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50권, 地理志 慶尙道 晉州牧 珍城縣

地理志 / 慶尙道 / 晉州牧 / 珍城縣

진성현(珍城縣)

강성현(江城縣)은 본디 궐지군(闕支郡)인데, 경덕왕궐성군(闕城郡)으로 이름을 고치고, 고려에서 강성현(江城縣)으로 고쳤다. 현종 무오년에 진주(晉州) 임내(任內)에 붙였다가, 공양왕 경오년에 비로소 감무(監務)를 두었다. 명진현(溟珍縣)은 본디 매진이현(買珍伊縣)으로, 바다 가운데 있는 섬이다. 경덕왕명진(溟珍)으로 이름을 고쳐서 거제군(巨濟郡)의 영현(領縣)을 삼았는데, 고려에서 그대로 따랐다가, 뒤에 감무(監務)를 두었다. 원종(元宗) 신미년에 왜적을 피해 육지로 나와서 진주(晉州) 임내(任內)인 영선현(永善縣)에 교거(僑居)하였는데, 본조(本朝) 공정왕(恭靖王) 원년 기묘에 두 현을 합하여 진성(珍城)이라 이름하였다. 속현(屬縣)이 1이니, 단계(丹溪)이다. 이는 본디 적촌현(赤村縣)인데, 경덕왕단읍(丹邑)으로 이름을 고쳐서 궐성군(闕城郡)의 영현(領縣)을 삼았고, 고려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 현종 무오년에 합주(陜州) 임내(任內)에 붙였다가, 공양왕 경오년에 내속(來屬)시켰다.

신안진(新安津) 【그 근원이 지리산(智異山)에서 나와서 현(縣) 동남쪽을 지난다. 】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진주(晉州) 토천(吐川)에 이르기 7리, 서쪽으로 진주(晉州) 단속(斷俗)에 이르기 8리, 남쪽으로 진주(晉州) 문천(文川)에 이르기 6리, 북쪽으로 삼가(三嘉)에 이르기 34리이다.

본현의 호수는 2백 34호, 인구가 8백 72명이요, 단계(丹溪)의 호수는 1백 39호, 인구가 4백 96명이며, 군정(軍丁)은 시위군(侍衛軍)이 25명, 영진군(營鎭軍)이 29명, 선군(船軍)이 1백 62명이다.

강성현(江城縣)의 성이 4이니, 문(文)·송(宋)·여(呂)·이(李)이요, 내성(來姓)이 1이 니, 하(河)이며, 【진주에서 왔다. 】 속성(續姓)이 6이니, 주(周) 【초계(草溪)에서 왔다. 】 ·김(金) 【용궁(龍宮)에서 왔다. 】 ·김(金) 【송림(松林)에서 왔다. 】 김(金) 【계성(桂城)에서 왔다. 】 ·탁(卓) 【근본은 알 수 없다. 】 ·김(金) 【김해에서 왔다. 】 이다. 명진(溟珍)의 성이 5이니, 임(任)·조(曺)·한(韓)·허(許)·하(河)이요, 속성이 1이니, 신(申)이며, 【아주(鵝州)에서 와서 지금 향리가 되었다. 】 단계(丹溪)의 성이 6이니, 이(李)·하(河)·서(徐)·여(余)·사(史)·송(宋)이다. 인물(人物)은 좌사의 대부 증 참지의정부사(左司議大夫贈參知議政府事) 강성군(江城君) 문익점(文益漸)이다. 【고려 말기 사람인데, 본조 태종 때에 추증(追贈)하였다. 】

