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실록104권, 세종 26년 5월
-
- 햇무리하다
- 행궁으로 인해 논이 길로 되어버린 초수리 근지의 토지에 쌀과 콩을 주다
- 왜인 조전 등이 중국을 침입하려 하매 중국에 알릴 것인지를 논의하게 하다
- 청주 향교에 대전(大全)과 경서를 보내주다
- 충청도 관찰사 김조와 도사 한질 등에게 말과 옷 등을 하사하다
- 가을에 다시 초수리로 올 것인지 목천 초수로 올 것인지를 승정원과 논의하다
- 임금에게 들어온 물건을 다른 사람에게 준 환자 이귀·박윤에 장 60대를 치다
- 진천의 북교를 지나는 어가 앞에서 늙은 할미가 하소연을 하다
- 날씨가 더워 호위 군졸들의 갑옷을 벗게 하다
- 첨지중추원사 신처강을 북경에 보내어 적왜를 바치다
- 경기 관찰사 이선에게 우량(雨量)·파종 상황·기민의 유무를 묻다
- 사헌부가 관청의 잡물과 각 고을의 잡물을 착복한 지강현진사 이순전을 탄핵하여 옥에 가두고 다스리다.
- 거가가 양지현 앞에서 머물다
- 토지에 파종을 하지 못하고 기근이 들게 한 경기 감사 이선을 문책하다
- 거가가 환궁할 때 백성들의 관망을 금지시킨 경기 감사 이선과 사헌부를 형조로 하여금 핵실하게 하다
- 거가가 낙생력 앞 들에서 머무르다
- 평안도 관찰사가 주문사 신인손이 칙서와 상사를 가지고 올 것임을 치계하다
- 왕세자가 헌릉의 별제를 대행하다
- 거가가 환궁하다
- 영의정·황희 좌찬성 하연 등과 달단을 토평한 것을 중국에 하례할 것인가를 논의하고 어가 관망을 금지시킨 이선을 파직시키다
- 햇무리하다
- 궁녀 장미와 사사로이 수작하고 왕래한 이인은 여연에 귀양보내고 김경재는 무창의 관노로 삼다
- 좌헌납 김순이 환자곡의 폐단을 없앨 것과 전유를 받은 이순몽을 외방으로 축출할 것을 건의하다
- 이구의 고신과 처의 작첩을 돌려주다
- 조말생·이명덕·민신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하늘에서 내린 옷과 금인을 받았다고 요망한 말을 한 문공치를 참형하다
-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올린 이인과 김경재를 처벌시킬 것에 대한 상소
- 햇무리하다
- 병조에서 아뢴 무과 전시의 좌차(坐次)
- 지중추원사 민의생의 졸기
- 경기의 군현에 미두 5만 석과 군자감의 쌀 1만 석을 내어 진대하게 하다
- 임영 대군 이구의 과전을 도로 주게 하다
- 사헌 지평 정자제와 사간원 우헌납 신후갑 등이 이인과 김경재의 처벌을 청하다
- 강원도 평해·울진에 지진이 일다
- 지인(知印) 2인과 진휼 경차관 이달을 황해도로 보내어 진휼한 것을 규찰하게 하다
- 통사의 사모를 벗기고 횡패를 부린 적왜 오라시라를 관노로 예속시키다
- 친히 문과를 근정전에서 시험보이고 세자는 무거를 광화문 밖에서 보이게 하다
-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연명으로 상소하여 이인과 김경재의 처벌을 청하다
- 판승문원사 이사맹이 초수로 여겨지는 것을 찾으니 사맹과 대호군 박강을 보내어 다시 찾게 하다
- 대장경에 의방이 있다는 말을 의원으로 하여금 상고해 보게 하다
- 정적(正賊)이 아닌 왜인을 건너갈 양식을 주어 본도로 방환하고 청송의 죄수 왜인에게 옷과 갓을 하사하다
- 여연·강계 등지에 이보와 창고를 설치하여 환상과 전세를 수납하게 하다
- 대사헌 권맹손과 우사간 대부 이옹 등이 이인과 김경재의 처벌을 청하다
- 월식하다
- 구황 일이 긴급하니 풍속 관계를 제외하고 범죄한 수령들은 행공하게 하면서 추핵하게 하다
