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조실록6권, 순조 4년 1월
-
- 권농 윤음을 반포하다
- 노인에게 별세찬을 반사하고 존문하라 명하다
- 전 장령 이동만이 조진정의 상소는 홍이유·김원희·정재민이 공모하였다고 상소하다
- 좌의정 서용보가 1차 정사하자 봉해서 돌려주다
- 병조 판서 김달순이 유생의 통문 때문에 인혐하면서 체직을 바라다
- 춘당대에서 새해의 호궤를 행하다
- 좌의정 서용보가 마음이 두렵고 막혔다며 도성을 나가니, 사관을 보내어 돈유하다
- 대왕 대비가 흉측한 상소를 올린 조진정과 패려하게 통문한 유생들의 초사를 받으라 하교하다
- 소대하다
- 이직보를 사헌부 대사헌으로, 남공철을 성균관 대사성으로 삼다
- 노인의 자급을 올려주는 데 대한 비답을 내리다
- 이조 판서 서매수가 유생의 통문 때문에 인혐하고 체직을 바라다
- 성균관에서 남학의 통문을 투서한 것과 관련된 유생 조석로 등을 끝까지 핵실하도록 청하다
- 태묘와 경모궁에 전배하다. 어가의 호위가 시끄러워 병조 판서 김달순을 신칙하다
- 아패로 부름을 어긴 검교 직제학 정대용을 경기 해안 지방에 귀양 보내다
- 우의정 김관주가 정사하니 봉하여 돌려주다
- 소대하다
- 형조에서 통문을 투서한 일의 핵심인 정재민·김원희를 형신하도록 청하다
- 지돈녕 이서구가 유생의 통문 때문에 인혐하고 체직을 바라다
- 이만수를 판의금부사로 삼다
- 응교 원재명이 병조 판서를 잡아들인 처사는 지나치다고 상소하다
- 우의정 김관주가 인의하여 도성을 나가니, 사관을 보내 돈유하다
- 대왕 대비가 좌의정 서용보에게 인의를 거두고 올라와 조정을 진정시키라고 유시하다
- 판부사 이시수가 진하의 의절을 정지한 자교를 승순한 죄는 본인에게 있다는 자차를 올리다
- 의금부에서 전 장령 이동만·전 현감 홍이유·전 군수 조진정의 구초를 보고하다
- 명정전에서 진하를 받다. 반교문
- 경모궁에 작헌례를 행하다
- 이인수를 우포도 대장으로 삼다
- 서울의 각사와 각영에서 계해년의 회계부를 올리다
- 희정당에서 숙선 옹주의 부마 초간택을 행하다
- 영희전과 저경궁에 전배하다
- 동강 때 인의하고 참여하지 않은 병조 판서 김달순을 경기의 바닷가에 귀양보내다
- 명정전에 인일제를 행하다
- 소대하다
- 상호군 서정수의 졸기
- 민창혁을 사간원 대사간으로 삼다
- 인의하고 향리로 돌아간 이조 판서 서매수를 파직하다
- 대사헌 이직보가 응지(應旨)한 상소문
- 홍이유를 진도군 금갑도에, 이동만을 강진현 고금도에, 조진정을 진해현에 귀양보내다
- 소대하다
- 호군 김노충이 이동만의 공초에 대하여 변명하다
- 소대하다
- 전 이조 판서와 전 병조 판서 김달순에게 전의 직임을 다시 제수하다
- 인천부에 정배한 죄인 정대용과 안주목에 정배한 죄인 임한호를 풀어주다
- 사간 현중조가 금갑도에 정배한 홍이유와 고금도에 정배한 이동만을 국청하기를 청하다
- 형조에서 죄인 이영복·김원희·정재민을 형신하여 초사를 받는 일로 아뢰다
- 정평의 유학 이종엽이 시폐 3조를 진달하다
- 소대하다
- 이문회를 사간원 대사간으로 삼다
- 전(殿)에 불이 났을 때 성실하게 수직하지 않은 내관 김태언·원인성과 궁비 복련을 귀양보내다
- 집의 이기경이 행 호군 김노충을 즉시 질문·핵실할 것을 청하다
- 소대하다
- 판의금 이만수가 이기경의 상소를 받아들일 것을 청하다
- 소대하다
- 이조 판서 서매수가 한결같이 버티며 시골 집에서 지내자, 의금부에서 추문하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