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숙종실록43권, 숙종 32년 2월
-
- 대사간 이야가 소로써 유득일을 배척하여 말하다
- 김창집을 우의정으로 승진시켜 임명하고 서종태를 좌의정으로 승진시키다
- 권상하 이하원 윤세기 박필명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판부사 이여가 축성과 관련해 사직하다
- 도제조 최석정이 도성의 역사를 중지하기를 청하다
- 고 상신 홍서봉 지사 임경업 부제학 신응시 등에게 시호를 내리다
- 윤지인·유술·이익한 이의현·박필명·이희무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필선 유태명·문학 이태좌 등을 여러 도에 보내어 암행하게 하다
- 이이명·이만견·유봉휘·심택현·정식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밤에 달무리가 목성을 두르다
- 대사간 이야와 정언 이익한이 병조 판서 유득일을 파직하기를 청하다
- 우의정 김창집이 연달아 상소하여 사직을 청하였으나 윤허하지 않다
- 예조 판서 이이명이 한영휘·이동언 등의 옥사에 있어 조사하기 어려운 점을 아뢰다
- 이정겸을 승지로 이탄을 교리로 삼다
- 최석정이 《여지승람》을 수정할 것을 청하다
- 유득일을 체차하라 명하다
- 황단 친제의 책축문과 섭행할 때의 축문을 사신으로 하여금 찬술하게 하다
- 한성부에서 산송 보수를 정하는 일을 대신에게 물어 의논하게 하다
- 지평 김일경이 패악한 부안 현감 김재를 사판에서 삭제하기를 청하다
- 지평 김일경이 전에 아뢴 5건의 일을 쾌히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로써 논계하다
- 정도복을 장령으로 삼다
- 춘천의 소양강과 인제의 단화천에 흐르는 물이 끊어졌으므로 도신이 알리다
- 장령 여필중이 권순은 개정하고 조이중은 파직하기를 청하다
- 황단의 예절을 대제학 등이 찬술하여 올리는 문제를 해조와 예문관으로 하여금 품처하게 하다
- 이명준을 지평으로 이만견을 겸 문학으로 삼다
- 예조 판서 이이명이 대보단제(大報壇祭)의 섭행하는 일로 아뢰다
- 종기가 자주 발생하여 초정에 목욕하려고 하나 중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