- 사직 이돈의 등이 훈련 사복 군기감을 문과 삼관의 예에 의하여 영구히 무과 출신으로 삼을 것 등을 건의하다
- 세자에게 윤참관 대사헌 권맹손이 이인과 김경재를 벌할 것과 행대와 경차관을 보내어 백성을 진휼할 것을 건의하다
- 문·무과의 방목(榜目)을 발표하다
- 두 아이를 데리고 기근으로 부황이 난 청풍군의 여인을 관찰사에게 교유하여 진휼하게 하다
- 경기·충청·강원·황해도 등 관찰사에게 진휼에 힘써 백성들이 굶어죽지 않게 할 것을 교유하다
- 예조에서 종정성에게 글을 보내 아비 죄를 대신하여 잡혀 온 왜구를 돌려보냄을 알리다
- 왜인 등구랑 등에게 말·쌀·콩 등을 하사하다
- 대간에서 연명으로 상소하여 이인과 김경재의 처벌을 청하다
- 호자와 염진·진궁이 보낸 사람들에게 쌀과 면주·옷 등을 하사하다
- 통신사 이예와 김구경을 구호한 적의 괴수 평좌위문 등에게 쌀·의복·갓 등을 하사하다
- 주문사 병조 참판 신인손이 왜적을 잡아 바친 공을 치하하는 칙서와 상사를 가지고 북경에서 돌아오다
- 경기 도관찰사 허후에게 초수를 찾아 보고하라고 다시 교유하다
- 의정부 좌찬성 하연·형조 판서 안숭선 등이 이인과 김경재의 처벌을 청하다
- 대사헌 권맹손·우사간 대부 이옹 등 전원이 이인과 김경재의 처벌을 청하다
- 내섬시 윤 김흔지를 보내어 목천의 초수를 살펴보게 하다
- 첨지중추원사 정척을 사역원 제조로 삼다
- 의창이 실질적으로 백성을 진휼할 수 있게 할 방도를 의논하다
- 함길도 관찰사 정갑손에게 아내를 데리고 성 밖으로 나가 살려하는 동소로가무를 잘 설득시킬 것을 교유하다
- 황해도 경차관 이달이 고형을 본도 사람과 더불어 대질 심문할 것을 청하니 우대해서 대질 심문할 것을 교유하다
- 우찬성 황보인과 형조 판서 안숭선이 이인과 김경재의 처벌을 청하다
- 지평 정자제가 이달 대신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고형을 데리고 가 사실을 증명하게 할 것을 청하다
- 우사간 대부 이옹과 집의 송거 등이 이인과 김경재의 처벌을 청하다
- 좌찬성 하연·형조 판서 안숭선이 이인과 김경재의 처벌을 청하다
- 중 만우에게 옷을 내려주다
- 왜인 낭가사수로 등이 와서 말 2필을 바치다
- 영의정부사 황희 등이 이인과 김경재의 처벌을 청하다
- 왜인 표안이라 등이 와서 토산물을 바치다
- 예조 판서 김종서가 본국 사신을 연회하는 곳이 없음은 옳지 않음을 아뢰다
- 북경에 가는 사신을 연회할 때에 감찰도 참예하도록 하다
- 대사헌 권맹손·지사 간원사 모순이 이인과 김경재의 처벌을 청하다
- 우찬성 황보인·형조 판서 안숭선 등이 이인과 김경재의 처벌을 청하다
- 이인과 그의 처자를 여연의 관노비로 적몰하고 김경재의 아내도 비(婢)로 적몰하고 이예·이지는 고신을 추탈하고 외방에 안치하게 하다
- 전라도 감사가 홍랑간을 바치다
- 평안도에 쌓은 행성 안팎의 초목을 베어 붕괴와 오랑캐의 침입을 막도록 하다
- 판관 조인을 구타한 조득수를 사형하고 나머지는 온 가족을 평안도로 입거시키다
- 대사헌 권맹손·지사 간원사 모순이 이인과 김경재의 처벌을 청하다
- 동지중추원사 양후를 북경에 가서 사은하고 북노의 토평을 하례하게 하다
- 우의정 신개에게 궤장을 내려주다
- 뇌전과 뇌검을 얻어 바친 사람에게 면포를 하사하다
- 군직을 제수받은 사람으로서 신병으로 사표를 올린 자는 즉시 갈아 바꾸도록 하고 친병인 자도 기한내에 상경할 수 없으면 바꾸게 하다
- 대간에서 연명으로 상소하여 이인의 처벌을 청하다
- 장미를 복주(伏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