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효종실록8권, 효종 3년 3월
-
- 일식이 있다
- 이형장이 역옥과 관련 복주되고 가족도 연좌되어 처벌되다
- 암행 어사 채충원을 직무 유기를 이유로 파직 추고하라 명하다
- 경상도 의령현에서 송아지를 낳았는데 목덜미 위에 꼬리가 있다
- 임담을 수어사로 삼다
- 성균관에서 시험을 치렀는데 진사 정박이 수석을 차지하여 상을 내리다
- 채충원의 죄가 중함을 이유로 잡아다 추문을 명하다
- 대신을 능멸한 죄로 이척연을 파직한 후 추고하라고 하다
- 홍문관의 강관을 야대하여 심경을 강하고 술을 내리다
- 윤선도를 불러 보다
- 상평청이 통정첩을 이용하여 저축을 늘리자고 아뢰다
- 청나라에 역적 토벌에 대한 상황을 아뢰다
- 죄인 추국 때 수고한 김언겸과 고예남을 한 등급씩 가자하다
- 저축이 적음을 논하고, 공신의 자손들에게 녹봉을 지급할 것을 이르다
- 주강에 나아가 서전 홍범편을 강하다
- 좌의정 김육이 세 차례나 사직을 청하나, 허락하지 않다
- 이응시가 청나라 말을 사온다는 말을 듣고 중지시킬 것을 아뢰다
- 심액·임담에게 관직을 제수하고, 이영·신호를 승진시키다
- 사헌부가 이영·신호의 승진이 지나치다 아뢰다
- 주강에 나아가 서전 홍범편을 강하다
- 주강에 나아가 서전 홍범편을 강하다
- 암행 어사 심제정·조한영·유준장을 불러서 봉서를 주어 보내다
- 이시백이 호서의 관리들에게 농사를 권장하게 할 것을 청하다
- 관상감이 중국의 시헌역법을 익혀 새로운 책력을 간행할 것을 아뢰다
- 김좌명을 승지로 삼다
- 영장 설치·훈국 도감의 폐해 단속에 대해 논의하다
- 주강에 나아가 서전 홍범편을 강하다
- 훈국의 둔전의 부실 운영과 도감 군병의 수에 대해 이르다
- 사간원이 전 수원 부사 윤창구와 후임자 홍중보의 추고를 청하다
- 오랜 가뭄 끝에 비가 내려 희우라는 제목으로 신하들에게 시를 짓게 하다
- 채유휴를 대사간으로 삼다
- 비변사가 각도의 감사를 오래 재직시켜 효과를 보자는 청을 아뢰다
- 허적·권우·원만석·정익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숭정문에 거둥하여 조참하는 예를 행하다
- 죄인 정사준이 처형되다
- 죄인 김신충이 도망가자, 심액 등이 면직되고 김신충을 중벽에 처하다
- 구인후·오준·임담·윤강·심택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죄인 신면이 쓴 인열 왕후의 시책을 오준이 고쳐 쓰다
- 전남 감사 심택이 봉물을 봉진하겠다고 청하나, 허락하지 않다
- 병조가 전남도 어사 민정중의 병영·수영의 운영에 관한 서계를 아뢰다
- 바람이 불어 후릉의 나무가 뽑혀 다시 세우고, 위안제를 거행하다
- 홍문관이 형벌 적용 공평에 대한 차자를 올리다
- 주강에 나아가 서전 여오편을 강하다
- 홍처대, 민정중이 좋은 인재를 등용하자는 논의를 하다
- 지평 원만석이 관직 임명의 공정함에 대해 상소를 올리다
- 특별히 윤선도를 승지에 제수하다
- 신하들이 정령과 강학을 통해 바른 정치를 할 것을 아뢰다
- 주강에 나아가 대학연의를 강하다
- 석강에 나아가 대학연의를 강하다
- 주강에 나아가 대학연의를 강하다
- 석강에 나아가 대학연의를 강하다
- 전남도 보성현에서 소가 새끼를 낳았는데, 두 뿔 사이에 꼬리가 있다
- 정의현에 표류한 중국 상인에게 중국·일본의 상황을 물어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