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조실록49권, 인조 26년 2월
-
- 밤에 경덕궁 담장을 넘어 들어온 자를 체포하다
- 헌부가 부적격한 지방관들을 파직 및 체차시킬 것을 건의하다
- 헌부가 강원도와 영서의 기근 구제와 고원 군수 허겸을 사판에서 삭제할 것을 건의하다
- 사간 박길응이 이석룡의 서용 불가와 상의 부덕을 아뢰고 파직을 청하다
- 태백이 나타나다
- 오준·강백년·이이존·신속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헌부가 상의 수신 치덕과 저승전의 역사 정지에 대하여 건의하다
- 숭선군 이징의 부인을 간택하게 하다
- 달이 토성을 범하다
- 이이존·정창주·남노성·이행진에게 판직을 제수하다
- 달이 동정성으로 들어가다
- 인정전 뜰의 섬돌을 개수하다
- 낮이 어둡다
- 정언 이무가 호서에서 사직하고 붕당의 화와 어진 수령 차임에 대해 상소하다
- 심지원·김응조·남중회·김식·이만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태백이 나타나다
- 밤 2경에 종묘 서쪽 담장을 넘어들어 간 자를 체포하다
- 홍청·전남 두 도의 암행 어사 심택이 탐관 오리들을 보고하다
- 헌부가 인동 부사 윤형의 체차와 결성 현감 이구의 파직을 청하다
- 이시만을 부응교로, 유경창을 이조 정랑으로 삼다
- 대사헌 등이 이조 판서 민형남의 체차를 건의하다
- 태백이 나타나다
- 태백이 나타나다
- 대사간 강백년 등의 건의에 따라 헌부 간원을 체차하다
- 청인이 홍제원에 참을 설치하여 경기 백성들의 곤폐가 극심해지다
- 태백이 나타나다
- 최혜길·성이성·원진명·임성익·이완·심지한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부제학 이기조 등이 차자하여 대사간 강백년 등의 간원을 체차하다
- 청인이 평양에 도착하니 익명서를 보낸 자가 있다
- 사은사 홍주원이 북경에서 돌아오다. 청인이 자문을 보내면서 역서도 보내다
- 강원 감사 홍헌이 본도 진휼청의 곡식으로 기민 구제를 청하다
- 이전 인조 26년 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