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조실록40권, 정조 18년 7월
-
- 이조에서 노직(老職)으로 추은할 사람 7만 5천 1백 45인을 천거하다
- 봉상시 낭청 유사모를 불러보고 제사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하다
- 장악원 제조로 하여금 더위를 가시게 하는 약을 춤추는 공인들에게 나누어 주도록 하다
- 화성 공사 중 돌을 뜨고 기와를 굽는 곳의 작업은 서늘한 기운이 생길 때까지 정지하라 전교하다
- 박종악을 김이소 대신 진하 정사로, 홍양호를 동지 겸 사은 정사로 삼다
- 가뭄으로 기우제를 행하라 전교하다
- 가뭄으로 내린 전교
- 경상·충청·전라도에 기우제를 지내라 전교하다
- 화성 쌓기를 정지하라 전교하다
- 삼각산·목멱산·한강에서 기우제를 지내다
- 역적 징계·제주에 귀양간 대간·사치 금지 등에 관한 홍문관의 상소문
- 81세된 제주의 전시 직부 유생 김명헌은 제주 객사에서 사은 숙배하라 명하다
- 부스럼이 난 지 달포가 되어 내의원에서 숙직을 청하다
- 내의원에서 머리 부스럼으로 숙직을 청했으나 허락하지 않다
- 내의원에서 숙직을 청했으나 허락하지 않다
- 역적 징토·언로 개방·수령 선발·김종수 등에 관한 집의 이우제의 상소문
- 역적 징토·김종수·원기 보양·사치 금지 등에 관한 장령 한용탁의 상소문
- 내의원의 여러 신하들을 불러보다
- 용산강과 저자도에서 두 번째 기우제를 지내다
- 조흘강에 관해 전교하다
- 역적 토죄·언로 개방·김종수·억울한 옥사 조사 등에 관한 지평 남이익의 상소문
- 내의원의 제조와 대신·규장각의 신하들을 접견하다
- 내의원에서 숙직을 청했으나 허락하지 않다
- 지평 남이익의 상소 내용에 관해 비변사에서 보고하다
- 내의원 제조와 대신·규장각 대신을 접견하다
- 유의를 대사헌으로, 홍수보를 판의금부사로 삼다
- 효자와 열녀에게 상을 주는 문제에 관해 전교하다
- 세 번째로 북쪽 교외에서 기우제를 지내다
- 내의원의 세 제조와 대신과 규장각 대신을 불러보다
- 고성 삼일포의 소나무 벌목자 처벌에 관해 영중추부사 채제공이 아뢰다
- 회령에서의 여진 무역에 관해 영중추부사 채제공이 아뢰다
- 내의원 제조를 불러보다
- 비변사에서 삼일포의 소나무 벌목 사건을 보고하다
- 가뭄으로 반찬 수를 줄이고 정식 음악을 철회하라 전교하다
- 개성부 유수 이면응이 민가 1백 33호가 불탔다고 보고하다
- 남단과 우사단에서 네 번째로 기우제를 지내다
- 내의원에서 진찰하기를 청하다
- 내의원에서 접견을 요청했으나 거절하다
- 내의원 제조를 불러 접견하다
- 내의원에서 가감한 정기산을 올리다
- 도성 안의 크고 작은 개울과 도랑의 오물을 제거하라 명하다
- 이병정을 수어사로 삼다
- 내의원에서 진찰하기를 청하다
- 시임 대신과 원임 대신이 접견을 청하다. 구언하다
- 내의원에서 향라음을 올리다
- 반찬의 가짓수를 감할 때 각 관아에서 공무를 중지하지 말라 명하다
- 임제원을 대사간으로, 이면긍을 강원도 관찰사로 삼다
- 구언에 응답한 비변사의 상소문
- 내의원에서 향라음을 올리다
- 다섯 번째로 사직단에서 기우제를 지내다
- 내의원에서 진찰하기를 청했으나 허락하지 않다
- 한석인을 감찰에 추천한 일로 이조 판서 김재찬이 자신의 교체를 자청하다
- 구언에 응답해 대사간 임제원이 상소하다
- 구언에 응답해 집의 이우제가 상소하다
- 구언에 응답해 장령 한용탁이 상소하다
- 구언에 응답해 수찬 윤익렬이 상소하다
- 구언에 응답해 지평 홍병신이 상소하다
- 수군과 육군을 훈련시키는 것에 대한 순조 및 순력과 순점을 중지하다
- 영의정 홍낙성이 사직 상소하다
- 내의원에서 진찰을 청했으나 허락하지 않다
- 이재학을 대사헌으로 김이익을 이조 참의로 삼다
- 내의원 제조를 접견하다
- 영의정 홍낙성에게 출사하라 돈유하다
- 좌의정 김이소가 사직 상소하다
- 우의정 이병모가 사직 상소하다
- 구언에 응답해 판중추부사 김희가 상소하다
- 구언에 응답해 부수찬 박길원이 상소하다
- 구언에 응답해 지평 남이익이 상소하다
- 구언에 응답해 부교리 박종순이 상소하다
- 구언에 응답해 정언 신귀조가 상소하다
- 구언에 응답해 전 전적 현재묵이 상소하다
- 비변사에서 생원·진사시의 초시를 늦추는 문제에 관하여 보고하다
- 내의원에서 진찰을 청했으나 허락하지 않다
- 내의원에서 가미한 연교음을 올리다
- 구언에 응답해 부수찬 이석하가 상소하다
- 내의원 제조를 접견하다
- 여섯 번째로 사직단에서 기우제를 지내다
- 내의원 제조를 접견하다
- 대신·재상·경연관·사간원·감사 등에게 명하여 억울한 사정을 찾아 보고하라 명하다
- 영의정 홍낙성이 사직 상소하다
- 대사간 임제원이 이석하의 상소로 삭탈을 자청하다
- 비가 내리다
- 내의원에서 진찰을 청하다
- 여러 고을에 비가 온 상황을 보고하라 전교하다
- 반찬 수를 정상대로 회복하고 음악도 종전처럼 연주하게 하다
- 구언에 응답해 정언 신귀조가 상소하다
- 함경남도 병마 절도사 이격이 장계하여 후주의 진을 부설하기를 건의하다
- 비가 내리다
- 내의원에서 진찰을 청하다
- 내의원 제조 서유방, 부제조 정대용을 접견하다
- 내의원에서 가미한 소요산을 올리다
- 사직단 기우제의 헌관 이하에게 상을 주라 명하다
- 영의정 홍낙성과 좌의정 김이소의 사직 상소를 봉하여 돌려 보내다
- 내의원의 여려 신하들을 접견하다
- 박기정을 사간원 대사간으로 삼다
- 정언 신귀조의 상소로 부수찬 이석하가 사직을 자청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