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종실록32권, 명종 21년 2월
-
- 호조가 산삼과 길경이 많으니 외공을 견감할 것을 아뢰다
- 박대립·이양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헌부가 태학의 노비를 사섬시로 옮겨 데리고 살려 한 이염을 치죄할 것을 청하다
- 정토사에서 기거하는 유생을 금지하다
- 햇무리와 달무리가 지고, 곤방·손방·동방이 화기 같았다
- 태학생들이 청·탁방을 내놓다
- 정토사에 거하는 유생을 법을 만들어 금할 것까지는 없다고 말하다
- 왕대비전에 들어온 관비 윤복의 환속을 명하다
- 이황이 신병을 이유로 사직하니 내의를 보내 문병하다
- 유성이 나타나다
- 햇무리가 지다. 태백이 사지에 나타나다
- 결당 작폐한 맛산 등을 급히 형추하지 말 것 등을 말하다
- 햇무리와 달무리가 지다
- 햇무리가 지고 우이가 있으며 햇무리 위에 배가 있다
- 전라도 전주에서 여인이 한 번에 3녀를 낳다
- 박계현 등이 신임을 받지 못한다 하여 사직하고자 하다
- 간원이 내수사 남상의 폐단에 대해 아뢰다
- 햇무리와 달무리가 지다
- 원혼·조언수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태백이 사방에 나타나다
- 달무리가 지고 관이 있다
- 예조에서 문정 왕후의 연제 의궤는 정희 왕후 때의 복제를 따를 것을 아뢰다
- 예조가 일본이 조선에서 작적하려 한다는 말이 있음을 아뢰다
- 정옥사 10두를 대내로 들여올 것을 상의원에 이르게 하다
- 간원이 병조 좌랑 황정욱·병조 정랑 김위 등을 체직할 것을 청하다
- 윤의중 등이 내수사의 인신, 법률의 변경 등에 대해 상차하다
- 윤의중이 아뢴 것 중 새로 마련된 과조를 감정해야 한다는 것에 대해 윤허하다
- 헌부가 내수사와 박종우의 노비 문제 등에 대해 아뢰다
- 이황이 사장을 올려 사직하다
- 햇무리가 지고 태백이 사지에 나타나다
- 형옥의 죄수를 적간하게 하고 죄수를 속히 판결할 것을 명하다
- 이황·김계휘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햇무리가 지다
- 종사관을 경기도·청홍도로 보내 황정의 봉행을 살피게 하다
- 안개가 끼고, 햇무리가 지고 양이가 있다
- 이중호·이후백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태백이 묘성의 서쪽 부분을 범하다
- 경중에 병의 치료를 위해 사람을 죽여 쓸개를 취하는 자가 많다
- 태백이 묘성의 서쪽 부분을 범하고, 형혹이 동정성 북쪽으로 들어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