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조실록20권, 인조 7년 4월
-
- 오윤겸·이귀 등이 일본 사신을 대접할 것을 아뢰다
- 한성길·황대기를 사형하고 그 읍의 강등을 이조의 청으로 그만두다
- 이귀가 왜인의 사신을 막을 수 없음을 아뢰다
- 상이 주강에 자정전에서 서전을 강하고 그 내용으로 묻다
- 농상에 관한 하교
- 밤에 유성이 내병성을 아래에서 나와 헌원성으로 들어가다
- 비변사가 중국 조공길에 대해 아뢰다
- 밤에 유성이 하고성 아래에서 나오다
- 상이 주강에 자정전에서 서전을 강하고 그 내용으로 묻다
- 늙은 부모가 있는 사람은 중국에 보내지 말라는 하교
- 호역 김희삼이 금국 한의 서한을 가지고 들어오다
- 4도의 암행 어사를 인견하고 그 결과를 묻다
- 전 부장 홍여즙이 용호거를 만들겠다고 상소하다
- 비변사가 현방을 서울에 올라올 수 없게 하라고 아뢰다
- 이귀가 사신의 전대에 대해 차자를 올리다
- 문천군 민가에서 소가 3마리의 송아지를 낳다
- 선위사 정홍명이 현방을 서울에 올라올 수 있게 하라고 치계하다
- 태묘의 집사 이천유가 술잔을 올리다가 부딪쳐 엎지르다
- 이정구가 현방과 금의 사신의 처리에 대해 차자를 올리다
- 선위사 정홍명이 현방을 서울에 올라올 수 있게 하라고 치계하다
- 여주의 정경의와 수호군 길수익의 효행에 대해 감사가 치계하다
- 관상감이 천문도의 별을 추산하니 전일과 차이가 있다고 아뢰다
- 평안도 태천 고을에 연일 서리가 내리고 날씨가 추워 곡식이 말라 죽다
- 대신과 비국 당상관들이 박난영을 금에 보내는 일로 차대하다
- 상이 주강에 자정전에서 서전을 강하다
- 간원이 정지경과 백대규의 사악한 짓을 아뢰다
- 모문룡이 병선을 영솔하고 등주로 향하다
- 의주 등의 고을에 서리가 내려 벼가 말라 시들다
- 상이 주강에 서전을 강하다
- 조경이 수정 칼자루를 만드는 일은 검약이 아니라고 아뢰다
- 가뭄으로, 예조에서 기우제를 지내고 원옥을 정리하는 등을 아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