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50권, 地理志 慶尙道 安東大都護府

地理志 / 慶尙道 / 安東大都護府


안동 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

사(使) 1인, 판관(判官) 1인.

본래 고타야군(古陁耶郡)인데, 경덕왕고창군(古昌郡)으로 고쳤고, 고려 태조 13년 경인에 〈태조가〉 스스로 군사를 거느리고 후백제(後百濟)의 임금 견훤(甄萱)과 더불어 고창(古昌)에서 싸워 패배시켰는데, 고을 사람 김선평(金宣平)·권행(權幸)·장길(張吉) 등이 태조를 도와 공이 있으므로, 선평은 대광(大匡)을, 은 각각 대상(大相)을 삼고, 그 고을을 안동부(安東府)로 승격시켰다. 뒤에 영가군(永嘉郡)으로 고쳤다가, 성종 14년 을미에 길주 자사(吉州刺史)로 고치고, 현종 3년 임자에 안무사(按撫使)로, 9년 무오에 지길주사(知吉州事)로 고쳤다가, 21년 경오에 【송나라 인종(仁宗) 천성(天聖) 8년. 】 다시 지안동부사(知安東府使)로 삼았다. 명종 계축년에 【송나라 광종(光宗) 소희(紹熙) 4년. 】 남적(南賊) 김삼(金三)·효심(孝心) 등이 주군(州郡)을 약탈하니, 국가에서 해마다 연달아 군사를 보내어 비로소 이를 토평(討平)하였는데, 본부(本府)에서 보좌(輔佐)한 공이 있기 때문에, 정사년에 도호부로 승격시켰다. 신종(神宗) 7년 갑자에 【송나라 영종(寧宗) 가태(嘉泰) 4년. 】 동경(東京)의 별초(別抄) 패좌(孛佐) 등이 무리를 모아 반란(叛亂)을 일으켰는데, 본부(本府)에서 이를 막아 깨뜨린 공이 있음으로써 대도호부로 승격시켰다가, 충렬왕 34년 무신에 복주목(福州牧)으로 고쳤고, 공민왕 10년 신축에 【지정(至正) 21년. 】 홍건적(紅巾賊)을 피하여 남쪽으로 순행하여 수레를 〈본부(本府)에〉 멈추었는데, 고을 사람들이 마음을 다해 공궤(供饋)하였으므로, 임인년에 다시 대도호부로 승격시켰다. 별호(別號)는 능라군(綾羅郡)이다. 【창녕국(昌寧國)·지평군(地平郡)·고령군(古寧郡)·석릉군(石陵郡)·일계군(一界郡)·화산군(花山郡)·고장군(古藏郡) 등은 모두 신라 때의 칭호이다. 】 속현(屬縣)이 8이니, 임하현(臨河縣)은 본디 고구려굴화군(屈火郡)인데, 신라에서 곡성군(曲城郡)으로 고쳤고, 고려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풍산현(豐山縣)은 본디 하지현(下枝縣)인데, 경덕왕영안현(永安縣)으로 이름을 고쳐서 예천군(醴泉郡)의 영현(領縣)을 삼았고, 고려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일직현(一直縣)경덕왕직녕현(直寧縣)으로 고쳐서 고창군(古昌郡)의 영현(領縣)을 삼았는데, 고려에서 다시 예전 이름으로 바꾸었다. 감천현(甘泉縣)신라 때의 칭호는 미상(未詳)이다. 위의 4현(縣)은 〈고려〉 현종 무오년에 모두 길주(吉州) 임내(任內)에 붙였다. 길안현(吉安縣)은 본디 길안 부곡(吉安部曲)인데, 뒤에 현(縣)으로 올렸다. 내성현(柰城縣)은 본디 퇴관 부곡(退串部曲)인데, 고려 충혜왕(忠惠王)이 고을 사람인 환자(宦者) 강금강(姜金剛)원(元)나라 조정에 들어가서 시위(侍衛)한 공로가 있기 때문에, 내성현(柰城縣)으로 승격시켰다. 춘양현(春陽縣)은 본디 가야향(加也鄕)인데, 고려 충렬왕 10년 갑신에 【원나라 지원(至元) 21년. 】 토인(土人)인 호군(護軍) 김인월(金仁䡄)의 공(功)으로써 춘양현(春陽縣)으로 승격시켰다. 재산현(才山縣)은 본디 덕산 부곡(德山部曲)인데, 고려 충선왕경화 옹주(敬和翁主)의 고향인 까닭으로 올려서 재산현으로 만들었다. 부곡(部曲)이 3이니, 개단(皆丹)·소라(召羅)·소천(小川)이다.

