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숙종실록13권, 숙종 8년 9월
-
- 사간원에서 공주의 저택 공사를 그만둘 것을 논하다
- 주강에 나아가다
- 유성이 간방으로 들어가다
- 심사홍을 정언으로 삼다
- 대신과 비변사의 여러 신하들을 인견하다
- 아이·도망자 등에게 포를 징수하는 것을 면제하게 하다
- 조지겸·심유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유성이 건방으로 들어가다
- 전라도 관찰사 이사명이 사조하다
- 사헌부에서 속이고 들어온 거자 김익중의 죄상을 밝히도록 하다
- 배꽃·능금꽃이 다시 피어 열매를 맺다
- 전라도 나주에서 막남이 주인을 간음하니 주살하다
- 주강에 나아가다
- 송규렴·김우석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대신과 비변사의 여러 신하들을 인견하다
- 평안도 관찰사가 광량 첨사에게 방어사를 겸직시킬 것을 청하다
- 사헌부에서 김익중의 죄상을 다 파헤치지 못하다
- 천둥과 번개가 치다
- 김수항이 감시를 파방하자고 아뢰다
- 유성이 동방으로 들어가다
- 영의정 등이 임영의 상소문이 궁중에 머물러 두고 내려 보내지지 않았음을 아뢰다
- 남이성·신정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대사간 송규렴이 분부에 응하여 진언하다
- 이조 참의 박세채가 서울 가까이 와 소를 올리다
- 경상도 초계에서 넘어진 나무가 다시 일어나다
- 달이 필숙의 큰 별을 범하다
- 신엽·조형기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중양절 제술에서 으뜸한 이두악에게 급제를 내리다
- 호군 박세채가 서울에 들어와 소를 올리다
- 영의정 김수항이 청대하여 박세채를 머물러 두기를 청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경안군의 부인이 아들의 배소에 가니 말 등을 지급하다
- 호군 박세채가 대궐에 나아오다
- 사헌부에서 정지호의 관작을 추탈하도록 아뢰다
- 이단하·유상운·신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함경도 유생 주여정 등이 김장생을 문묘에 종사할 것을 청하다
- 함경도 부령에 배꽃이 다시 피다
- 옥당에서 박세채를 서울에 머물게 할 것을 청하다
- 주강에 나아가니 시강관 김진귀가 박세채를 오도록 청하다
- 심수량·윤세기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승지를 민정중에게 보내어 타이르다
- 유성이 간방으로 들어가다
- 지평 조형기가 파방을 정지하자는 계를 올리다
- 영중추부사 송시열이 병으로 사직하는 소를 올리다
- 다음 숙종 8년 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