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종실록26권, 고종 26년 10월
-
- 이용원을 대사헌에, 신태관을 대사간에 임명하다
- 종묘와 영녕전에 나아가 전알하다
- 태묘에 나아가 참배와 정례를 펴고 세자의 치제 섭행을 보고 출차하다
- 왕세자가 종묘의 동향 대제를 섭행하다
- 왕세자가 태묘의 동향 대제를 섭행할 때의 아헌관 이하와 종묘서 도제조 이하에게 시상하다
- 이건하를 공조 판서에, 김영철을 한성부 판윤에 임명하다
- 예조 판서 조병세를 우의정에 임명하다
- 우의정 조병세에게 하유하다
- 세자시강원의 교서에 준명지보를 찍는 것을 규례로 정하라고 명하다
- 홍우창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전 교리 임원상이 사치를 억제하는 것과 검박한 생활에 대해 상소를 올리다
- 심순택에게 명소패를 도로 전하고 집으로 돌아오도록 하다
- 영의정 심순택에게 하유하다
- 경무대에 나아가 관학 유생들에게 응제를 설행하다
- 영의정 심순택에게 두 번째로 하유하다
- 영의정 심순택에게 세 번째로 하유하다
- 우의정 조병세에게 두 번째로 하유하다
- 오익영을 이조 참판에, 심이택을 홍문관 제학에 임명하다
- 전 교리 임원상을 숙천부에 배소를 정하였다고 보고하다
- 경무대에 나아가 선파의 유생들에게 응제를 설행하다
- 직부전시한 이해창에게 사악하도록 하다
- 영의정 심순택에게 네 번째로 하유하다
- 심순택이 의금부 문밖에 엎드려 엄한 처벌이 내리기를 기다린다고 이조 참판 오익영이 아뢰다
- 영의정 심순택에게 다섯 번째로 하유하다
- 심순택이 다시 물러나와 엎드려 처벌을 기다린다고 이조 참판 오익영이 아뢰다
- 권면하는 명에 응하지 않은 영의정 심순택에게 파직의 처벌을 시행하도록 하다
- 우의정 조병세가 사직하는 상소를 올리다
- 경무대에 나아가 구일제를 행하다
- 전 영의정 심순택을 서용하여 다시 재상직에 임명하다
- 영의정 심순택에게 하유하다
- 우의정 조병세에게 세 번째로 하유하다
- 이용태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영의정 심순택에게 두 번째로 하유하다
- 조병세가 두 번째로 상소를 올려 사직을 청하다
- 영의정 심순택에게 세 번째로 하유하다
- 우의정 조병세에게 네 번째로 하유하다
- 영의정 심순택을 천안군에 중도부처하도록 하다
- 조병세가 세 번째로 상소를 올려 사직을 청하다
- 영의정 심순택을 중도부처하라고 한 명령을 도로 철회하라고 명하다
- 영의정 심순택에게 하유하다
- 우의정 조병세에게 다섯 번째로 하유하다
- 수원 유수 김홍집이 수원부 성안의 소란에 대해 보고하다
- 민정식을 시강원 겸보덕에 임명하다
- 영의정 심순택에게 재차 하유하다
- 홍철주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우의정 조병세가 네 번째로 상소를 올려 사직을 청하다
- 우의정 조병세에게 여섯 번째로 하유하다
- 영의정을 직접 맞이할 뜻을 예조 판서를 보내 영의정에게 전유하도록 하다
- 승정원에서 직접 대신을 맞이하겠다는 명령을 철회할 것을 아뢰다
- 홍문관에서 연명으로 차자를 올려 내린 명령을 취소할 것을 청하다
- 영의정 심순택이 문밖에서 처분을 기다리는 것에 대해 동가하는 명을 거둘 것을 명하고 하유하다
- 영의정 심순택을 인견하다
- 조선과 일본 양국 사이에 통어 장정을 체결하다
- 이종건을 한성부 판윤에 임명하다
- 영의정 심순택이 상소를 올리다
- 우의정 조병세를 소견하다
- 세 항구의 방판을 순서대로 파견하여 항구사무를 처리하게 하고 근무 기한이 차면 본 벼슬에 다시 붙이는 것을 정식으로 삼도로 하다
- 영의정 심순택이 상소를 올려 면직시켜 줄 것을 청하다
- 동궁이 《논어》의 강론을 마치고 문묘에 나아가 작헌례를 행하다
- 해당 도신과 수신이 장계로 청하여 의정부에서 복계하므로 청한 대로 허락하라고 명하다
- 서상조를 대사헌에, 이희원을 대사간에 임명하다
- 경무대에 나아가 관학 유생의 응제를 행하다
- 세자가《논어》 제5권의 진강을 마쳤으므로 사 이하에게 시상하다
- 안핵사 김규식이 광양현의 소란에 죄인 정홍기와 박상룡을 효수하고 백성들을 경계시켰다고 보고하다
- 경범 죄수들을 석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