청량산(淸涼山) 【재산현(才山縣) 서쪽에 있다. 】 하지산(下枝山) 【부(府) 서쪽에 있다. 시속에서 잘못 가(枷)로 쓴다. 】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진보(眞寶)에 이르기 47리, 서쪽으로 기천(基川)에 이르기 62리, 남쪽으로 의성(義城)에 이르기 34리, 북쪽으로 춘양(春陽)을 넘어 순흥(順興) 경계에 이르기 94리이다.

본부(本府)의 호수는 8백 47호, 인구가 3천 3백 20명이며, 임하(臨河)의 호수는 3백 23호, 인구가 1천 9백 단(單) 5명이요, 풍산(豐山)의 호수는 2백 82호, 인구가 1천 39명이며, 일직(一直)의 호수는 72호, 인구가 83명이요, 길안(吉安)의 호수는 44호, 인구가 1백 63명이며, 감천(甘泉)의 호수는 1백 62호, 인구가 5백 24명이요, 내성(柰城)의 호수는 83호, 인구가 3백 71명이며, 춘양(春陽)의 호수는 42호, 인구가 1백 단(單) 5명이요, 재산(才山)의 호수는 32호, 인구가 1백 57명이다. 군정(軍丁)은 시위군(侍衛軍)이 1백 13명, 진군(鎭軍)이 2백 41명, 선군(船軍)이 5백 6명이다.

본부(本府)의 토성(土姓)이 7이니, 권(權)·김(金)·강(姜)·조(曺)·장(張)·고(高)·이(李)이요, 내성(來姓)이 2이니, 우(禹)·곽(郭)이며, 촌성(村姓)이 1이니, 조(趙)이다. 임하(臨河)의 성이 4이니, 윤(尹)·이(李)·전(全)·신(申)이요, 내성(來姓)이 1이니, 화(華)이다. 풍산(豐山)의 성이 5이니, 김(金)·임(林)·유(柳)·홍(洪)·강(康)이요, 내성이 2이니, 권(權) 【본부에서 왔다. 】 ·민(閔) 【강주(剛州)에서 왔다. 】 이다. 일직(一直)의 성이 6이니, 임(任)·손(孫)·김(金)·노(盧)·전(田)·한(韓)이요, 감천(甘泉)의 성이 5이니, 이(李)·김(金)·전(全)·문(文)·조(趙)이며, 속성(續姓)이 2이니, 장(張)·최(崔)이다. 【모두 근본을 알지 못한다. 지금 향리가 되었다. 】 춘양(春陽)의 성이 2이니, 정(鄭)·윤(尹)이요, 길안(吉安)의 속성(續姓)이 3이니, 김(金)·임(林)·박(朴)이다. 내성(柰城)·재산(才山)·소천(小川)·개단(皆丹)의 속성(續姓)이 각각 1이니, 모두 윤(尹)이며, 소라(召羅)의 속성(續姓)이 1이니, 엄(嚴)이다. 인물(人物)은 문하 시중(門下侍中) 상락공(上洛公) 충렬공(忠烈公) 김방경(金方慶) 【충렬왕 때 사람. 】 ·도첨의 우정승(都僉議右政丞) 문탄공(文坦公) 권한공(權漢公) 【충숙왕 때 사람. 】 ·첨의정승(僉議政丞) 계림군공(鷄林郡公) 정헌공(正獻公) 왕후(王煦) 【충선왕 때 사람. 】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 상락 부원군(上洛府院君) 익원공(翼元公) 김사형(金士衡) 【본조 태조 때 사람. 】 ·의정부 찬성사(議政府贊成事) 길창군(吉昌君) 문충공(文忠公) 권근(權近) 【본조 태종 때 사람. 】 이다.

