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종실록24권, 태종 12년 10월
-
- 중관을 보내어 상왕 행재소에 문안하다
- 주자소에서 《대학연의》를 인쇄해 바치다
- 천둥과 비가 내리다
- 명나라에서 돌아온 제용 소감 최임이 제복과 약재를 바치다
- 상왕이 돌아오니 내시를 보내어 노상에서 술을 올리다
- 종묘에 가서 친히 제사를 지내다. 나흘전 제례에 관한 논의하다
- 하루전 세자와 백관을 거느리고 종묘에 가다
- 새벽에 제사가 끝나서야 환궁하다
- 이상·김자·유장을 경외 종편시키다
- 행랑의 역사를 중지하다
- 호구·직첩을 매매하고 문자와 인신을 위조하는 자들의 징계 처벌 강화를 사헌부에서 건의하다
- 사간원에서 불교의 배척과 원단 제사를 없앨 것을 주장한 사간원의 상소
- 고양에서 매사냥을 구경하다
- 사간원에서 임금의 서교 행차에 대해 따지려 드니 김여지가 만류하다
- 권완·허주·조비형에게 관직을 제수하고 성균관에 사·승·녹사를 주다
- 새해를 하례하기 위해 이종무·박습을 명나라에 보내다
- 상왕 이어소에 나가 문안하다
- 동북면 채방사 박윤충이 황금 56냥을 캐어 바치다
- 전라도 조운선이 바람을 만나 침몰하여 6인이 사망하다
- 성주·삼등 사람에게 매를 진상하도록 명하다
- 김첨·이종선·위충 등에게 과전을 환급하다
- 소격전에서 태일 초제를 행하다
- 달이 묘성을 범하다
- 대사헌 정역이 박만·임순례를 논죄하다
- 망명한 요동인 이철·김화 등 12인을 요동으로 돌려 보내다
- 과전에서 함부로 공부를 징수함을 금하도록 명하다
- 박만 등의 죄를 청하니 임금이 대간을 조참에 참여하지 못하게 명하다
- 십학(十學) 제조를 두다
- 대호군 평도전에게 은대 1벌을 하사하다
- 도망갈 것을 우려하여 왜노(倭奴)를 궁벽한 곳에 옮겨 두게 하다
- 각림사 중들이 조세를 많이 거두어 전객이 관청에 고소한 사건을 덮어 두라고 명하다
- 동교에서 매사냥을 구경하다
- 평양부 동·서반의 관리들에게 녹복의 토지를 환급하도록 명하다
- 위조한 저화를 사용한 사람들의 죄를 가볍게 처벌하다
- 경주 백률사의 전단상 관음을 개경사에 옮겨 안치하다
- 밤중 때아닌 종소리를 못들은 서운관 관원을 순금사에 가두다
- 통주의 태일전(太一殿)을 수리하도록 명하다
- 상왕이 인덕궁으로 환궁하다
- 후릉의 제례와 헌관에 대해 의논하다
- 임금이 인덕궁에 나아가 잔치를 베풀다
- 이틀간 안개가 끼다
- 충청도 덕은현 관족사의 돌부처가 땀을 흘리다
- 박만·임순례를 외방에 자원 안치하고 자손을 영원히 서용치 말게 하다
- 좌사간 대부 이육이 사관을 편전에 입시토록 할 것을 청하니 윤허하지 아니하다
- 인사 서류를 처리하는 절차를 개정하다
- 전 경기 도관찰사 전백영의 졸기
- 선원록·종친록·유부록을 만들다
- 의정부에서 의학·음악·역학을 경사에 유학 보낼 것을 청하나 윤허하지 아니하다
- 동북면·서북면·풍해도에 매를 진상하도록 명하다
- 15, 6세된 창기 6인을 명빈전에 시녀로 하사하다
- 화산군 장사길의 기첩 복덕이 낳은 장씨를 순혜 옹주로 삼다
- 종정무의 사인이 토산물을 바치다
- 이상의 고신을 환급할 것을 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