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조실록31권, 순조 30년 9월
-
- 혼궁의 삭제를 행하다
- 이희갑·김양순·안광직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찬선 송치규, 공조 참의 오희상, 부호군 송계간 등을 조정에 불러들이다
- 전 포도 대장 이유수의 조사 등을 지시하다
- 의금부에서 김로의 정배 등을 아뢰다
- 홍기섭을 탄핵하는 상소는 사리에 맞지 않다는 점 등을 하교하다
- 사헌부에서 죄인 윤상도가 상소한 연원을 조사할 것을 아뢰다
- 사간원에서도 윤상도가 상소한 연원을 조사하자고 건의하다
- 양사에서 김로 등을 처벌하라는 하교에 글자를 첨가 삭제할 것을 건의하다
- 의관에 대한 청죄 등을 일체하지 말 것을 하교하다
- 의릉에 친제 등을 행하다
- 남공철·이상황·이광문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남공철·이상황에게 즉시 직을 맡을 것을 유시하다
- 형조 판서 이지연에게 공무를 집행할 것을 명하다
- 이지연의 추고 등을 명하다
- 이지연의 파직을 하교하다
- 양사에서 지돈녕부사 김노경의 처벌을 건의하다
- 전 형조 판서 이지연을 유임시키다
- 효녀인 부령 한량 최득성의 딸을 정려하다
- 영의정 남공철 등을 소견하다
- 책봉 의식 뒤의 서연을 고례대로 하라고 하다
- 옥당에서 김노경에 대한 조사를 청하다
- 왕세손을 책봉하다
- 죽책문의 내용
- 교명문의 내용
- 반교문의 내용
- 선원전에 전배하다
- 이헌구·홍석주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승정원에서 형조 판서 이지연의 추고를 건의하다
- 묵은 환곡 등을 견감하라고 지시하다
- 정사 남공철 등에게 시상 등을 하다
- 책저 경과 정시의 시행을 명하다
- 형조 판서 이지연의 석방 등을 지시하다
- 《선원보략》을 증수한 관리에게 시상 등을 하다
- 형조 판서 이지연을 나주 목사로 적보하다
- 홍석주를 형조 판서로 삼다
- 진전에서 다례를 행하다
- 유심춘을 돈녕부 도정으로 삼다
- 이광문을 형조 판서로 삼다
- 태묘 동향의 서계를 행하다
- 삼사에서 지돈녕부사 김노경의 처벌을 건의하다
- 영의정 남공철이 세손을 일찍이 가르치고 깨우치게 할 것을 건의하다
- 영의정 남공철 등이 김노경 등의 처벌 등을 건의하다
- 한성 좌윤 김기은 등을 정경으로 발탁하다
- 이광문을 반송사로 임명하다
- 봉조하 김이익이 죽다
- 혼궁을 문정전으로 이봉하다
- 삼사의 제신을 체임하다
- 김노경에 대한 처분을 내리겠다고 하다
- 박제일·박기수·이정신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