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조실록107권, 영조 42년 5월
-
- 효종의 국구 장유에게 집과 노비를 주게 하다
- 헌부에서 전계를 거듭 아뢰었으나 윤허하지 않다
- 전 보덕 이보관과 전 사서 유언호를 등용하게 하다
- 이보관·김상묵·유언호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영의정 홍봉한이 언양현 양군 2백 명을 경주 등에 옮겨 정할 것 등을 청하자 윤허하다
- 경기 감사에게 농사 형편을 묻고 승선에게 제도의 방미방의 장계를 읽어 아뢰라 하다
- 유신들에게 입시를 명하여 책을 읽게 하다
- 유신과 더불어 소학을 강하는데 영감사가 같이 입시하게 하다
- 《소학》을 거듭 강하고 문답하다
- 이날 입직한 상·하번은 우직에 조용하게 하다
- 김기대를 함경 감사로 삼다
- 구선행을 총융사로 삼다
- 영의정 홍봉한이 부여·은진의 상의원 노비의 도고가 진적한 것에 대해 아뢰다
- 그 부모가 늙었으므로 심이지를 석방하다
- 서명응을 승지로 삼다
- 어제 《양한사명》을 도승지에게 읽게 하고 왕세손과 문답하다
- 정여직을 훈련 대장으로 삼다
- 김선행을 개성 유수로 삼다
- 왕세손이 지은 글을 어제책에 올리게 하다
- 서명응을 부제학으로 삼다
- 이조 판서 서지수의 체차를 허락하고 정홍순·조명정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전은군 이돈의 아들 이진복의 정관을 한 등 월봉하게 하다
- 헌부에서 전계를 거듭 아뢰었으나 윤허하지 않다
- 승문원의 입직을 궐한 관원에게 금추를 명하다
- 입직한 선전관에게 입시하게 하고 《병학지남》을 외우게 하다
- 정광충·여선응·이행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영의정 홍봉한이 동벽을 차출하여 신록을 가까운 시일에 거행할 것을 청하다
- 이조 판서가 세 번 패초하여도 나오지 않다
- 이형규를 응교로 제수하다
- 이복원과 정창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서명응·이형규 등을 추고하고 궁문이 열기를 기다려 사은하게 하다
- 서명응을 갑산부에, 조엄을 삼수부에 귀양보내다
- 이담·민홍렬·안표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본관록을 행하여 4점 이상을 뽑다
- 도당록을 행하여 6점 이상을 뽑다
- 정후겸·이복상·이득일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김두항을 벼슬자리를 기다려 조용하기를 명하다
- 김선행에 관한 교서의 글이 과장되었다 하여 다른 지제교로 하여 지어 올리게 하다
- 소대를 행하여 왕세손과 《소학》 등에 대해 문답하다
- 대사성에게 유생을 거느리고 《숙야잠》을 가지고 입시하게 하다
- 이최중·고유·김서구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판중추부사 이정보의 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