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조실록37권, 영조 10년 1월
-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팔도와 양도에 권농하는 유시를 내리다. 《농가집성》을 반포하게 하다
- 정조 호장(正朝戶長)을 불러들여 민폐에 대해 묻다
- 언로직에 있는 관리들의 태만을 질책한 윤율에 대해 조명택·남태량의 계사를 올리다
- 오원·김약로 등이 임금에게 치도에 대한 것을 건의하다
- 《칠서》의 언해는 옛날 해석을 따르도록 명하다
- 승정원에서 《대학》의 훈계를 본받아 정사를 행하기를 건의하다
- 경상도 대구부에 괘서 사건이 발생하다
- 기곡제를 지내기 위해 사직단에서 재숙하다
- 사직단에서 제사지낼 때의 백관들의 시위 방법에 대해 명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홍현보·이종백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문순공 이황의 서원에 치제하고 그의 후손을 녹용할 것을 명하다
- 숙장문에 불이 나서 죽은 군사를 구휼하고 해당 낭청을 가리게 하다
- 이저·조명겸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경기 삼남의 고을 중 재해가 심한 곳의 세금을 감면시키다
- 봉조하 이광좌가 나라 기강의 해이함에 대해 상소하다
- 심수현이 추천한 이광덕의 함경 감사 낙점을 거부하다
- 삼남의 어염 선세를 호조에서 구관하도록 하는 것을 호남에서 부터 먼저 시행해 보도록 하다
- 이조 판서 김재로의 충청 감사 서종섭의 천거에 대해 비판하다
- 사헌부에서 전계를 아뢰다. 숙장문의 실화에 간련하여 해당 관청 관리를 잡아들이게 하다
- 서종옥이 부평 부사 김상성을 내직으로 옮길 것을 청하다
- 남원군 이설이 태자가 없음을 진언하다
- 백성들에게 종자와 식량을 보호하라고 명하다
- 좌승지 홍호인을 대가가 사직단에 나아갈 때의 법칙을 잘 유포시키지 않았다는 죄로 체직시키다
- 네 유신의 파직을 거두라는 대사헌 홍현보의 상소에 대해 거부하다
- 전라 감사 조현명이 치국 방안에 대한 여섯 가지를 상소하다
- 직산현 심건이의 유언 비어 사건에 대해 국청을 열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봉조하 민진원에게 양역 변통의 방법에 대해 물어보다
- 동지 이익한이 당고를 타파하여 인재를 쓸 것과 양역 변통과 사치의 폐단에 대해 상소하다
- 각 고을의 전최(殿最)를 감사와 병사와 의논하여 봉계(封啓)하라고 명을 내리다
- 정필영·김상성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목성·화성이 서로 범하다
- 소장에 임금의 찬송에 대한 것은 일체 퇴각시키라고 명하다
- 김흥경·서명빈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사헌부에서 전일에 아뢴 것을 다시 아뢰었으나 윤허하지 않다
- 고(故) 여성군 집에게 정려(旌閭)를 하다
- 주인을 시해한 죄인 만재를 복주하라고 명하다
- 인정문에 나가 영남의 괘서 죄인 서무필을 친국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양역의 폐단에 대해 좌윤 오광운이 상소하다
- 전라 감사 조현명이 권영·이만유의 석방에 대해 건의하다
- 대동법을 실시할 것을 헌납 김정윤이 상소하다
- 경상도에 괘서한 죄인 서무필이 복주되다
- 음붕의 폐단에 대해 서명빈이 상소하다
- 사헌부·사간원에서 전일의 계사를 아뢰었으나 윤허하지 않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신사철·이유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송인명이 1년의 재원과 궁가의 제수(祭需)에 대해 건의하다
- 모든 익명서를 물에 던지거나 불에 태우라고 명하다
- 사헌부에서 전계를 올리고 김시형 등의 파직을 건의하다
- 오원·유최기 등을 서용하라고 명하다
- 달이 동정성으로 들어가다
- 윤대관(輪對官)을 인견하다
- 종실 낙창군 이탱이 동조(東朝)께 진호(進號)할 것을 청하다
- 제도에 남형(濫刑)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명하다
- 전 중부(中部) 참봉인 백규창이 시폐(時弊)에 대해 상소하다
- 심건이를 추국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안상휘·이기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전라도 장흥의 유학 위세붕이 호남의 큰 폐단에 대해 상소하다
- 추국을 행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윤필은이 시폐에 대해 상소하다
- 추국을 행하다
- 충청도 한산의 유학 이정이 시폐와 대책을 상소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서명빈·오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홍현보가 추국에 있어 엄중한 형신을 가할 것을 건의하다