땅이 메마르고, 풍속은 근검(勤儉)하여 농상(農桑)에 힘쓴다. 간전(墾田)이 1만 1천 2백 83결이다. 【논이 7분의 2이다. 】 토의(土宜)는 벼·기장·조·메밀·콩·뽕나무·삼[麻]·왕골[莞]이며, 토공(土貢)은 꿀·밀[黃蠟]·칠·설면자(雪緜子)·송이버섯·잣·지초·은구어(銀口魚)·종이·자리·여우가죽·삵가죽·노루가죽이요, 약재(藥材)는 황금(黃芩)·오미자·백복령(白茯苓)·원지(遠志)·인삼(人蔘)이다. 토산(土産)은 사철(沙鐵)이 임하현 북쪽 사등라리(沙等羅里)·목곡리(本谷里) 등지에서 난다. 【철장(鐵場)이 있다. 세공(歲貢)은 정철(正鐵) 9천 9백 50근이다. 】

읍 석성(邑石城) 【둘레가 5백 28보이며, 안에 우물과 샘 18이 있다. 】 청량산 석성(淸涼山石城) 【재산현 서쪽 21리에 있으니, 본부(本府)와의 거리가 71리이다. 둘레가 2천 2백 79보인데, 높고 험하다. 안에 우물과 샘 7, 작은 시내 2가 있고, 또 군창(軍倉)이 있다. 】 영호루(映湖樓) 【부치(府治) 남쪽에 있는데, 큰 내를 굽어보고 있다. 고려 공민왕이 올라가 보고 ‘영호루’ 석 자를 써서 편액(扁額)을 만들었는데, 필력(筆力)이 힘차서, 보는 사람이 경앙(敬仰)한다. 】 역(驛)이 7이니, 안기(安奇)·옹천(甕泉) 【본부 지경에 있다. 】 ·금소(琴召)·송제(松蹄) 【임하에 있다. 】 ·안교(安郊) 【풍산에 있다. 】 ·신역(新驛) 【일직에 있다. 】 ·유동(幽洞) 【감천에 있다. 】 이다. 봉화가 7곳이니, 남산(南山)은 부(府) 남쪽에 있다. 【동쪽으로 신석산(申石山)에 응하고, 남쪽으로 일직현의 감곡(甘谷)에 응하며, 서쪽으로 풍산현 남산(南山)에 응하고, 북쪽으로 개목(開目)에 응한다. 】 신석산(申石山) 【임하현의 약산(若山)에 응한다. 】 약산(若山) 【동쪽으로 진보현(眞寶縣) 남각산(南角山)에 응한다. 】 감곡(甘谷) 【남쪽으로 의성현 마산(馬山)에 응한다. 】 남산(南山)풍산현 남쪽에 있다. 【서쪽으로 예천(醴泉) 서암산(西庵山)에 응한다. 】 개목(開目) 【북쪽으로 영천(榮川) 소이산(所伊山)에 응한다. 】 봉화점(烽火岾)내성현 남쪽에 있다. 【동쪽으로 봉화현(奉化縣) 서산(西山)에 응하고, 서쪽으로 영천(榮川)의 소이산(所伊山)에 응한다. 】

관할[所領]은 도호부(都護府)가 2이니, 영해(寧海)·순흥(順興)이요, 군(郡)이 4이니, 예천(醴泉)·영천(榮川)·영천(永川)·청송(靑松)이며, 현(縣)이 11이니, 의성(義城)·영덕(盈德)·예안(禮安)·하양(河陽)·기천(基川)·인동(仁同)·봉화(奉化)·의흥(義興)·신녕(新寧)·진보(眞寶)·비안(比安)이다.


