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해군일기[중초본]141권, 광해 11년 6월
-
- 대사헌 윤수민이 풍문을 핑계하여 부정을 한 헌부 관원의 일로 인피하다
- 군기·군량을 준비한 홍경소 등에게 가자하게 하다
- 집의 최호가 윤수민의 피혐으로 체직을 청하다
- 지평 임흥우가 윤수민의 피혐으로 체직을 청하다
- 장령 채겸길이 윤수민의 피혐으로 체직을 청하다
- 경상도 성주의 가야산 제2봉이 가뭄으로 붕괴되다
- 지평 한정국이 대사헌 윤수민의 배척을 당한 일로 체차를 청하다
- 대사간 이위경 등이 윤수민을 체차시킬 것 아뢰다
- 영중추부사 한효순이 사면과 복직에 답하는 차자를 올리다
- 대신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대사간 이위경 등이 서궁 폐출을 청하다
- 양사가 존호 올리는 일, 원종·서궁·이의창의 일로 아뢰다
- 양사가 합계하여 강홍립 등의 가속 구금을 아뢰나 불윤하다
- 홍문관 교리 황익중 등이 왕에게 양사의 일을 따를 것을 아뢰다
- 승정원이 양사와 대간의 계사를 올린 일로 인피하다
- 우의정 조정이 강화의 정세를 살핀 결과를 별단으로 아뢰다
- 의금부가 역적 옥사로 지방에 갇힌 역적 일족을 조사하여 계문할 것을 청하다
- 대신들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삼청동 기찰 임무에 태만한 좌우도 포도 대장을 추고시키다
- 정규를 승지로, 한급을 예조 정랑으로 삼다
- 호조 판서 김신국이 공명첩과 고신으로 응모하여 은자를 거둘 것을 청하다
- 사헌부가 전라 병사 이염을 탄핵하여 파직을 청하다
- 재신 및 명관 집안으로 투탁한 공장의 무리를 수색하도록 하교하다
- 이희신 등의 관작을 삭제하도록 명하다
- 대제학 이이첨이 후진 양성을 위해 박홍미 등을 선출하여 입계하다
- 양사가 합계하여 인피하고 체차할 것을 청하다
- 사헌부가 거산 찰방 곽천구 등을 탄핵하다
- 사간원이 이희신의 옥사로 대장 및 종사관의 추고를 청하다
- 왕이 양사가 합계한 것에 비답을 내리다
- 홍문관이 왕이 양사의 합계에 따르기를 청하는 차자 올리다
- 금부가 이희신·이희현 등을 형문하나 자복하지 않다
- 이희신·이희현 등을 다시 국문토록 하다
- 약방 제조 이이첨이 대전의 약봉지 도난을 아뢰고 대죄하다
- 김응하의 사당에 ‘충렬’이라는 편액을 하사하다
- 사간원이 약봉지의 도난으로 담당 의관 및 하인들을 국문할 것을 청하다
- 왕이 심한 안질로 급하지 않은 계사는 올리지 말도록 명하다
- 승정원이 대간의 계사를 받아들였음을 아뢰다
- 사헌부가 황상겸을 추고하게 하고 의관 등을 처치할 것 아뢰다
- 사헌부가 비밀리 한릉감 이해수 등을 나포하여 국문하도록 청하다
- 위관 조정이 이희신 등을 삼성 국문 함이 부합되는지 계문하다
- 사간원이 내국 의관 및 담당 하인 등을 엄히 국문하기를 청하다
- 승정원이 대간의 계사를 받아들임을 아뢰다
- 왕이 사간원의 계사에 대해 질책하다
- 지평 한정국이 이희신 등의 삼성 국문을 살피지 못한 일로 인피하다
- 정언 김주하가 인피하다
- 대사헌 남근이 이해수 등을 삼성 추국 하도록 잘못 논한 일로 인피하다
- 사간 임건이 이해수 등의 일로 체차하기를 청하다
- 장령 안경이 이해수 등의 일을 살피지 못 한 과실로 인피하다
- 집의 최호 등이 이해수 등의 과실로 인피하다
- 채겸길·임흥후도 인피하다
- 대사간 이위경이 계사에서 왕에게 질책받은 일로 인피하다
- 좌의정 박홍구가 질병으로 사직을 청하다
- 홍문관이 양사를 모두 출사시키도록 청하다
- 신칙을 헌납으로, 이현영을 겸필선으로 삼다
- 홍사효를 성천에 구임하도록 명하다
- 진주사 이병이 연경에서 치계하다
- 영건 도감이 가위장 이수준이 면포 납입한 일을 아뢰다
- 예조가 칙서를 맞이하는 의례에 대해 아뢰다
- 동부승지 조찬한이 주사를 보완히는 시급함을 아뢰다
- 당상 이상의 무신 중 외부에 있는 자들을 소집하도록 명하다
- 비변사가 사은사에 동지사도 차송하여 명의 폐를 덜어주도록 청하다
- 죄인 이선행이 석재를 헌납함으로써 직첩을 돌려주어 방면시키다
- 사간원이 이선행에게 내린 명을 환수할 것을 청하다
- 대신들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예조가 차관의 칙서에 나례를 행함이 과함을 아뢰나 불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