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조실록10권, 정조 4년 9월
-
- 어가가 영릉에 나아가 고양에 머무르다
- 영릉에 제사지낸 후 파주에 머무르다
- 화평 옹주의 묘소에 제사지내다
- 환궁시 성문을 늦게 연 해당 승지와 당상을 파직시키다
- 파주부의 환곡 이자를 탕감하다
- 자지없이 부험만으로 도성 문이 열리자 영의정 김상철이 해당 당상의 처벌을 청하다
- 호남에서 익사한 장병들을 위로하고 구호케하다
- 사헌부, 사간원에서 홍주익의 국문을 요청하였으나 허락치 않다
- 영돈녕 이은이 도성문 관리 소홀로 죄를 자청하다
- 월산 대군의 사당 수리를 명하다
- 우의정 이휘지가 윤행수의 상소에서 비난받자 논죄를 자청하다
- 호남의 익사한 군졸들의 신·구 환곡을 탕감하다
- 훈련 대장 이주국의 관직을 삭제하다
- 이국현을 우포도 대장으로삼다
- 춘당대에서 서총대 시사를 행하다
- 영돈녕 이은의 사직을 허락치 않다
- 이치중을 사간원 대사간으로 삼다
- 성균관에서 구일제를 설행하다
- 차대하다
- 각 도에서 거둘 환곡의 양을 묘당에 의논케 하다
- 구일제에 삼제 때의 글을 그대로 쓴 유광진의 과거 응시를 금하다
- 주강하다
- 각사의 관원 중 범법한 자를 병신년 이후로 한정하여 조사케 하다
- 비변사에서 범법한 장흥고 등의 관리 처벌을 청하자 허락하다
- 윤대하다
- 승정원에서 범법한 경사 관리들의 파직을 청하다
- 영조 탄신일을 맞아 작헌례를 행하다
- 주강하다
- 이정병을 전라도 병마 절도사로 삼다
- 헌납 조진형이 홍주익에게 뚜렷한 공초를 받아내지 못한 판당 관원들을 비난하다
- 경모궁에 참배하다
- 판중추부사 채제공이 홍주익의 옥사로 인해 죄를 자청하다
- 전라 수영의 익사한 환란에 대해 통제사로 하여금 조사케 하다
- 이명식을 사헌부 대사헌으로, 이숭호를 사간원 대사간으로 삼다
- 이주국을 어영 대장으로 재임명하다
- 진하 겸 사은 정사 박명원 등이 청국 사정을 아뢰다
- 청국 황제가 금불상을 보내자 묘향산에 두게 하다
- 죄수들을 조사하여 사형죄는 즉각 처리하고 무고죄는 방면케 하다
- 지중추부사 김종수가 조진형의 상소로 사직을 청하였으나 허락치 않다
- 대사간 이숭호가 조진형의 관직 삭제를 청하자 허락하다
- 호조에서 대궐 수리를 청하자 대궐 감독을 담당한 낭관, 자문감 관원을 처벌하다
- 차대하다
- 김상철, 서명선등이 성절에 하례드릴 것을 요청하였으나 허락치 않다
- 좌의정 서명선이 김종수를 논핵한 조진형을 비난하다
- 영의정 김상철이 동지 사절을 사은 겸 동지사로 차출토록 요청하다
- 호조 판서 김화진이 변방의 요새인 동래, 의주의 일에 비국이 관여할 것을 청하다
- 대사간 이숭호가 북도에서의 전정의 폐단을 개선토록 청하다
- 정민시를 이조 참판으로, 윤승렬을 사간원 대사간으로 삼다
- 윤대하다
- 황경원, 김상철, 이휘지 등이 활인서의 혁파를 논의하다
- 구이겸을 우포도 대장으로 삼다
- 전 지평 이상정을 병조 참지에 제수하다
- 영의정 김상철이 전 지평 기언관의 채용을 청하자 허락하다
- 재신 홍양호·조종현·윤시동의 죄를 사은토록 이조에 하유하다
- 홍낙성을 한성부 판윤으로 삼다
- 대사헌 이명식이 조진형의 국문을 청하다
- 주강하다
- 김익을 예조 판서로 삼다
- 주강하다
- 김노진을 사헌부 대사헌으로 삼다
- 천둥하다
- 차대하다
- 언관에게 이제까지의 정사에 대해 평가토록 하다
- 천둥하자 옥당에서 경계할 것을 청하니 우악한 비답을 내리다
- 홍병찬을 홍충도 관찰사로 이동엽을 전라좌도 수군 절도사로 삼다
- 인정전에서 태묘의 동향 서계를 행하다
- 이전 정조 4년 8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