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종실록26권, 고종 26년 5월
-
- 조병필을 이조 참판에, 민종묵을 홍문관 제학에 임명하다
- 기한이 지났는데도 조세를 바치는 않은 고을에 대해 한 달 기한을 정해 독촉하여 바치게 하다
- 기우제를 날을 받지 말고 지내도록 예조에 분부하다
- 민영소를 지경연사에 임명하다
- 형조에서 의정부의 계사대로 도변수 등의 처벌에 대해 보고하다
- 조병세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북원에 나아가 망배례를 행하고 왕세자가 예를 행하다
- 봉심 대신 심순택을 소견하다
- 삼각산, 목멱산, 한강에서 첫 번째 기우제를 지내다
- 윤치성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전라도, 경상도에서 전에 거두지 못한 세납 중 쌀과 콩을 대납하도록 하다
- 용산강과 저자도에서 두 번째 기우제를 지내다
- 오경연은 익산군에, 천일성을 중화부에 정배하다
- 남단과 우사단에서 세 번째 기우제를 지내다
- 윤용선을 이조 참의에 임명하다
- 전라 감사 김규홍을 소견하다
- 육영 공원의 학도들과 유생들이 입시할 때의 옷차림을 정하다
- 행 호군 김명규는 천진주재 독리에, 병조 정랑 김상덕은 종사관에 임명하여 떠나게 하다
- 육영공원 당상에게 교사를 데리고 입시하라고 명하다
- 이호준을 판의금부사에 임명하다
- 태화궁에 나아가 육영공원 학원들의 끝내지 못한 시강을 행하다
- 네 번째 기우제는 날을 받지 말고 지내도록 통지하다
- 태화궁에 나아가 육영공원 학도들의 끝내지 못한 강론 시험을 행하다
- 경기의 유생 김사익 등 206명이 상소를 올려 《춘추》에서 쳐야 하는 의리에 근거하여 호소하다
- 경기 감사 오준영이 지평현 죄인 한용석과 유지영을 파출할 것을 아뢰다
- 경무대에 나아가 관학 유생의 응제를 행하다
- 왕세자가 《논어》 제4권 진강을 마친 후에 사 이하에게 시상하다
- 세자시강원에 본래의 관직에 따라 검교를 두는 것을 정식으로 삼도록 하다
- 양사에서 연명으로 차자를 올려 한용석 등을 처벌할 것을 아뢰다
- 홍문관에서 연명으로 차자를 올려 한용석 등을 처벌할 것을 아뢰다
- 거재 유생들이 권당하였으므로 타일러서 돌아가게 하도록 하다
- 대간과 홍문관의 규탄에 참가하지 않은 수찬 서상집 등을 찬배하다
- 승정원에서 한용석 등을 처벌하라는 명을 취소하고 대간의 청을 윤허할 것을 청하다
- 영의정 심순택이 한용석 등의 문제에 대하여 대간의 요청을 따를 것을 청하다
- 서형순을 판의금부사에 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