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숙종실록20권, 숙종 15년 2월
-
- 봉조하 송시열이 올린 원자에 관한 2본의 상소를 올리매 정죄를 명하다
- 이세백·김재현·서문유·조의징을 파직하다
- 영의정 김수흥을 파직하다
- 유위한을 국문하기를 청한 정언 김덕기·유명홍을 체차하다
- 조사석에 대해 질책의 하교를 하다
- 권유·목창명을 승지로 특제하다
- 송시열의 토벌을 청하지 않은 이유·원성유·이의창 등을 체차하게 하다
- 목내선을 좌의정, 김덕원을 우의정, 여성제를 영의정으로 삼다
- 권대운을 서용토록 명하다
- 유위한을 방면토록 하교하다
- 권대재·민종도·윤심·이후정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대사간 이항·정언 목임일이 송시열에 대해 논박하다
- 훈련 대장 신여철을 체차하고 이집으로 대신토록 명하다
- 태백이 낮에 나타나다
- 목임일·권규·이만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홍치상에 대한 비망기
- 장령 이윤수·지평 이제민이 송시열에 대해 논박하다
- 승지 목창명 등이 홍치상을 구문토록 상소하다
- 좌의정 목내선과 우의정 김덕원에게 정사를 볼 것을 재촉하다
- 권대재·민종도·정박·오시복·이항·이집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윤이제를 어영 대장으로 삼다
- 장령 이윤수·지평 이제민이 김성적을 논박하다
- 목창명·유하익·유명현·유명견·이서우·신후재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집의 박진규·장령 이윤수·지평 이제민이 김성적에 대해 상소하다
- 집의 박진규·장령 이윤수가 김만중의 일을 상소하다
- 정언 송유룡이 호군 이선과 강춘 감사 김만길의 처벌을 청하다
- 강화부에 역질이 발생하니 구료하게 하다
- 특진관 심재가 이하진의 관작 회복을 청하다
- 원자의 외가 삼대를 사제할 때에 그 주인에 상당한 직을 제수할 것을 하교하다
- 영의정 여성제의 사직을 허락하다
- 권흠·목임일·신후명·이식·이후정·민종도·민암·권대운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이원정·이덕주의 관작을 회복하게 하다
- 반사에 은택받지 못한 자를 복관시키다
- 대사간 정박 등이 영돈녕 김수항에 대해 합사하여 삭직을 상소하다
- 김원섭·권환·심단·이윤수·이후항·박신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대사간 정박 등이 김수항의 죄를 논하는 상소를 올리다
- 집의 박진규·지평 이제민이 김익훈 등의 국문을 상소하다
- 대사간 정박 등이 김수항·김수흥의 죄를 상소하다
- 전라도 관찰사 권시경이 청과의 약속 이행여부를 장계하다
- 달이 태미 서원으로 들어가다
- 노정을 총융사로 삼다
- 박진규·권규·이만원·이봉징·이후정·권해·김주·박만정·성관·이시만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이지익을 평안도 관찰사로 삼다
- 청사를 인정전에서 접견하다
- 이옥을 승지로 삼다
- 사간 김주가 사직 이언강에 대한 논박을 상소하다
- 장령 김구만·지평 성관이 호군 유상운의 삭직을 청하다
- 유성이 유성 위에서 나오다
- 원성의 유학 안전이 송시열의 죄를 상소하다
- 지평 이만원이 유혁연과 조지겸의 포상을 상소하다
- 국청을 의금부에 설치하여 김익훈 등 6인을 옥에 가두다
- 주강에 나가다
- 대사헌 민종도 등이 양흥군 이입신에 관한 상소를 올리다
- 승지 유하익이 윤휴의 능통함을 논하다
- 헌부에서 이입신을 논박하다
- 지사 심재가 정창도의 복작을 상소하다
- 유성이 하고성 위에 나오다
- 이현일을 사업으로, 김방걸을 부수찬으로 삼다
- 대사헌 민종도 등이 김만중의 죄상을 상소하다
- 형조 참의 이담명이 스스로 그의 아비 이원정의 원통함을 상소하다
- 소명을 어긴 지의금 오두인을 하옥하고 동의금 남익훈을 파직하다
- 다음 숙종 15년 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