땅이 기름지고, 기후는 따뜻하며, 간전(墾田)이 1천 7백 50결이다. 【논이 7분의 4가 넘는다. 】 토의(土宜)는 벼·기장·피·뽕나무·삼[麻]·감·목면(木綿)이요, 【우리 동방에 오랫동안 목면(木綿)이 없었는데, 문익점이 서장관(書狀官)으로 경사(京師)에 들어갔다가 그 종자를 구하고, 또 가꾸고 길쌈하는 방법을 알아 가지고 와서, 화분에 심었다. 점점 고을[鄕曲]에 전하여 드디어 일국에 퍼졌다. 】 토공(土貢)은 꿀·밀[黃蠟]·은구어·왕대[簜]·칠·종이·사슴가죽·노루가죽·여우가죽·수달피(水獺皮)이며, 약재(藥材)는 맥문동이다. 자기소(磁器所)가 1이니, 단계현 동쪽 두곡리(豆谷里)에 있다. 【하품이다. 】

강산 석성(江山石城)은 현(縣) 북쪽 6리에 있다. 【천연으로 된 험한 곳이 그 반이고, 둘레가 1백 50보이다. 안에 작은 못 2, 작은 샘 1이 있고, 또 군창(軍倉)이 있다. 】 역(驛)이 2이니, 신안(新安) 【현(縣) 경계에 있다. 】 ·신역(新驛) 【단계에 있다. 】 이요, 봉화(烽火)가 1곳이니, 입암(笠嵓)단계현 동쪽에 있다. 【남쪽으로 진주(晉州) 광제산(廣齊山)에 응하고, 북쪽으로 삼가현 금성(金城)에 응한다. 】


  • 【태백산사고본】 54책 150권 33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52면

    珍城縣江城縣: 本闕支郡, 景德王改名闕城郡, 高麗改爲江城縣顯宗戊午, 屬晋州任內, 恭讓王庚午, 始置監務。 溟珍縣, 本買珍伊縣, 海中島也。 景德王改名溟珍, 爲巨濟郡領縣, 高麗因之, 後置監務。 元宗辛未, 避出陸, 僑寓晋州任內。 永善縣, 本朝恭靖王元年己卯, 倂二縣, 號珍城。 屬縣一, 丹溪, 本赤村縣, 景德王改名丹邑, 爲闕城郡領縣, 高麗改今名。 顯宗戊午, 屬陜州任內, 恭讓王庚午, 來屬新安津 【其源出自智異山, 過縣東南。】 四境, 東距晋州 吐川七里, 西距晋州 斷俗八里, 南距晋州 文川六里, 北距三嘉三十四里。 本縣戶二百三十四, 口八百七十二。 丹溪戶一百三十九, 口四百九十六。 軍丁, 侍衛軍二十五, 營鎭軍二十九, 船軍一百六十二。 江城縣姓四, ; 來姓一, ; 【晋州來。】 續姓六, 【草溪來。】 【龍宮來。】 【松林來。】 【桂城來。】 【本未詳。】 【金海來】 溟珍姓五, ; 續姓一, 【鵝州來, 今爲鄕吏。】 丹溪姓六, 。 人物, 左司議大夫贈參知議政府事江城君 文益漸 【高麗末人, 本朝太宗時追贈。】 厥土肥, 風氣暖, 墾田一千七百五十結。 【水田七分之四强。】 土宜, 稻、黍、稷、桑、麻、柿、木綿。 【東方久無木綿, 文益漸以書狀朝京師, 求得其種及耕織之術以來, 種于盆, 漸傳鄕曲, 遂遍一國。】 土貢, 蜂蜜、黃蠟、銀口魚、簜、漆、紙、鹿皮、獐皮、狐皮、水獺皮。 藥材, 麥門冬。 磁器所一, 在丹溪縣豆谷里 【下品。】 江山石城, 在縣北六里。 【天作之險, 居其半。 周回一百五十步, 內有小池二、小泉一。 又有軍倉。】 驛二, 新安 【在縣界。】 新驛。 【在丹溪】 烽火一處, 笠嵓丹溪縣東。 【南準晋州 廣齊山, 北準三嘉 金城。】


    • 【태백산사고본】 54책 150권 33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5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