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조실록50권, 영조 15년 8월 2일 병자 1번째기사
1739년 청 건륭(乾隆) 4년
- 영조실록50권, 영조 15년 8월
-
- 영의정 이광좌가 민통수의 소에 대해 변명하여 서계하다
- 추향의 거행 때문에 사직에 나아가다
- 영의정 이광좌가 명소를 반납하니, 돈유하다
- 사단에 올라 제사를 거행하다
- 교리 김상석을 폄출하여 고산 찰방으로 삼다
- 자정전에서 병조 판서 조상경을 인견하여 능행할 때 군사의 수를 줄이도록 하다
- 대신과 비국 당상을 인견하고, 경기 감사 윤순을 체직하다
- 이수항·조원명·김유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예조 참의 오명신과 문학 조명리가 상소하였으나, 답을 내리지 않고 돌려주다
- 소대를 행하다. 《대학연의보》를 강독하다
- 함경 감사에게 하유하여 이재형 부자를 찾아보고 성의를 유시하게 하다
- 병조 판서 조상경을 면직하고 김응성으로 대신하다
- 정광제·조명리·조상경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경기 감사 서종옥에게 온릉에 갈 때에 민력을 번거롭게 하지 말 것 등을 하유하다
- 달이 남두성을 범하다
- 윤용·윤순·조상경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송인명이 숙신묘로 길을 낼 때 밭이 없는 곳으로 내도록 청하다
- 공홍 감사 윤경룡을 파직해 김성운으로 대신하고, 남태량을 호서 안핵사로 삼다
- 유척기·서종급·오수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고 상신 민진원·민통수와 원수가 된 사정과 무함받은 점을 변명한 이광좌의 상소문
- 장령 민계가 홍휼의 아내 윤씨가 순절하였기 때문에 정표하도록 상소하다
- 이익정·이제담·조윤제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이조 판서 조현명이 상소하여 사직하니, 답하지 않다
- 예조에서 사묘에 배알하는 의주를 바치니, 예관 등을 추고하도록 하교하다
- 온릉에 나아가다. 사묘에 이르러 전배하고 자다
- 사묘에서 환궁하다. 경기 감사 등을 인견하여 농사 등을 묻고 감세하게 하다
- 보슬비가 내리다. 승지가 우구(雨具)를 설치하기를 청하였으나, 윤허하지 않다
- 전조의 당상을 벌할 것을 헌납 권현이 상소하다
- 달이 동정성을 범하다
- 송익휘를 삭직하도록 하교하다
- 약방에서 문의하니, 엄한 분부를 내리고 입진를 윤허하지 않다
- 흉얼 여족이 고한 자를 때려 죽인 사정을 밝힐 것을 요구한 지평 김시위의 상소문
- 약방에서 입진을 청하였으나, 윤허하지 않다
- 밤에 번개가 치다
- 우의정 송인명이 명소를 반납하니, 도로 주다
- 약원 도제조 김흥경 등이 입진을 청하였으나, 윤허하지 않다
- 우의정 송인명이 명소를 반납하였으나, 도로 주라고 명하다
- 약원에서 입진을 청하였으나, 윤허하지 않다
- 송인명이 흥화문 밖에서 석고 대죄하며 명소를 반납하니, 대죄하지 말라고 명하다
- 판부사 김재로 등이 청대하였으나, 윤허하지 않다
- 신하의 도리에 대해서 하교하다
- 외신의 청대를 자주 아뢴다고 하여 중관을 도배하고 사알을 태거하다
- 판부사 김흥경 등이 차자를 올려 구대하였으나, 윤허하지 않다
- 대간으로서 패초를 어긴 사람을 모두 삭직하다
- 정언섭·오수채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사묘에 나아가 전배하고 이어서 효장묘에 나아가다
- 밤에 번개가 치다
- 우의정 송인명이 명소를 반납하니, 도로 주도록 하다
- 흥정당에서 시임·원임 대신 등을 인견하다. 신하들이 교시를 청하니, 하교하다
- 김유·김시위를 귀양보내다. 승지가 전교(傳敎)의 어구를 고치기를 청하니, 따르다
- 전 참판 이종성의 벼슬을 삭탈하다
- 전 판서 유척기를 특배하여 우의정으로 삼다
- 이기진·이광운·이창의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김인후(金麟厚)
- 성명김인후(金麟厚)
- 신분문반
- 자후지(厚之)
- 호하서(河西)
- 본관울산(蔚山)
- 생년1510
- 몰년1560
- 국가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