망가의 문제를 가지고 함길도 도절제사에게 전지하다
- 중궁이 양로연을 베풀다
- 양궁이 금성 대군 이유의 집으로 거처를 옮기다
- 전라도 발려도에서 체포한 왜인을 돌려 보내며 종정성에게 보낸 공문
- 정갑손·박중림 등이 연명으로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리다
- 절을 창건하는 것을 금지하기 전에 경상도에서 절을 허는 것을 조사하도록 하다
- 의정부에서 형조의 첩정을 가지고 노비 수수를 금할 것을 아뢰다
- 장령 민건·우헌납 윤사윤 등이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는 의견을 아뢰다
- 진양 대군·안평 대군과 조서강에게 명하여 헌릉에 가서 수즙을 살피도록 하다
- 사헌부에서 절을 파과한 경상도의 감사·수령에 대한 추핵을 반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