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조실록43권, 인조 20년 11월
-
- 영은문을 중수하다
- 이덕형·이소한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능성 부원군 구굉의 졸기
- 유성이 천균성에서 곤방으로 흐르다
- 유성이 오거성에서 외주성으로 흐르다
- 임경업이 금교에까지 왔다가 도주했다고 황해도 병사가 계문하다
- 광주 중군 임승업이 도주하다
- 이위·매환·예기를 가두라고 명하다
- 우박이 내리다
- 정명수의 자급을 올려줄 것을 명하다
- 역적 이계를 용만에서 효시하게 하다
- 이계와 임경업의 일에 대해 의논하다
- 달이 필성의 큰별을 범하다
- 유의를 얇은 옷 입은 군사에게 나눠주라고 명하다
- 강원 감사 이덕수가 전세의 감면을 청하다
- 영의정 최명길의 관작을 삭탈하라고 명하다
- 심기원·이명한·윤강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비국이 금부 도사 정석문과 선전관 박지용의 정죄를 청하다
- 사헌부가 정석문과 선전관 박지용의 정죄를 청하다
- 이경여·김남중·이형장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달이 헌원성을 범하다
- 문안 승지 김휼이 사직하다
- 의금부가 이국균을 잡아오게 할 것을 청하다
- 의주에 머물러 있는 신하들에게 용만의 폐해를 줄이라고 명하다
- 최명길이 극비로 장계를 보내다
- 비국이 임경업의 형제를 잡았다고 아뢰다
- 좌의정 신경진이 심기원 대신 사은사로 갈 것을 청하다
- 금부 도사 정석문 등이 이계를 참수하다
- 좌의정 신경진에게 임경업의 일을 전담시킨 청국의 의도를 묻다
- 의금부가 이계의 3, 4촌을 연좌시키는 것에 대해 대신에게 의논하기를 청하다
- 정석문과 박지용을 의금부에 내리다
- 양사가 합계하여 이계를 변호한 영부사 이성구의 삭탈 관작을 청하다
- 홍현·한필명·이시방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목성이 누벽진성을 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