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종실록5권, 명종 2년 4월
-
- 가뭄에 따라 각 전의 향온과 떡을 감하다
- 석강에 나가자 특진관 안현이 수졸에 대한 침포와 실적의 조사를 말하다
- 양사에서 신수경의 변방 귀양과 최연 등의 훈적 박탈을 청했으나 불허하다
- 조강에 나가다
- 양사에서 신수경의 변방 귀양과 최연 등의 훈적 박탈을 청했으나 불허하다
- 진복창·윤인서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비가 내리다
- 조강과 석강에 나가다
- 양사에서 신수경의 변방 귀양과 최연 등의 훈적 박탈을 청했으나 불허하다
- 동부승지 정응두가 북경에서 산 《강목전편》 등의 서적을 진헌하다
- 충청도 공주에서 남자 2명이 벼락 맞아 죽다
- 비가 내리다
- 조강과 석강에 나가다
- 양사에서 신수경의 변방 귀양과 최연 등의 훈적 박탈을 청했으나 불허하다
- 전한 민전 등이 상차하여 신수경·최연 등의 처벌을 청했으나 불허하다
- 조강과 석강에 나가다
- 양사에서 신수경의 변방 귀양과 최연 등의 훈적 박탈을 청했으나 불허하다
- 햇무리가 지다
- 조강에 나가자 지경연사 임권이 인륜의 변고에 대해 아뢰다
- 양사에서 신수경의 변방 귀양과 최연 등의 훈적 박탈을 청했으나 불허하다
- 석강에 나가다
- 양사에서 신수경의 변방 귀양과 최연 등의 훈적 박탈을 청했으나 불허하다
- 조강과 석강에 나가다
- 양사에서 신수경의 변방 귀양과 최연 등의 훈적 박탈을 청했으나 불허하다
- 햇무리가 지다
- 양사에서 신수경의 변방 귀양과 최연 등의 훈적 박탈을 청했으나 불허하다
- 양사에서 신수경의 변방 귀양과 최연 등의 훈적 박탈을 청했으나 불허하다
- 부응교 원계검 등이 차자를 올려 신수경의 처벌을 청하였으나 불허하다
- 의주 목사 송맹경이 진헌사 이기가 칙서와 자문을 도둑맞았다고 보고하다
- 조강에서 오상 등이 신수경 등의 처벌을 청하자 자전이 불허 이유를 밝히다
- 석강에 나가다
- 양사에서 신수경의 변방 귀양과 최연 등의 훈적 박탈을 청했으나 불허하다
- 영의정 윤인경 등의 청으로 칙서의 도난 사유를 넣어 사은토록 하다
- 양사에서 신수경의 변방 귀양과 최연 등의 훈적 박탈을 청했으나 불허하다
- 양사에서 만포 첨사 유관의 체직, 진헌사 이기의 추고 등을 건의하다
- 영칙에 대해 대신들이 의논하다
- 이탁·손홍적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영칙에 대하여 영상과 우상의 의논을 따르도록 하다
- 영칙에 대한 일을 예조에서 건의하다
- 햇무리가 지다
- 내관과 사관을 문소전과 연은전에 보내 제문과 석선을 살피게 하다
- 양사·홍문관에서 신수경의 귀양과 최연 등의 훈적 박탈을 청했으나 불허하다
- 햇무리가 지다
- 함경도 덕원·문천에 우박이 내리다
- 묘시 초에 월식이 일어나다
- 양사에서 신수경의 변방 귀양과 최연 등의 훈적 박탈을 청했으나 불허하다
- 청홍도·황해도·강원도·전라도·경상도·함경도에 서리와 눈이 오다
- 양사에서 신수경의 변방 귀양과 최연 등의 훈적 박탈을 청했으나 불허하다
- 밤에 우박이 내리고, 강원도 원주에 서리가 오다
- 오부의 관원으로 하여금 전염병으로 죽은 자를 보고하고, 구휼케 하다
- 양사에서 신수경의 변방 귀양과 최연 등의 훈적 박탈을 청했으나 불허하다
- 대신들과 의논하여 일본 영봉선에 싣고 온 호초·단목 등을 임시 유치케 하다
- 양사에서 평안·함경도 번인의 쇄환, 종이 만드는 일 등에 대해 건의하다
- 영의정 윤인경 등이 사은사와 주문사의 파견 등에 대해 건의하다
- 서울·경기·청홍·경상·강원·전라·평안도 등지에 우박과 눈이 내리다
- 소대하자 참찬관 한두가 불시에 소문하는 데 대한 어려움을 말하다
- 양이와 관이 있는 달무리가 지다
- 강원도 울진·삼척, 평안도 강계에 우박과 눈이 내리다
- 황해도 평산·봉산에 우박이 내리다
- 대와 양이, 관이 있는 겹햇무리가 지다
- 황해도·강원도·평안도 등지에 우박이 내리다
- 정대년·정응두·이원우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경상도·강원도·평안도 등지에 눈과 우박이 내리다
- 평산에서 수상하는 전 사부 신희복에게 상수를 내리도록 하다
- 병든 사람이 없다고 거짓 보고한 오부 관원을 추고케 하다
- 사헌부의 건의로 변방 백성을 쇄환하고 사민하지 않은 관원을 치죄케 하다
- 강원도 양구에 우박이 내리다
- 진헌사 이기가 황제의 하사품을 가져와 배례를 행하다
- 재변이 잦자 구언하는 일 등을 의논하다
- 강원도 강릉에 우박이 내리다
- 봉사 신의충의 집에 강도가 들자 포도 대장과 부장을 추고토록 하다
- 경상도·강원도·전라도 등지에 우박이 내리다
- 팔도에 하서하여 의옥에 관계되는 것을 초계토록 하다
- 사간원에서 포도 대장의 하옥을 청하였으나 추고에 그치게 하다
- 사헌부의 건의로 노비 추심시 남형한 죽산 현감 이승상을 파직 추고케 하다
- 가뭄이 심하자 승지 등에게 형옥을 척간하여 경범자는 석방케 하다
- 대사간 이몽량 등이 올린 임금의 마음을 닦으라는 내용의 상차
- 윤원형·송세형·송기수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소대하다
- 경회루 못가에서 비를 빌다
- 전라도 용담에 우박이 내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