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조실록23권, 정조 11년 3월
-
- 소대하다
- 홍명호를 사간원 대사간으로 삼다
- 경상도 관찰사 김상집이 남해 현령 민심혁의 진휼에 대한 허위보고를 탄핵하다
- 이집두를 이조 참의로 삼다
- 대제학 김종수가 문형의 일을 들어 사직을 청하다
- 이성규를 사헌부 대사헌으로, 서유성을 사간원 대사간으로 삼다
- 황단에 망배례를 행하다
- 경희궁에 나가 문효 세자의 혼궁에 전작례를 행하다
- 경기 관찰사 서유방이 봉명 행차에 파발마를 탄 율을 시행하기를 건의하다
- 박우원을 이조 참판으로, 조심태를 함경북도 병마 절도사로 삼다
- 육상궁과 연호궁에 전배하다
- 함평의 유학 이양직이 선조의 복관을 청하다
- 춘당대에 나가 신구 초계 문신의 친시·시사를 행하다
- 홍문관 제학 서유린이 대제학 김종수의 상소로 인해 인의하자 파직하다
- 오재순을 홍문관 제학으로, 조윤대를 이조 참의로 삼다
- 사간 조석목이 인물을 식별하여 난역의 근본을 없애기를 상소하다
- 예조에서 효자·열녀의 정문을 세워 포상하는 시기에 대해 건의하다
- 춘당대에 나가 서북 별부료 시사를 행하다
- 고 사예 김숙자의 원액을 낙봉 서원이라고 내리다
- 헌납 유광천이 성균관 유생의 일·선정신 조헌의 후손의 녹용에 대해 건의하다
- 지중추부사 성이연이 증조부의 증첩에 대해 건의하다
- 전 우의정 조경에게 직첩을 주고 서용하게 하다
- 이조 판서 윤시동을 파직하고 예문관 제학으로 임명하였으나 응하지 않다
- 배향한 공신의 자손을 훈신의 후손에 대한 예에 의해 사유하는 법식으로 삼다
- 판중추부사 조경에게 돈독히 유시하다
- 영화당에 나가 성균관 유생을 소견하고 시험을 보여 차등을 두어 시상하다
- 지평 송환덕이 귀양간 홍언섭을 두둔하고 선처를 호소하다
- 윤사국을 성균관 대사성으로 삼다
- 경모궁에 전배하다
- 영의정 김치인이 전 홍문관 제학 서유린을 선혜청에 서용하기를 건의하다
- 예조 판서 정창성이 문열공 조헌을 봉사하는 일에 대해 대신의 의논을 청하다
- 전 이조 판서 윤시동을 서용하여 전직에 유임하다
- 판중추부사 조경이 사직하는 이유를 말하다
- 이조 판서 윤시동이 직무를 맡을수 없다고 상소하다
- 홍문영을 사간원 대사간으로, 김희를 성균관 대사성으로 삼다
- 무신의 길고 큰 편자와 조관의 장복에 생초를 사용하는 것을 금하다
- 함경도 관찰사 정민시가 적전의 옛터에 비석 세우는 것을 반대하는 장계하다
- 백동준을 평안도 병마 절도사로 삼다
- 이집두를 이조 참의로 삼다
- 도당록을 하여 6점은 조진택·한용귀 등이고 5점은 김이성·신대윤 등이다
- 우의정 유언호가 사직하는 상소하다
- 부수찬 정동관이 삼사에서 빼주어 제술과 강경에만 응하도록 청하다
- 북원에 나가 황단 망배례를 행하다
- 소대하여 국조보감 별편을 강하다
- 교리 심능익이 배척을 받은 것을 들어 사직하는 상소하다
- 부수찬 조진택이 홍문관이 제구실을 못한것을 들어 사직을 청하는 상소문
- 주강하다
- 차대하다
- 대제학 김종수가 이조 판서 윤시동의 탄핵에 사직을 청하는 상소하다
- 조강하다
- 제도에 동점·은점을 사사로이 설치하는 것을 금하는 법식을 정하다
- 서유린을 예문관 제학으로 삼다
- 이시수를 성균관 대사성으로 삼다
- 삼일제를 성균관에서 설행하다
- 소대하다
- 명광문에 나가 삼일제를 설행하다
- 우의정 유언호가 세 번이나 사직하는 상소하다
- 시험에서 수석을 차지한 집의 이사렴에게 대록비 1령을 내리다
- 우의정 유언호에게 사직하지 말고 조정에 나오라고 유시하다
- 우의정 유언호를 소견하다
- 윤방을 사헌부 대사헌으로 삼다
- 관학 유생 유풍주 등이 역적 의원과 유모 및 김우진 등을 성토하는 상소하다
- 어제의 비답을 승정원에서 착오를 일으킨 책임을 물어 승지 박천형을 파직하다
- 소대하다
- 제사지내기 하루 전에 해조가 향관의 참석여부에 부표를 고치는 법식을 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