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조실록29권, 세조 8년 9월
-
- 임효인·황효원·김길통·민규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도체찰사 한명회에게 탐오죄로 추핵 당한 벽동 군사 조종지를 다시 핵실토록 하다
- 순성군 이애가 졸하여 2일간 철조하고 희안(僖安)이라는 시호를 내리다
- 영의정 신숙주·우찬성 구치관 등이 의논한 영북에 진을 설치하는 사목
- 분순 어사 등이 검핵한 관리의 죄명을 계달하고, 파출토록 하다
- 영의정 신숙주·우찬성 구치관 등이 진을 영북에 설치하는 것을 논의하여 건의하다
- 도체찰사 한명회에게 영북의 진을 설치하고 형편에 따라 일을 처리토록 한 유서
- 각도 관찰사에게 소나무 벌채를 금하는 법이 해이해진 것을 추국토록 하다
- 동교에 거둥하여 사냥 구경을 하다
- 각도 관찰사에게 계수관으로 하여금 관내의 인재들을 추천하여 올리도록 하다
- 양녕 대군 이제의 졸기
- 형조·한성부·의금부에 대궐 안의 악기고에서 물건을 훔친 도둑을 잡도록 하다
- 병조 당상·입직 도진무 1인은 매일 내금위를 거느리고 후원에서 기사케 하다
- 우승지 김겸광이 함길도에서 와 복명하자 인견하고 영의정 등과 일을 의논하다
- 죄수들의 사연을 적어 올리도록 하는 어제 교서
- 도승지 홍응을 보내 영릉을 봉심하다
- 기로 재추에게 홍제원에서 잔치를 베풀고 술과 풍악을 내리다
- 예조의 건의로 각읍 학장 중 권학과 효성에 힘쓰는 자에게 산관직을 제수토록 하다
- 근정전에서 양로연을 베풀다
- 서현정에 나가 군사들의 말타고 활쏘는 것을 구경하다
- 황해도 관찰사 신영손에게 친압 제십일 밀부(親押第十一密符)를 내리다
- 성주에 있는 어태실(御胎室)의 의물 설치를 불허하고 비만 세우다. 비문의 내용
- 병조의 건의로 강원도 산성 만호·연곡 만호를 울진·삼척으로 옮기게 하다
- 왕비가 사정전에 나가 양로연을 베풀다
- 사간원 정언 허종을 함길도 경차관으로 임명하다
- 서현정에서 기사를 구경하고 성균 유생 김세신 등에게 경서를 강하게 하다
- 황해도 강령현에서 흰 사슴을 올리자 승정원에서 진하를 청했으나 불허하다
- 서현정에서 말타고 활쏘는 것을 구경하다
- 백관이 전문을 올려 흰 사슴이 나타난 것을 하례하였으나 받지 않다. 전문의 내용
- 서현정에서 활쏘기를 구경하고 임영 대군·신숙주에게 내구마 1필 씩을 하사하다
- 이조에 유자문·김승·김유선·이우평 등의 고신을 돌려주도록 하다
- 출납이 지체되지 않도록 통례문 봉례랑을 사헌부 감찰로 겸차토록 하다
- 무과에서 《장감박의》·《병장설》에 불통한 자도 잠정적으로 시험케 하다
- 녹양평에 거둥하여 사냥 구경을 하다
- 왕세자가 평원 대군의 집에 가다
- 도체찰사 한명회가 올린 영북진을 설치하는 데 대한 상서
- 서현정에 나가 진법 익히는 것을 구경하다
- 최한량을 사간원 정언으로 삼다
- 백관이 탄신 하례를 하였으나 받지 않다
- 사헌부에서 탐오죄를 범한 조종지의 파직을 청하다
- 서현정에서 왕세자·정부 당상·육조 판서 등이 입시한 가운데 잔치를 베풀다
- 올량합 도만호 우로합 등이 토산물을 바치다
- 세 번 장가들고자 한 전라도 절제사 홍흥조를 파직시키고 후처와 헤어지게 하다
- 강무할 때 낭우로합으로 수가(隨駕)토록 하다
- 일본 대마주 평조신 종언팔랑 무세가 사람을 보내 토산물을 바치다
- 강무를 위해 전라·경상·황해 군사를 징집하고 위(衛)별로 장수를 임명하다
- 연천현 가아평에서 사냥 구경을 하고 송절원평에 머물다
- 주서 성준을 보내 종묘에 짐승을 바치고 문소전에 천신하다
- 우찬성 구치관을 주장으로 삼고 가을마현 활터에서 사냥 구경을 하다
- 사방제(四方祭)를 행하다
- 신숙주에게 내린 어제시와 이에 대한 신숙주의 화답시
- 햇무리가 지다. 신숙주가 봉석주의 처벌을 청했으나 불허하다
- 사슴 12마리를 중궁에게 보내고 유도 장상·승지에게 사슴·돼지·술·풍악을 내리다
- 사슴을 내려주는 어제시를 보내 충훈부와 문신에게 환궁 때 화답시를 올리도록 하다
- 철원부 회산에 머므르니 평안도 경력 안극사·함길도 도사 구자평이 문안하다
- 영속 환관인 황해도 신천 관노 박한·강원도 횡성 관노 황의지를 놓아 보내도록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