- 이저가 추국에 있어 엄중한 형신을 가할 것을 건의하다
- 비변사 당상관을 팔도의 구관 당상으로 나누어 백성을 보살피게 하다
- 뇌물받은 노계한을 연수를 한정하지 말고 정배(定配)하라고 명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김약로·유최기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김흥경을 친척이라는 이유로 우의정에 제수하다
- 이성룡·신만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이춘제가 소장을 책으로 만드는 것의 어려움을 건의하다
- 이목(耳目)의 관원들의 불언(不言)에 대해 말하다
- 이성룡이 여덟 가지 경계하는 말을 상소하다
- 사헌부가 김광세의 파직건의 관직 추증 금지를 건의하다
- 한현모가 전일 네 유신을 파직시킨 것의 부당성을 상소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태묘에 알현하다
- 추국을 행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달이 우각성을 범하다
- 조상명이 네 유신의 소장에 대한 비답에 대해 건의하다
- 조상명이 소대에 병으로 나오지 않자 소대를 정지시키다
- 박필균이 흉서를 없애라는 것에 대한 폐단을 건의하다
- 심수현의 사직소를 불허하다
- 이조 참판 이재가 면직되다
- 양득중이 사직소를 올리니 실사구시에 맞도록 하라고 명하다
- 이수해와 안상휘가 다시 추국에 대한 논의를 상소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박사수·서명빈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오원을 파직시키다
- 김재로·이성룡에게 오원의 파직이유를 말하다
- 육조의 장관을 보고 제도의 복계(覆啓)를 재결하다
- 대간에서 전일의 계사를 올리다. 관리로서 직무를 태만히 한 자에 대해 건의하다
- 김약로가 홍경보의 소장에 대해 해명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홍경보가 오원·김약로 등의 소장에 대해 해명하다
- 송인명이 궁방(宮房)의 면세가 많음을 건의하다
- 파발이 지체되는 폐단을 단속하라고 명하다
- 조현명이 도내의 농우(農牛)의 부족함을 상소하다
- 장붕익이 조현명의 상소로 인하여 면직되다
- 김재로가 외직에 오래 나간 이들에 대해 건의하다
- 준원전 참봉과 각 묘의 수위의 자격을 정하다
- 5군영에 대한 군안(軍案)을 사정하다
- 대간에서 전일의 계사를 올리다. 지방관의 부임기간을 정하다
- 이광보를 국청 일기의 누설죄로 파직시키다
- 김흥경이 사직소를 올리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이석표가 과거에서 다른 사람의 글을 답습한 것을 자수하다
- 겉치례의 ‘청(淸)’에 대해 의논하다
- 김약로가 홍경보에 대한 처벌이 법의 형평성에 위배된다고 상소하다
- 오광운이 오원과의 대질을 요구하다
- 추국을 행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대간에서 전계를 올리다. 제반 국정에 대해 상소하다
- 한현보와 박필균이 출사를 거부하다
- 대신들과 양역의 문제에 대해 논의하다
- 상사(上司)에서 수금(囚禁)하는 폐단에 대해 논의하다
- 구관 당상들에게 각도의 모든 업무를 살펴 양역에 힘쓰라고 하유하다
- 국청죄인 심건이를 물고하다
- 사헌부가 감덕과 이양제의 국문과 군위 현감 황택하의 파직을 청하다
- 이저가 망국의 조짐과 그 대책을 상소하다
- 홍현보가 대간들의 업무처리의 폐단에 대해 상소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이수해가 서명균을 탄핵하다
- 서명균이 대소(臺疏)로 인해 도성을 나가다
- 홍상번이 양역 변통과 군문 폐지의 불가함을 상소하다
- 대간에서 전일의 계사를 올리다. 이석표·김정윤의 파직을 건의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고 달이 입성(立星)을 범하다
- 홍호인·김흡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사헌부에서 전일의 계사를 다시 아뢰다
- 김재로가 사직소를 올리다
- 심수현이 사직소를 올리니 불허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소대에서 육선공의 주의(奏議)를 강하다
- 태백성이 낮에 나타나다
- 조명신이 저축을 권장하고 호남도서에 수령들이 왕래해서 살피게 하라고 건의하다
- 이해가 백골(白骨)징포(徵布)의 폐단에 대해 상소하다
- 사헌부에서 전일의 계사를 올리다. 신덕하·유겸명 등의 파직소를 건의하다
- 소대에서 《근사록》을 강하다
- 심수현·김흥경의 사직소를 불허하다
- 덕흥 대원군의 묘사에 전배(展拜)할 길일을 가리게 하다
- 호랑이의 출현으로 백성들이 고초를 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