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조실록2권, 정조 즉위년 11월
-
- 효명전에서 삭제를 친히 행하다
- 모화관에서 칙행을 전송하다
- 칙사를 전송할 때의 거행이 거만한 이유로 훈련 대장 장지항을 파직시키다
- 역신들의 화를 경계하라는 하교와 동시에 찬집하는 역사를 삼가서 하도록 명하다
- 궁방의 전결을 차송하는 도장이 백성을 침탈하는 것을 엄히 조사하여 처결하게 하다
- 정사에게 하사한 물품에 대신의 이름을 쓴 이유로 중관 김우장을 사판에서 삭거하다
- 전라도 관찰사 이보행의 장계에 따라 양전 후 진전된 땅은 기전하는 대로 수세하게 하다
- 칙행을 겪은 이유로 관서의 금년에 받아들여야 하는 구적곡을 정지시키다
- 예빈시의 직소를 남별궁의 관내로 옮겨 정하다
- 이휘지를 형조 판서로, 원후진을 충청도 수군 절도사로 삼다
- 야대하다
- 양사에서 입시하여 합계하는데 옥당이 갑자기 물러간 이유로 교리 민양섭 등을 체직시키다
- 김재순을 사헌부 대사헌으로, 김상집을 사간원 대사간으로 삼다
- 전 훈련 대장 장지항을 특별히 서용하여 다시 전의 직임에 제수하다
- 박명원 등이 사폐하자 동지 정사 박명원·부사 정호인 등을 소견하다
- 문신 전강을 행하다
- 도당에서 한림 권점을 행하여 이시수·이종섭 등 10인을 뽑다
- 강원의 숫자가 많아서 연일 문신 전강을 행하다
- 동지제에 쓸 축문에 친압하다
- 전 이조 좌랑 이병모·이경양을 종중 추고하고 장령 오저를 삭직시키다
- 평안도 관찰사 서명응이 강계 삼호의 세 가지 조항의 폐단을 장문하니 이를 견감시키게 하다
- 경기 유학 윤담이 고 징사 김창흡을 석실 서원에 추향하게 해줄 것을 청하였으나 윤허하지 않다
- 야금을 해이하게 해 도적 횡행하게 한 죄로 좌우 포도장을 체직시키다
- 우박이 내리고 천둥과 번개가 치다
- 윤대관을 소견하다
- 교리 이재학이 산림의 선비를 초연하는 예를 더하여 조정에 나오게 하라는 등을 상소하다
- 이재학의 청에 따라 상소문에 역적들을 두루 거론하지 않은 대사헌 김재순을 체직시키다
- 심이지를 사헌부 대사헌으로 삼다
- 안종규를 함경남도 병마 절도사로 삼다
- 쓸모가 없는 군물을 진헌한 제도의 감사·병사에게 함사로 종중 추고하게 하다
- 대사헌 심이지의 상소에 따라 죄의 경중에 따라 언급하지 않은 김재순을 해남현에 찬배하다
- 홍문록에서 4점과 3점을 받은 사람들의 명단
- 거제부에 천극시킨 죄인 윤양후를 대계에 의하여 잡아오게 하다
- 영동·영남에서 상경한 수령들을 소견하고 읍폐와 민막에 대해 순문하다
- 윤양후의 천극을 두루 감시하지 않은 거제 부사 윤형렬을 해부로 하여금 나문하게 하다
- 역적과 관련된 홍윤중을 거제 부사로 의망한 죄로 이조 판서 이중호를 파직시키다
- 이휘지를 이조 판서로 삼다
- 장령 이평이 김재순을 국청을 설치하여 엄히 신문하기를 상소하였으나 윤허하지 않다
- 헌납 김동연이 윤태연을 나국할 것과 하익룡을 국문할 것 등을 상소하다
- 장령 윤재순이 김재순을 나국할 것과 찬집청의 개국을 신칙할 것을 청하다
- 주강하다
- 윤동섬을 형조 판서로, 이재협을 사헌부 대사헌으로 삼다
- 김종수를 발탁하여 공조 참판으로 삼다
- 양사에서 김재순을 나국할 것을 청하였으나 윤허하지 않다
- 김종수를 소견하고 내장된 《존현각일기》를 내보이며 흉도들의 화기에 대해서 말하다
- 사간 김이희의 상소에 따라 홍인한 등과 내통한 박종악을 기장현에 찬배시키다
- 수어사에 제배된 홍국영이 이를 거부하자 누차 신칙하고 병부를 주라고 명하다
- 시독관 이재학 등이 신분 상하의 질서가 문란함 등에 대해서 아뢰다
- 사헌부에서 역적 홍인한 등과 내통한 이유로 민백분·이택수 등을 원찬시킬 것을 아뢰다
- 각 궁방 등에서 면세된 전토를 가진 이들에게 마구 세금을 거두는 폐단에 대해 제도에 신칙하다
- 홍국영·김종수를 비변사 제조에 차임하다
- 윤대하다
- 윤득양을 사헌부 대사헌으로, 김보순을 사간원 대사간으로, 이경호를 한성부 판윤으로 삼다
- 정언 한후익이 김귀주를 찬배시킨 일 등에 대해서 상소하다
- 초복을 행하다
- 김귀주를 두둔한 한후익을 정배시키라는 장령 윤재순의 청을 윤허하지 않다
- 장령 윤재순이 한후익을 나국하고 엄히 형문하게 하라고 아뢰다
- 반궁에서 감제를 설행하여 진사 정계순을 직부 전시하게 하다
- 경기 관찰사 조시준을 소견하고 기읍의 재상에 대한 형지를 하문하다
- 이병정을 성균관 대사성으로 삼다
- 삼복을 행하다
- 윤양후를 나국하는 것을 지체하는 도사를 엄히 형문하고 다른 도사를 보내 죄인을 잡아오게 하다
- 진사 김이공이 공씨들에 의해 모셔지는 공자의 사당에 액호를 내려 달라고 상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