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종개수실록23권, 현종 11년 8월
-
-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 경기 장단 등에 서리가 내리다
- 제주에 비 피해가 생기다
- 영중추 이경석의 재난·토목 공사·백성 구제 등에 관한 차자
- 대사간 심재 등이 공주의 집 건축에 관해 아뢰다
- 정언 조근이 처녀 간택 일로 인피하여 체직되다
- 말 한 마리가 도망나오다
- 편전 세 발을 명중시킨 홍귀성을 전시에 직부하다
- 장선징·윤계·정창도·이익형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사간 이익상이 흉년 구제책을 건의하다
- 함경도에 큰 비가 오는 등 여러 지역이 재해를 입다
- 헌납 이하와 대사간 심재가 의견이 맞지 않아 인피하다
- 사간 이익상 등이 집의 최유지와 정언 정창도에게 죄주기를 청하다
- 전라도 용담 등에서 재해가 발생하다
- 김우형·남이성·정치화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경상도에 큰물이 지다
- 북도 행영 추방의 역을 정지시키다
- 합동 조련과 영장이 순찰하는 등의 일을 정지시키다
- 평안 감사 민유중의 죄인을 강변에 정배치 말라는 치계
- 홍처대·조근·박세견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장원한 유정교를 곧바로 회시에 응시하게 하다
- 평안 감사 민시중의 연분 조사 민폐에 관한 치계
- 경기에 서리가 내리고 소의 전염병이 번지다
- 이지무·신후재·이간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병환이 회복되어 약방의 관리들에게 상을 내리다
- 삼성 죄인 도치가 사형되다
- 집의 이규령 등이 한안 군수 김진원과 감찰 김성일의 죄를 고하다
- 우찬성 송시열·좌참찬 송준길·찬성 이유태를 불렀으나 오지 않다
- 백성을 모아 버려진 아이들을 길러 노비로 삼게 하다
- 진선 윤원거가 세자의 교육에 관해 아뢰다
- 소의 역질이 크게 번지다
- 집의 이규령 등이 인피하여 체직되다
- 경상도 영천군 등에 재해가 발생하다
- 송준길·홍주국·유헌·김세행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사간 이익상 등이 공주의 집 건축 중지를 건의하다
- 경상도 울산부에 큰물이 져 사람이 죽자 휼전 거행을 명하다
- 울산의 사비 향춘이 효성을 다하였기에 정려하다
- 경상 감사 민시중이 백성 구제에 관해 청하다
- 영의정 정태화가 병으로 사직을 청하다
- 여러 신하와 공주의 집 건축 문제를 논의하다
- 대관을 조사하여 추고하라는 일은 말라고 하다
- 장령 정화제가 인피하여 체직되다
- 평안 감사 민유중의 백성 구제에 관한 치계
- 양심합에서 뜸을 맞다
- 민정중을 불렀으나 사양하고 오지 않다
- 뜸을 맞다
- 민점·이정기·송규렴·강백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이익상 등이 별궁 수리 때에 내관의 말을 들으라는 명의 잘못을 아뢰다
- 경기 교동진에 배가 뒤집혀 사람이 죽자 휼전 시행을 명하다
- 평안도 의주 등에 우박이 내리다
- 강도의 미곡을 용도에 보충하게 하다
- 물에 빠져 죽은 자가 발생하니 휼전을 베풀다
- 백성 진휼을 논의하다
- 뜸을 맞다
- 하흥군 조한영의 졸기
- 전라도 화순현에 큰 바람이 불다
- 전 판서 오정일의 졸기
- 팔도에 기근이 심해지다
- 황해도에 8천여 마리의 소가 죽다
- 뜸을 맞다
- 맹주서·윤비경·김석주·임유후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대사간 심재 등이 군관의 수효 정하기를 청하다
- 내수사의 물품으로 구제할 밑천에 보충하다
- 호군 민정중이 소명을 사양하다
- 뜸을 맞다
- 작고한 공신 이시백 등에게 월름을 주게 하다
- 경상 감사 민시중의 백성 구제에 관한 치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