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실록23권, 고종 23년 3월 1일 甲午 1번째기사
1886년 조선 개국(開國) 495년
- 고종실록23권, 고종 23년 3월
-
- 김수현을 공조 판서에 임명하다
- 의정부에서 관용미를 대납할 것을 아뢰다
- 소대를 행하다
- 형조에서 율문을 인출할 것을 아뢰다
- 세자 시강원 등에 은배를 하사하다
- 제주 진사 김병윤이 과거를 볼 때 제주 이름을 쓰는 것과 관련하여 상소를 올리다
- 소대를 행하다
- 미국인 데니를 협판내무부사 겸 관외아문장교사당상에 임명하다
- 소대를 행하다
- 해방 아문을 친군 기연해방영으로 칭하도록 하다
- 이재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경무대에 나아가 경과 정시를 행하다
- 영의정 심순택이 한성부의 하례들이 과거를 보는 유생들에게서 금전을 요구하는 것을 단속하도록 아뢰다
- 소대를 행하다
- 승문원에서 진동서를 한성에 파견하여 전기 사무를 총판하는 것에 대해 중국에 자문을 보낼 것을 아뢰다
- 삼일제를 실시하다
- 김영수를 이조 판서에, 정우식을 전라우도 수군절도사에 임명하다
- 소대를 행하다
- 성대영을 대사간에, 조신희을 대사성에 임명하다
- 충청우도 암행어사 이범조를 소견하여 홍주 전 목사 김상봉 등을 포상하고 승서하도록 하다
- 인천항을 호위할 군사를 둘 것에 대해 윤허하다
- 노비 문제에 대한 절목을 만들어 경외에 알리고 시행하도록 하다
- 융무당에 나아가 일내금군과 서북 별부료 군관들의 시사를 행하다
- 통제사 이규안을 소견하다
- 조병세를 대사헌에, 유치익을 대사간에 임명하다
- 융무당에 나아가 용호영, 별영, 연융대 각색군의 시예를 행하다
- 시강원에 나아가 세자시강원 관원에게 선온을 행하다
- 주연에 나가 법온을 베풀고 시강원 사 이하를 별단으로 올리도록 명하다
- 윤자덕을 예문관 제학에, 민영소를 홍문관 부제학에 임명하다
- 경범 죄인들을 방송하다
- 경무대에 나아가 문무관의 중시를 행하다
- 부호군 이명철이 도적 방지에 대한 상소를 올리다
- 경상 감사 남일우가 화적 김옥이 등 18명을 효수하고 사람들을 경계시켰다고 보고하다
- 경무대에 나아가 관학 유생의 응제를 행하다
- 근정전에 나아가 춘도기를 설행하다
- 민영돈에게 사악하도록 하라고 명하다
- 북원에 나아가 망배례를 행하다
- 홍철주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이준용에게 사악하도록 명하다
- 홍문관에 나아가 선온하다
- 영관에서 강론할 때 동궁이 시좌했으므로 홍문관 영사 이하를 별단에 써서 들이라고 명하다
- 황해 병사 정기택과 경상 우병사 윤영구의 직위를 서로 바꾸도록 명하다
- 흥복전에 나아가 홍문관의 진전을 친히 받다
- 이중칠을 이조 참판에 임명하다
- 융무당에 나아가 해방영 병정들의 연조를 행하다
- 세자시강원과 세자익위사에게 선온할 때와 진전을 받을 때에 참가한 사 이하에게 시상하다
- 이종건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홍문관에서 선온할 때의 영사 이하에게 시상하다
- 한림 권점을 행하여 권숙 등을 추천하다
- 직각 권점을 행하여 김세기 등을 추천하다
- 서상조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소대를 행하다
- 태묘의 하향 대제를 친행하는 것에 대한 명령을 철회할 것을 윤허하다
- 한장석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육상궁, 연호궁, 선희궁에 나아가 전배하다
- 소대를 행하다
- 경과 정시의 문무과 방방을 행하다
- 김양현을 동부승지에, 민영상을 충청도 관찰사에 임명하다
- 새로 급제한 남정필 등에게 사악하도록 하다
- 조길하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이병홍을 참상 선전관에 가설하여 단부하도록 명하다
- 친군 기연해방영의 연조 때의 장관 이하에게 시상하다
- 대교 권점을 행하여 이준용 등을 추천하다
- 이준용을 규장각 대교에, 이승오를 시강원 겸 보덕에 임명하다
- 소대를 행하다
- 호군 신환 등을 원악도 정배하도록 명하다
- 임상준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평안도의 성향미 정황을 조사하도록 명하다
김인후(金麟厚)
- 성명김인후(金麟厚)
- 신분문반
- 자후지(厚之)
- 호하서(河西)
- 본관울산(蔚山)
- 생년1510
- 몰년1560
- 국가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