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조실록122권, 영조 50년 2월
-
- 팔도에 명하여 부세와 요역을 특별히 감하다
- 왕세손이 상소하여 하례를 받을 것을 청하다
- 사간 이숭호가 상소하여 하례를 행하는 날에 음악을 설시하도록 청하다
- 약방의 담당자들에게 차등있게 시상하다
- 조정에서는 뜰에서 문안하고, 왕세손은 백관을 거느리고 뜰에서 하례하다
- 책제를 써서 내리고 여러 신하에게 응제하게 하다
- 주원의 직숙을 철거하고, 여러 대신에게 입시하라고 명하다
- 대신 등을 인견하고, 영의정 김상복의 청에 의해 이산 부사 윤광소를 파직하다
- 이장오를 판의금부사로 삼다
- 해운군 이연 등이 연명으로 상소하여 유양의 의식을 거행하도록 청하다
- 대신 등을 소견하고, 갑산의 환상곡 중 축이 난 1천여 석을 탕감하도록 명하다
- 향시에 합격해 올라온 82세인 사람이 서울에 머무는 동안의 양식을 보살피게 하다
- 붉은 유성이 방성 아래에서 나와 서방으로 들어가다
- 시임·원임 대신과 봉조하를 인견하다
- 이창임을 승지로 삼다
- 김응순이 시노비의 고질적인 폐단을 가지고 건의하여 진백하다
- 신방 진사로 문경에 사는 이세림을 소견하고 첨지중추부사를 제수하다
- 내국에 명하여 윤직을 하도록 하다
- 강주제를 강릉 참봉으로 삼다
- 여러 대신이 성상의 덕을 유양할 것을 청하자, 옛집에 거둥하도록 명하다
- 풍형을 행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하교하다
- 임희교를 대사헌으로, 서형수를 대사간으로 삼다
- 원임 대신은 해직하고 하교는 도로 정지하며, 삼공은 전임에 제배할 것 등을 명하다
- 삼상을 소견하여 존호를 올리는 일에 대하여 이야기하다
- 율제를 써서 궁중에 입직하는 사람들에게 시험으로 보이라고 명하다
- 상주 유생 채경룡이 상소하여 효종의 어필과 어제를 헌상하다
- 서춘군 이엽이 상소하여 숙종의 존호를 올리고 유양할 것 등을 청하다
- 저경궁의 생신일로, 의식을 행하도록 하다
- 덕유당에 나아가 친히 향을 전하고, 조종현 등에게 가가하는 등 시상하다
- 어제를 써서 세손에게 보이도록 명하다
- 이양수를 승지로 삼다
- 대신과 비국 당상을 인견하다
- 다음 영조 50년 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