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선조실록35권, 선조 26년 2월 6일 辛卯 6번째기사 1593년 명 만력(萬曆) 21년

도체찰사 유홍이 벽제 전투의 전말을 치계하다

도체찰사(都體察使) 우의정 유홍(兪泓)이 치계하였다.

"이날 27일 이 제독이 군사를 거느리고 발행했는데 ‘사 부총(査副摠)023)고언백(高彦伯)이 같이 적을 정탐하러 나갔다가 마침 적병 6∼7백을 만나 적 4백여 급을 참획(斬獲)했으나 많은 적이 무수히 나오므로 부총병이 벽제(碧蹄)로 물러갔는데 적도(賊徒)가 추격해 온다.’는 말을 듣고, 제독이 즉시 벽제로 가서 이미 도착한 정병(精兵)을 뽑아 거느리고 포진하여 접전했으나 포수와 모든 군사가 뒤에 처져 있었으므로 병력이 약하여 적을 격멸시키지 못하고 도리어 휘하의 두 파총(把摠)만 잃고 해 저물녘에 파주로 퇴진했습니다. 이달 28일 동파(東坡)로 돌아가려고 하므로, 체찰사 유성룡(柳成龍)과 도원수 김명원(金命元)이 대면하여 퇴군하면 안 된다는 의견을 말하였으나, 마초가 부족하고 지세가 불리하니 돌아가서 며칠간 쉰 뒤에 크게 거병하려고 한다고 하고는, 사시(巳時)에 출발하여 돌아가고 사 부총(査副摠)벽제에서 떠나 파주를 지났다고 합니다."


  • 【태백산사고본】 18책 35권 7장 A면【국편영인본】 21책 624면
  • 【분류】
    외교-명(明) / 외교-왜(倭) / 군사-전쟁(戰爭)

  • [註 023]
    사 부총(査副摠) : 사대수(査大受)임.

○都體察使右議政兪泓馳啓曰: "本月二十七日, 李提督領兵發行, 聞査副揔高彦伯, 同往體探, 適逢賊六七百名, 斬獲四百餘級, 則賊衆無數出來, 副摠兵到退碧蹄, 賊徒追至云。 提督卽往碧蹄, 抄率已到精兵, 鋪陣接戰, 而砲手及諸軍在後, 兵勢不重, 不能勦滅, 反致手下二把摠喪亡, 日暮時退陣坡州。 今二十八日, 將回到東坡, 體察使柳成龍, 都元帥金命元, 面陳不可退軍之意, 則以芻草不足, 地勢非便, 回到休養數日, 當大擧云, 已時發行回去, 査副揔亦自碧蹄, 過坡州云。"


  • 【태백산사고본】 18책 35권 7장 A면【국편영인본】 21책 624면
  • 【분류】
    외교-명(明) / 외교-왜(倭) / 군사-전쟁(戰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