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숙종실록6권, 숙종 3년 8월
-
- 대사간 이원정·정언 박진규가 고묘하기를 청했으나 윤허하지 않다
- 유성이 동쪽에서 나오다
- 박상형·안여석·오시대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나중기의 상소 내용에 변론한 부호군 윤휴의 상소문
- 대신과 비변사의 제신을 인견하다
- 이석징의 상소에 변론한 형조 참판 여성제의 상소문
- 아버지 이완에 대한 이인척의 상소문
- 이당규·송정렴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하직하는 수령을 인견하다
- 기생을 보내어 잔치를 연 감사 민암·민종도를 파직하다
- 고묘 시기가 지났다고 한 장령 박상형을 체차하다
- 해주·평양 등지에서 비바람으로 농사에 피해를 입다
- 유성이 하늘 복판에서 나와 남쪽으로 들어가다
- 박세당·이달의·목천성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하직하는 수령을 인견하고 칙유하여 보내다
- 과천의 유생 허동 등이 상소하여 고묘하기를 청하다
- 고묘·호패·진제에 관한 부호군 조성의 상소문
- 조원기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전 판서 김휘의 졸기
- 영의정 허적이 사직하기를 청했으나 윤허하지 않다
- 고묘하기를 청한 유생 이석징 등의 상소문
- 하직하는 수사·수령을 인견하다
- 주강에 나아가다
- 오정창·유하익·이무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이석징에 내린 정거의 벌을 해제하라고 하다
- 하직하는 수령을 인견하다
- 주강에 나아가다. 윤대관을 인견하다
- 유성이 우림성 아래에서 나오다
- 대신과 비변사의 제신을 인견하다
- 조사석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차사원과 하직하는 변장을 인견하다
- 양심잠을 올린 교리 이봉징에게 말안장을 내리다
- 이항·심벌·목천성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중죄 이하의 유생들은 풀어주게 하다
- 하직하는 수령·차사원을 인견하다
- 둔전 혁파·도적 방지 등에 관해 온양 군수 박이문이 상소하다
- 하직하는 수령·차사원을 인견하다
- 우의정 허목이 칭병, 사직을 청했으나 윤허하지 않다
- 유성이 북두성 위에서 나와 건방으로 들어가고 달이 동정성 쪽으로 들어가다
- 김우석·김덕원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수성역과 북병영을 하나의 영으로 만들어 찰방이 교련시키게 하다
- 양병·보민 등에 관해 예빈시 정 정지익이 상소하다
- 대신과 비변사의 제신을 인견하다
- 과거 선발의 폐단에 관한 유학 원선경의 상소문
- 유명천·이봉징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정거된 유생을 사사로이 해제한 장무관을 파직하다
- 주강에 나아가다
- 남별전에 나가 작헌례를 거행하다
- 대신과 비변사의 제신을 인견하다
- 조사석·이침·심재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주강에 나아가다
- 주강에 나아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