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종실록13권, 고종 13년 6월
-
- 돌아온 수신사 김기수를 소견하다
- 조인희과 황종현 등을 일본 사신을 맞는 강수관과 반접관 등에 임명하다
- 완화군 방에 돈과 쌀을 실어보내도록 하다
- 비가 올 때까지 정전을 피하고 반찬 가지수를 줄이도록 하다
- 이최응과 김병국 등이 부지런히 힘쓸 것을 진술하고 혐의를 피하다
- 홍문관 관리들이 차자를 올려 부지런히 힘쓸 것을 진술하다
- 이원명을 형조 판서에, 서상정을 한성부 판윤에 임명하다
- 삼각산, 목멱산, 한강에서 기우제를 지내다
- 약원에서 상선을 회복할 것을 청하다
- 약원에서 다시 상선을 회복할 것을 청하다
- 대신들이 상선을 회복하도록 차자를 올리다
- 일본 이사관이 오는 날 연회를 베풀도록 하다
- 두 번째 기우제를 용산강과 저자도에서 지내다
- 일본 이사관이 오는 날 베푸는 연회장소는 사역원으로 정하다
- 민치상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경기 감사가 일본 사신이 왔을 때 배를 빌려준 인천 부사를 탄핵하다
- 일본 이사관 외무대승 미야모토 고이치가 오다
- 일본 이사관이 돌아갈 때 호송관으로 박희양을 임명하다
- 세 번째 기우제를 남단과 우사단에서 지내다
- 술과 막걸리를 빚는 것과 엿 만드는 것을 금지시키다
- 일본 이사관인 외무 대승 미야모토 고이치를 접견하다
- 평안도와 황해도의 조세곡을 돈으로 내는 것을 다시 쌀로 받도록 하다
- 일본 이사관이 바치는 물건을 사역원으로 하여금 받게 하다
- 네 번째 기우제를 북쪽 교외와 사직단에서 지내다
- 다섯 번째 기우제를 종묘에서 지내다
- 진전에 나아가 다례를 행하다
- 여섯 번째 기우제를 삼각산·목멱산에서 지내다
- 이원명을 예문관 제학에 임명하다
- 일본 외무성 서계에 대한 회답을 만들도록 승문원에 명하다
- 조성하를 지경연사에, 이재원을 평안도 관찰사에 임명하다
- 김병시를 시강원 좌부빈객에, 서당보를 병조 판서에 임명하다
- 이우를 이조 판서에 임명하다
- 비가 오다
- 비가 온 것에 대한 보사제를 종묘 등지에서 지내다
- 화적 임봉업과 곽성희 등을 효수하도록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