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조실록91권, 영조 34년 5월 1일 병술 1번째기사
1758년 청 건륭(乾隆) 23년
- 영조실록91권, 영조 34년 5월
-
- 정휘량을 예문 제학으로 삼다
- 함인정에 나가 조강을 열고 《중용》을 강하다
- 입직한 무신들에게 《무경》을 강하게 하여 도총 도사 이서를 승서케 하다
- 삼군문 대장을 소견하고 김성응의 건의로 의주인 최처를 첨사로 녹용토록 하다
- 거정정에 나가 대신과 비국 당상을 인견하다
- 장지풍을 승지로 삼다
- 함인정에 나가 향을 친전하다
- 숭문당에서 가뭄에 대해 하교하고, 이기상의 아들 이제현을 놓아보내도록 하다
- 효소전에 나가 단오제를 거행하고, 세자가 휘령전에 나가 단오제를 거행하다
- 휘령전에 나가 편차인을 소견하고, 곽시징의 봉사손을 조용토록 하다
- 숭문당에서 대신·부관·오부 방민을 소견하고 개울을 파는 일의 가부를 묻다
- 숭문당에 나가 형조 당상을 소견하다
- 숭문당에 나가 좌의정·우의정을 소견하다
- 함인정에 나가 입번한 향군을 소견하고 농사 형편을 묻다
- 윤광섬을 승지로 삼다
- 함인정에서 조강을 열어 《중용》을 강하고 온릉 복위 때 사적을 읽게 하다
- 왕세자가 덕성합에 나가 대신과 비국 당상을 인접하다
- 사간 심익성이 상서하여 김낙수의 승문원 조용을 청하자 품처케 하다
- 함인정에서 문신 전강을 시행하고 성균관 박사 최창윤 등에게 상을 내리다
- 덕성합에서 좌·우상, 좌·우 포도 대장을 소견하고 기호의 제언을 적간케 하다
- 어석윤을 대사헌으로 삼다
- 전라 감사 홍인한이 호남의 개간된 진전에 대해 속전으로 허락토록 상서하다
- 함안재에 나가 좌·우 포도 대장을 청대하여 김봉갑의 국청을 설치토록 하다
- 함인정에서 관학 도기 유생 전강을 설행하고 유언수·김상권 등에게 급제를 내리다
- 15일에 기우제를 설행하라고 명하다
- 함인정에서 향을 친전하다
- 숭문당에서 대신, 비국 당상을 인견하고 호마의 제주 방목 등을 허락하다
- 효소전의 망제를 거행하고, 세자가 휘령전의 망제를 거행하다
- 함인정에 나가 저경궁·육상궁의 중삭제에 쓸 향을 친전하다
- 온릉 복위에 연명 봉장한 김정·박상에게 증직과 증시를 하도록 하다
- 경기 어사 홍양한의 복명에 따라 금천·과천·양천 수령을 나처케 하다
- 공묵합에 나가 김봉갑 사건을 국문한 대신들을 인견하다
- 어사 이경옥을 황해도에 보내 금천 등지에서 혹세 무민한 요녀를 효시토록 하다
- 함인정에 나가 조강을 열고 《중용》을 강하다
- 태복시에 나가 김경약을 친국하다
- 본부에 명하여 추국하게 하다
- 이조 판서 윤득재를 병조 판서, 홍계희를 이조 판서로 삼다
- 이성중을 병조 판서, 이창수를 이조 참판으로 삼다
- 선농단에 거둥하여 기우제를 친행하다
- 선농단 판위에 나가 사배례·작헌례를 행하고 환궁하다
- 명정전 월대에 나가 각사에서 입직한 낭관을 소견하여 소회를 묻다
- 비변사에서 김치인을 천거하여 개성 유수로 삼다
- 경상도 유학 채관휴가 상서하여 박세채의 문묘 종사를 청했으나 불허하다
- 숭문당에 나가 입시를 오늘로 당겨 시행하라고 하교하다
- 영의정 이천보의 건의로 해서의 도신, 병사를 파직하고 수령을 나국토록 하다
- 빈청에 모여 회권하여 남유용을 대제학으로 삼다
- 함인정에 나가 농민들을 소견하고 농사 형편을 묻다
- 권상일을 대사헌으로 삼다
- 북교에 거둥하여 기우제를 친행하다
- 단상에 나가 사배례·작헌례를 행하고, 승지를 보내 경범을 석방토록 하다
- 왕세자가 덕성합에 나가자 영의정 이천보가 조섭의 방도를 아뢰다
- 함인정에 나가 향을 친전하고, 기우제의 헌관 이하에게 상을 내리다
김인후(金麟厚)
- 성명김인후(金麟厚)
- 신분문반
- 자후지(厚之)
- 호하서(河西)
- 본관울산(蔚山)
- 생년1510
- 몰년1560
- 국가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