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조실록56권, 영조 18년 9월
-
- 정경이 적어 정우량과 김약로를 승품시키다
- 헌부에서 전계를 아뢰다
- 간원에서 전계를 아뢰었으나 윤허하지 않다
- 박필주가 노쇠하고 병들었다 하여 사직하다
- 조상경·김상석·윤급·정휘량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임금이 김환을 불러 호랑이 가죽을 내려 총애하다
- 11월과 12월에 형조의 계복을 행하게 하다
- 조관빈이 대신들에게 인사하지 않고 떠나자 비국에서 초기로 추고하다
- 간원에서 전계를 아뢰다
- 유척기가 장임의 의망에 대한 책임으로 견책토록 상소하다
- 어떤 별이 규성 아래서 나왔다
- 임금이 정시의 응시자에게 친히 책제를 내다
- 입시로 과차하여 10명을 뽑다
- 삼수·갑산에 무명을 더 줄 것과 수재 지역에 진휼과 환곡 등을 견감하다
- 김상로·심악·김상적·이재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간원에서 전계를 아뢰다
- 민수언이 정시에서 부로 시권을 올린 자를 벌주기를 청하다
- 주강에서 원경하가 붕당의 폐해에 논하다
- 조현명이 상소하여 처분을 바라니 사직치 말라 하다
- 어떤 별이 왕량성 아래로 흐르다
- 해서와 호서에 세금 징수와 관동의 수령을 잉임케 하다
- 호조·진휼청·삼 군문으로 동산을 채취해 주조케 하다
- 임금이 진휼을 잘하고 못한 수령에 대해 상벌을 주다
- 어유룡과 서종수가 진정에 공이 있어 가자하다
- 《병장도설》의 서문을 지었는데 서로 다투어 갖고자 하다
- 정우량·서명빈·서명구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영남 수재로 인해 제문을 지어 치제하게 하다
- 성범석·김광국·서명빈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헌부에서 전계를 아뢰다
- 야대를 행하여 숙흥야매잠을 강하게 하다
- 원경하가 선조가 득죄한 자손도 인재라면 등용할 것을 청하다
- 동조에 진봉하는 것 외에는 맥추까지 한정하여 정봉하라고 하다
- 정찬술·조철명이 편안함을 도모하므로 추고하다
- 헌부에서 전계를 아뢰다
- 신만이 청석동에 성을 쌓기를 청하나 그만두게 하다
- 이맹휴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고 전관에게 낙점받음에 작폐가 있다
- 태막이 형을 죽임에 삼성 추국하고 결안 정법하다
- 조현명이 병으로 면직을 바라는 상소를 올리다
- 거재 유생을 시험하였는데 제술에 고유, 강에 김택려가 수석하다
- 태학 유생의 강제법을 고치다
- 간원에서 전계를 아뢰다
- 유만추가 송시함에게 삭파의 벌과 순장의 태만으로 상소하다
- 번개가 치다
- 김시형·이기진·이천보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임금이 전경 문시강을 직접 시험하다
- 태학의 재임은 30점이 찬 뒤에 반제에 응시토록 하는 법을 정하다
- 임금이 유만추를 협잡이라 나무라고 체직시키다
- 우의정 조현명이 대신의 직임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자책하는 차자를 올리다
- 번개가 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