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종실록14권, 명종 8년 2월
-
- 승정원에 승려에 대한 추쇄령을 내리다
- 사간원에서 감사들에게 추쇄령을 다시 내리지 않도록 간하다
- 햇무리가 지다
- 풍운뇌우 산천 성황제에 쓸 향축을 친히 전하다
- 추쇄령을 정지하도록 전교하다
- 석강에 나아가다
- 홍문관 부제학 정유 등이 승려들의 추쇄령에 대해 상차하다
- 조강과 석강에 나아가다
- 오시에 태백이 사방에 나타나다
- 조참을 받고 조강에 나아가다
- 예조에서 선농제의 시각에 관해 아뢰다
- 대신들이 종묘에 제향드릴 때 예문에 따라 행하도록 청하다
- 정청에 관작을 제수할 때 공도에 따라 할 것을 명하다
- 주강에 나아가고 소대하다
- 소대하다
- 오시에 태백이 나타나다
- 삼공이 선농제의 시각을 조정할 것을 청하다
- 전라도 순천 등 10여 읍에 지진이 일어나다
- 문묘 석전제에 쓸 향축을 전하다
- 주강과 석강에 나아가다
- 햇무리가 지다
- 이몽량·홍담·성세장·민응서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야대에 나아가다
- 햇무리가 지다
- 무역에 불만을 품고 돌아가지 않은 객사의 일을 의논하게 하다
- 대신들이 왜와의 무역량을 변경하지 말 것을 아뢰다
- 햇무리가 지다
- 아침에 문소전에서, 저녁에 연은전에서 시선하다
- 햇무리가 지다
- 주강과 석강에 나아가다
- 세성이 사경이 되어 나타나다
- 승정원에서 봉성군 이완에게 부의를 보내지 말도록 청하다
- 사헌부에서 이완의 아내가 상을 당함에 부의를 보내지 말도록 청하다
- 심수경을 홍문관 응교로 삼다
- 햇무리가 지다
- 사헌부에서 평안도 평사 김내라를 체직시키도록 청하다
- 주강과 석강에 나아가다
- 주강과 석강에 나아가다
- 사간원에서 이천 부사 이홍남을 파직하도록 청하다
- 밤에 운기가 나타나다
- 두 대비를 위해 강녕전에서 헌수하다
- 밤에 달무리가 지다
- 아침에 문소전에서 시선하고, 저녁에 연은전에서 시선하다
- 동지사 민기가 북경에서 돌아오다
- 예조에서 객사가 서계를 수령하지 않고 있음을 아뢰다
- 대신이 객사에게 줄 서계를 수정하지 말도록 청하다
- 조희·이언충·이감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노비 요광을 전가 사변하지 못하게 하다
- 대신이 노비 요광의 일을 아뢰다
- 창덕궁으로 이어하다
- 억울하게 전가 사변한 사람들의 죄 1등을 감하게 하다
- 승정원에서 사노를 놓아주라는 명에 대해 아뢰다
- 삼공이 재변이 있음을 이유로 헛된 비용을 줄일 것을 간하다
- 선위사 이감이 왜의 사자 안심동당의 일을 아뢰다
- 사간원에서 객사의 일을 잘못처리한 김윤종과 역관을 추고할 것을 간하다
- 사헌부에서 이미 정해진 죄율에 대해 번복하지 말 것을 간하다
- 선위사 이감이 왜 사신의 서계 개수 요청을 아뢰다
- 심연원·정유선 등이 서계를 개수하는 것이 부당함을 아뢰다
- 왜사의 서계 수정 문제로 대신들이 의논하다
- 선정전에서 대왕 대비와 함께 수렴하다
- 대신이 왜의 객사가 돌아갈 때까지 김윤종을 잉임시킬 것을 아뢰다
- 대례 거행시의 진전과 진하 문제에 대해 의논케하다
- 예조에서 객사가 공서계를 청함을 아뢰다
- 왜의 객사에게 공서계를 만들어 주도록 하다
- 선위사 이감이 왜사들이 다시 무역을 늘려줄 것을 청함을 아뢰다
- 햇무리가 지고 밤에 불같은 운기가 나타나다
- 사간원에서 김윤종을 체직시킬 것을 계청하다
- 삼공이 왜사에게 공서계를 줄 것을 청하다
- 사간원에서 경주의 도적 수습을 위해 새로운 부윤을 임명할 것을 청하다
- 신광한·김관중·송찬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영경연사 심연원이 경주의 새 부윤 서용 문제에 대해 아뢰다
- 주강과 석강에 나아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