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조실록87권, 영조 32년 1월
-
- 대왕 대비전·육상궁·임금 등이 존호를 받다
- 김상복을 이조 참의로 삼다
- 대신과 비국 당상을 불러 존호를 받은 일에 대해 이야기하다
- 각도에 사단을 깨끗이 하도록 하고 윤음을 내리다
- 유신을 불러 《시경》 대아편을 강하다
- 명정전에 나가 대사면의 교서를 반포하다
- 경상 감사 이익보가 상소하여 도내 흉년을 보고하고 조세 감면을 청하다
- 성균관 유생을 시험하고 윤면동·조몽린 등 4인을 뽑아 직전 부시케 하다
- 황인검·이정보·홍계희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유성이 진성 아래에서 나와 서쪽 하늘가로 들어가다
- 유신을 불러 《자성편》을 강하다
- 정언 심이지가 삼사를 대우하라고 상서하다
- 동궁의 빈대와 비국의 개좌는 재일이라도 정지하지 말도록 하다
- 병조 판서 홍봉한을 이철보로, 형조 판서 정익하를 정형복으로 교체하다
- 대사간 임위의 청으로 종성 부사 이사조를 충군토록 하다
- 전라도 유생 김여 등이 송시열·송준길의 종사를 청했으나 불허하다
- 이규휘·정충언·오봉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흉년으로 인해 수군·육군의 조련을 정지토록 하다
- 팔도·삼도에 하유하여 기민을 진휼토록 하다
- 궁원의 조천에 대해 사관에게 기록토록 하다
- 유신을 불러 소현 세자의 심양에서의 일기를 읽게 하다
- 김상중을 대사간, 심발을 부수찬으로 삼다
- 삼황 기신의 망배 때 내릴 윤음을 쓰도록 하다
- 동궁을 탑전에 입시케 하여 동궁이 지은 춘첩시에 대해 이야기하다
- 각도의 군작의 남용과 수령의 요판(料販)을 금지토록 하다
- 왕세자의 상참에서 김상로의 건의로 호서·기내 도적의 기포를 강화토록 하다
- 양사에서 언로를 열어 간언을 받아 들이도록 상달했으나 불허하다
- 유신을 불러 《자성편》을 강하고, 수찬 이최중에게 초모를 하사하다
- 사족 부녀의 가체를 금하고 족두리를 쓰게 하다
- 유신을 불러 《자성편》을 강하고, 선혜청에 거지에게 죽을 먹이도록 명하다
- 관학 유생 유한사 등이 송시열·송준길의 종사를 청했으나 불허하다
- 유신을 불러 《시경》을 강하고, 《송사(宋史)》를 논하다
- 사간원에서 북병사 이태상을 신문하고 처벌하기를 청했으나 불허하다
- 관학 유생 황채 등이 송시열·송준길 등의 종사, 김창집 등의 정려를 청했으나 불허하다
- 왕세자가 차대하다
- 사간원에서 전달을 거듭 상달하였으나 불허하다. 이사조의 일을 정달하다
- 호랑이가 전생서의 희생장에 들어오다
- 명정문에서 백관의 조참을 받고 백성을 구제하는 방안을 아뢰게 하다
- 8년을 한정하여 백성의 구포를 제거토록 하다
- 진사 이인빈이 상서하여 송시열·송준길의 종향을 청했으나 불허하다
- 경기·강원·경상·충청도에 암행 어사를 분견하다
- 세자와 춘방관을 부르고 《강목》을 진강토록 하다
- 좌의정 김상로·형조 판서 정형복에게 사형수를 감형토록 하다
- 유최기·유언술·송덕중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아비를 죽인 김이도리를 복주시키다
- 홍양한을 수찬, 홍봉한을 예조 판서로 삼다
- 사직 남유용 등이 원손의 보양관을 2인 증원토록 청하다
- 왕세자가 차대하다
- 표류한 청나라 사람 40인을 돌려 보내자 사례하는 자문이 오다
- 생원 채항하 등이 상서하여 송시열·송준길의 종향을 청했으나 불허하다
- 유신을 불러 《시경》 소아를 강하다
- 청의 복건성 상인 24명이 영광 등지에 표류하자 자문과 함께 송환하다
- 왕세자가 태묘에 전알하고 영녕전에 나가다
- 태학의 장의를 불러 송시열 등의 종향과 사대신의 정려에 대해 이야기하다
- 유신을 불러 《심양일기》를 읽히고 소현 세자를 배종한 후손을 녹용토록 하다
- 왕세자가 차대하다
- 문관·음관·무관 아경의 실직을 거치지 않은 자는 시호를 내리지 말도록 하다
- 김한철을 대사성, 이정보를 판의금으로 삼다
- 중관을 엄하게 부려 조금만 잘못해도 처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