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종실록15권, 고종 15년 1월
-
- 대왕대비전이 71세가 된 것을 경축하여 축하문 등을 올리고 대사령을 반포하다
- 도승지를 시켜 운현궁에 문안하도록 하다
- 노인들에게 세찬을 내리다
- 팔도와 사도에 권농 윤음을 내려보내다
- 엄세영을 이조 참의에 임명하다
- 이재면을 지경연사에 임명하다
- 민성호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종묘와 영녕전에 나아가 전알하고 경모궁에 전배하다
- 삼영의 도제조, 분관과 월천, 종친과 의빈의 문안을 옛 규례대로 하도록 하다
- 대왕대비전에게 존호책과 인장을 가상하고 사면령을 반포하다
- 대왕대비전이 혼례를 치른 지 60년이 되므로 축하하는 의식을 대신들과 논의하다
- 경범 죄수들을 방송하다
- 경과는 초시를 면제하고 정시로 설행하라고 명하다
- 치사와 전문, 존호책, 인장 등을 올리고 진하할 때의 차비관 이하에게 시상하다
- 이경하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정기회를 형조 판서에 임명하다
- 황해 감사 정해륜을 소견하다
- 월식이 있다
- 성균관에서 인일제를 설행하다
- 직부한 민영환에게 사악하도록 하다
- 영의정 이최응이 사직을 청하는 상소를 올리다
- 신응조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약원에서 입진하여 산실청을 설치하도록 하다
- 윤자덕을 권초관에 임명하다
- 《선원보략》을 수정하는 종정경은 윤번으로 감동하도록 명하다
- 경연관 송병선에게 하유하다
- 전 황해 감사 이근필을 소견하다
- 박주운이 상소하여 사당 복구를 청하다
- 대왕대비전의 결혼 60돌을 축하하는 전문을 올리고 사령을 반포하다
- 경범 죄인들을 석방하다
- 이경하를 판의금부사에 임명하다
- 서원을 복구하도록 경상도 유생들이 상소하다
- 조세의 폐단과 군사 방어에 관하여 김병국 등과 논의하다
- 진하하는 전문 등을 올릴 때의 차비관 이하에게 시상하다
- 이유승을 대사성에 임명하다
- 경우궁에 나아가 전배하다
- 대왕대비전의 결혼 60돌을 경축하는 경과는 초시를 면제하고 정시와 합쳐서 거행하도록 하다
- 육상궁, 연호궁, 선희궁에 나아가 전배하다
- 육상궁과 경우궁의 제관은 옛 규례를 회복하여 삼헌관으로 마련하도록 하다
- 본궁에 동가하는 것은 하교를 기다리도록 명하다
- 경각사와 각 영에서 정축년 회계부를 바치다
- 이전 고종 1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