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실록18권, 고종 18년 9월 1일 경인 1번째기사
1881년 조선 개국(開國) 490년
- 고종실록18권, 고종 18년 9월
-
- 동래부 암행어사 민종묵 등을 소견하다
- 동래부 암행어사 조병직을 소견하다
- 전 중군 조중호 등을 사적과 유적에서 영원히 삭제할 것을 윤허하다
- 추국 죄인 안기영 등과 자현인 이재선을 봉초하고 가두다
- 송순혁을 특별히 용서하다
- 포도청으로 하여금 통지한 데 따라서 죄인을 데리고 왕래하게 하다
- 죄인 안기영과 고변인 이풍래 등을 면질시킨 뒤에 형을 정지하다
- 죄인을 엄히 국문하도록 추국청에 분부하다
- 정건조를 대사헌에, 김원식을 한성부 판윤에 임명하다
- 시임 대신과 원임 대신이 연명으로 상소를 올려 옥사의 문제를 아뢰다
- 이재선을 형구를 채워 남간에 옮겨 가두다
- 도통사 이경하와 어영 대장 민태호의 직책을 서로 바꾸다
- 시임 대신과 원임 대신이 연명으로 상소를 올려 처벌할 것을 청하다
- 의금부 당상이 연명으로 상소를 올려 자인하다
- 위원군의 표호와 수재를 당해 죽은 사람에게 휼전을 베풀다
- 한계원의 위관의 직임을 홍순목으로 대신하도록 명하다
- 송상순이 상소를 올려 한계원을 처벌할 것을 청하다
- 추국을 해야 할 대신들이 대간의 규탄을 받고 성 밖으로 나가버리다
- 홍순목, 김병국이 연명으로 상소를 올려 자인하다
- 의금부 당상 윤자덕 등이 연명으로 상소를 올려 자인하다
- 이재선을 원정 후에 명창록, 안기영과 더불어 면질시키다
- 건원릉 등에 나아가 친제하다
- 건원릉, 숭릉 등의 친제 때의 아헌관 이하에게 시상하다
- 유도석, 정관민을 체포할 것을 윤허하다
- 도망간 죄인 이병식을 체포하다
- 안기영, 이재선 등을 다시 추국하다
- 두 포도대장은 죄명을 지닌 채로 직무를 거행하도록 명하다
- 홍순목, 김병국이 연명으로 상소를 올려 죄인들을 국문할 것을 청하다
- 진전에 나아가 다례를 행하다
- 병조 등에서 아병군을 없앨 것을 아뢰다
- 조병우를 임피현에 정배하다
- 양사에서 연명으로 상소를 올려 이재선을 추국할 것을 청하다
- 홍문관에서 연명으로 상소를 올려 엄하게 형추할 것을 청하다
- 시임 대신과 원임 대신이 대간의 말이 거듭 나온 것과 관련하여 황축하여 성 밖으로 나가다
- 정건조와 심상목을 체직을 명하였으나 다시 임명하다
- 두 포도대장의 과오를 추고할 것을 명하다
- 시임 대신과 원임 대신이 연명으로 상소를 올려 자인하다
- 풍덕 등 고을에 10년 동안 조세를 감면해 주라고 명하다
- 윤자덕 등이 연명으로 상소를 올려 자인하다
- 의금부 당상들을 정원으로 하여금 신칙하여 들어오게 한 다음 개좌하도록 하다
- 공금을 축낸 당시의 황해 감사를 현고를 받고 견파하도록 하다
- 조봉하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이상수가 사직을 청하였으나 허락하지 않다
- 경상도의 목화농사가 흉년이 들다
- 덕원부의 일본인 거주지 표계 안에 있는 논밭의 조세를 견감해 주라고 명하다
- 대구 등 고을의 재해를 당한 사람들에게 휼전을 베풀다
- 죄인 이재선과 한성근 등을 면질시키다
- 어영 대장 이경하와 총융사 민겸호의 직책을 서로 바꾸다
- 진전에 나아가 다례를 행하다
- 소대를 행하다
- 춘당대에 나아가 서총대의 시사를 행하다
- 남행 선전관 이준한에게 사제하라고 명하다
- 죄인 유도석을 잡아와 남간에 가두다
- 춘당대에 나아가 서총대 군교의 시사를 행하다
- 엄세영, 이원회를 도총부 부총관에 임명하다
- 인정전에 나아가 종묘 동향 대제를 거행하고 서계를 받다
- 영선사 김윤식 등을 소견하다
- 홍대중을 대사성에 임명하다
- 태묘의 동향 대제를 섭행하도록 하다
- 대신, 의정부 당상, 경리사 당상을 인견하다
- 인정전에 나아가 추도기를 설행하다
- 새로 급제한 윤구에게 사악할 것을 명하다
- 김낙현이 상소문을 올렸는데, 빨리 조정에 입사할 것을 명하다
- 인정전에 나아가 구일제를 행하다
김인후(金麟厚)
- 성명김인후(金麟厚)
- 신분문반
- 자후지(厚之)
- 호하서(河西)
- 본관울산(蔚山)
- 생년1510
- 몰년1560
- 국가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