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조실록65권, 영조 23년 5월
-
- 북한 산성의 총융청 이관 의논이 있으므로 비국 당상에게 강확하게 하다
- 도기과를 베풀어 수석한 진사 김서응에게 직부 전시하도록 명하다
- 친히 전강에 나아가 수석한 유학 모경관에게 직부 전시하도록 명하다
- 성천·상원·이산 등 세 고을에 우박이 내리다
- 영의정 김재로가 차자를 올려 사면하니 수서로 위로하여 유시하다
- 우참찬 박필주가 상소하여 식물을 내려 주도록 한 명을 정지하기를 청하다
- 유성이 나타나다
- 쇄마 구인이 심양의 옥에 갇혔으므로 별자를 보내자는 부사직 원경하의 상소
- 원경하의 소장에 의해 별자의 여부를 비국 당상이 상확하라고 하교하다
- 소대를 행하다
- 영의정 김재로가 차자를 올려 금오문 밖에서 명을 기다리니 지신사를 보내다
- 평안도 내에 전염병과 소의 전염병이 치성하여 죽은 사람과 소가 많다
- 총융청의 북한 구관 당상이 입시하여 경리청을 혁파하고 총융청을 정비하다
- 궁관에게 《논어》를 강독하게 하고 세자에게 훈계하는 글을 내려 주다
- 동래 부사 홍중일이 구 관백의 예단에 관해 아뢰자 제신에게 강확하게 하다
- 이덕중·심성희·최규태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부수찬 이세사가 영남 일곱 고을에 작전하도록 한 명을 정지할 것을 진달하다
- 통신사 홍계희 등이 청대하고 충주·안동·경주의 전별연을 정지하게 하다
- 소대에 나아가다. 검토관 김상철이 임금의 정사에 임하는 자세에 관해 아뢰다
- 엄우·유우기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달이 방성을 범하다
- 주강에 나아가니 영의정 김재로가 정사를 정전에서 볼 것을 아뢰다
- 의주의 문시(門市)에 관한 일로 의주 부윤·감진 어사 등을 잡아오게 하다
- 심양의 장수가 우리 나라에 대하여 불화를 일으키려 하므로 재자관을 보내다
- 좌의정 정석오가 상소하여 면직되기를 바라니 승지를 보내어 돈유하다
- 이종적·최익수·이응협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빈양문에 나아가 선농단의 향과 축문을 친히 전하다
- 동적전에 나아가 관예하다
- 어가가 돌아올 때 관왕묘에 들르다
- 유신을 불러 《자성편》을 강하게 하고 정사에 임하는 자세에 관해 말하다
- 김상성·윤광소·신회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약방의 제조에게 입시하게 명하다
- 약방에서 입진하다. 기거례를 정지하도록 명하다
- 선농단의 헌관·집사와 관예 때의 예의사 등에게 친경의 예에 의거하여 상주다
- 홍중징·정광제·민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유신에게 《자성편》을 읽도록 명하다
- 기우제를 설행하도록 명하다
- 약방에서 입진하다. 동궁의 강학을 전례대로 하라고 말하다
- 약방에서 입진하다. 유신에게 《자성편》을 읽도록 명하다
- 김우태를 제주목에 무기한 정배하도록 명하다
- 가뭄을 근심하여 금오와 전옥의 경범 죄수를 석방하도록 하다
- 전라 감사 조영로에게 호남의 잡기는 폐단이 심하므로 엄중히 금하라고 하다
- 전라도의 유학 이정흡이 상소하여 송시열·송준길을 문묘에 종향할 것을 청하다
- 예조 참의 신사건과 공조 참판 이중협을 가자하라고 하교하다
- 내탕고의 은화 은기를 도둑맞은 것에 대해 규정대로 결안 취초하라고 하교하다
- 도목 정사를 행하여 김상중·이태중·조명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헌납 정언유가 일본 구 관백의 예단에 대한 일을 진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