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종개수실록9권, 현종 4년 7월
-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왜인이 울진에 표류해 와 부산관으로 보내다
- 집의 정계주 등이 홍우원의 삭출과 괴원 분관 때의 논란을 아뢰다
- 정언 이단석이 체직을 청하다
- 단천에 홍수가 나고, 길주에서 경흥까지 메뚜기의 피해를 입다
- 평안도에 홍수가 져 휼전을 베풀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사복시가 황해도 함경도 및 삼남의 점마를 청하다
- 김수흥·송창·남구만 등이 조세휘의 처벌에 대한 이견으로 서로 인피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남노성·정만화·조한영·이제형·이원로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장령 이지무가 부정자 이옥과 부사 이만의 파직을 청하다
- 부제학 이경휘가 김강의 상소에 대한 비답을 청하다
- 삭시사의 성적이 우수한 자를 바로 전시에 응시하도록 하다
- 충렬공 고경명·문열공·조현·박사 유팽로에게 제를 올리다
- 이조 판서 홍명하를 체직시키다
- 정언 이단석의 아버지 제형이 헌납이 되어 체직시키다
- 정언 송창을 체직시키다
- 영중추부사 이경석이 가뭄으로 심리와 구언을 청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김시진·김익경·김수항·민응협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충청도 유생 김호 등이 이이와 성혼의 문묘 종사를 청하다
- 백성들에게 희망을 주고 수성의 도리를 다하라는 응교 이민적의 상소문
- 승지 서필원이 물에 빠졌다 건져낸 대동미 건으로 아뢰다
- 기우제를 지내다
- 관원들의 성실한 직책 수행을 당부한 비망기
- 풍랑에 표류되었던 김여휘 등이 일본에서 돌아오다
- 가뭄으로 희정당에 나가 원옥을 심리하다
- 대사헌 민응협을 체직시키다
- 헌납 이제형을 체직시키다
- 상이 형조의 죄수들을 직접 심리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홍처윤·이경억·남용익·윤강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강원도 강릉에서 암탉이 수탉으로 변하다
- 전남도·함경도 등에 큰 가뭄이 들다
- 정언 소두산의 청에 따라 서필원을 체직시키다
- 양주 유학 이추 등이 문충공 김상용과 문정공 김상헌의 서원에 사액을 청하다
- 대사헌 홍중보를 체차시키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사간 이정 등이 환관 양달원에 대한 추문을 청하다
- 약방 도제조 이경석 등에게 진찰을 받다
- 유학 권대시의 상소를 보고, 잡아들여 국문을 명하다
- 김수항을 대사헌으로 삼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은률의 사노가 상전을 시해하여 목베고, 현감 이집을 파면하고 고을을 혁파하다
- 지평 이단석이 권대시의 국문을 그만두기를 청하다
- 시간 이정 등이 권대시의 국문을 그만두도록 청하자, 허락하지 않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대사간 이경억이 권대시의 상소문으로 사직을 청하다
- 폐정의 개혁과 백성을 위한 정책 수립을 아뢴 부제학 이경휘의 상소문
- 평안도 유생 이창진 등이 이이와 성혼의 문묘 종사를 청하다
- 김강을 논죄하고 두 현신의 문묘 종사를 청하는 대사성 민정중의 상소문
- 상이 핵환으로 대조전에서 뜸을 뜨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응교 이만적이 권대시의 국문을 거두라고 청하다
- 장령 송시철 등이 권대시의 국문을 철회하라고 청하다
- 대사헌 김수항이 사직을 청하다
- 이조 판서 윤강이 체직을 청하다
- 지평 장선징이 권대시의 상소를 들어 사직을 청하다
- 장령 송시철과 지평 이단석·장선징을 체직시키다
- 우의정 장유성이 청나라에서 돌아와 사직을 청하다
- 밤에 월식이 일어나다
- 흉년으로 삼남 수군의 조련을 정지하다
- 이조 참판 유계를 체직시키다
- 이유·윤우정·이후·홍처량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상이 대조전에서 침을 맞다
- 여종 옥기가 지아비를 살해하여 사형시키고, 현감을 파면하고 고을을 혁파하다
- 장령 여민제가 사직을 청하고 하늘과 백성에게 성실하기를 권하다
- 황해도 유생 최세익 등이 이이와 성혼의 문묘 종사를 청하다
- 집의 남구만 등이 전 판서 조형의 사면을 거두기를 청하다
- 기우 끝에 비가 와 헌관과 집사들에게 논상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영중추부사 이경석이 홍석범 생원 삭방 건으로 사직을 청하다
- 장령 이유를 법의 적용이 고르지 못하다고 체직시키다
- 사행 때 금령을 범한 허룡·언남을 추문하다
- 평안도 용천에서 벼락으로 피해를 입다
- 강원도 생원 이모 등이 이이와 성혼의 문묘 종사를 청하다
- 지평 이후가 홍우원의 건으로 체직을 청하여 뒤에 체직시키다
- 종부시 정 박승건이 서장관으로 사행갈 것을 청하다
- 상이 양심합에 나가 뜸을 뜨다
- 김시진·유계·이숙·윤문거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대사간 이경억이 홍석범의 과거 응시 문제로 사직을 청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남이성·이익상·여성제·이일상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울진현에 표류해 온 왜인을 부산관으로 보내다
- 대사헌 김수항 등이 내수사의 공사를 반드시 이조를 거치도록 청하다
- 시무에 관한 대사간 이경억 등의 상소문
- 시무에 관한 응교 이민적 등의 상소문
- 장령 여민제가 병으로 사직하여 체직시키다
- 함경도에 전염병이 번지다
- 사은사 우의정 정유성과 부사 완원군 이만이 복명하고 청의 사정을 아뢰다
- 우의정 정유성이 사직을 청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대사헌 김수항 등이 구언에 응해 상차하다
- 자의 왕대비의 복제 문제로 시작된 홍우원의 삭출 논의를 정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