  • 【태백산사고본】 54책 150권 12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41면


    安東大都護: 府使一人, 判官一人。 本古陁耶郡, 景德王改爲古昌郡, 高麗 太祖十三年庚寅, 自將及後百濟甄萱戰於古昌, 敗之。 郡人金宣平權幸張吉太祖有功, 拜宣平爲大匡; , 各爲大相, 陞其郡爲安東府, 後改爲永嘉郡成宗十四年乙未, 改爲吉州刺史, 顯宗三年壬子, 改爲按撫使, 九年戊午, 改爲吉州事, 二十一年庚午, 【宋 仁宗 天聖八年。】 復爲知安東府使。 明宗癸丑, 【宋 光宗 詔熙四年。】 南賊金三孝心等摽掠州郡, 國家連年遣師, 始克討平之, 以府有輔佐功, 丁巳, 陞爲都護府。 神宗七年甲子, 【宋 寧宗 嘉泰四年。】 東京別抄孛佐等聚衆叛, 以府有遮折功, 陞爲大護府。 忠烈王三十四年戊申, 改爲福州牧。 恭愍王十年辛丑, 【至正二十一年。】紅賊南巡駐輦, 以州人盡心供頓, 壬寅, 復陞爲大都護府, 別號綾羅郡 【昌寧國、地平郡、古寧郡、石陵郡、一界郡、花山郡、古藏郡, 此皆新羅時稱號。】 屬縣八。 臨河縣, 本高句麗 屈火郡, 新羅改爲曲城郡, 高麗改今名。 豐山縣, 本下枝縣, 景德王改名永安縣, 爲醴泉郡領縣, 高麗改今名。 一直縣, 景德王改爲直寧縣, 爲古昌郡領縣, 高麗復舊號。 甘泉縣, 新羅時, 稱號未詳。 右四縣, 顯宗戊午, 皆屬吉州任內。 吉安縣, 本吉安部曲, 後陞爲縣。 柰城縣, 本退串部曲, 高麗 忠惠王以鄕人宦者姜金剛朝, 有侍衛之勞, 陞爲柰城縣春陽縣, 本加也鄕, 高麗 忠烈王十年甲申, 【元 至元二十一年。】 以土人護軍金仁軌之功, 陞爲春陽縣才山縣, 本德山部曲, 高麗 忠宣王敬和翁 之鄕, 陞爲才山縣。 部曲三, 皆丹召羅小川淸涼山 【在才山縣西。】 下枝山 【在府西俗誤作柯】 四境, 東距眞寶四十七里, 西距基川六十二里, 南距義城三十四里, 北踰春陽順興境九十四里。 本府戶八百四十七, 口三千三百二十。 臨河戶三百二十三, 口一千九百單五。 豐山戶二百八十二, 口一千三(千)〔十〕九。 一直戶七十二, 口八十三。 吉安戶四十四, 口一百六十三。 甘泉戶一百六十二, 口五百二十四。 柰城戶八十三, 口三百七十一。 春陽戶四十二, 口一百單五。 才山戶三十二, 口一百五十七。 軍丁, 侍衛軍一百十三, 鎭軍二百四十一, 船軍五百六。 本府土姓七, ; 來姓二, ; 村姓一, 臨河姓四, ; 來姓一, 豐山姓五, ; 來姓二, 【本府來。】 【剛州來。】 一直姓六, 甘泉姓五, ; 續姓二, 【皆本不知, 今爲鄕吏。】 春陽姓二, 吉安續姓三, 柰城才山小川皆丹續姓各一, 皆召羅續姓一, 。 人物, 門下侍中上洛公 忠烈公 金方慶, 【忠烈王時人。】 都僉議右政丞文坦公 權漢公 【忠肅王時人。】 僉議政丞雞林郡公 正獻公 王煦 【忠宣王時人。】 領議政府事上洛府院君 翼元公 金士衡, 【本朝太祖時人。】 議政府贊成事吉昌君 文忠公 權近 【本朝太宗時人。】 厥土塉, 俗尙勤儉, 務農桑。 墾田一萬一千二百八十三結。 【水田七分之二。】 土宜, 稻、黍、粟、蕎麥、菽、桑、麻莞。 土貢, 蜂蜜、黃蠟、漆、雪緜子、松茸、松子、芝草、銀口魚、紙、席、狐狸獐皮。 藥材, 黃芩、五味子、白茯苓、遠志、人蔘。 土産, 沙鐵産臨河縣 北沙等羅 本谷里等處。 【有鐵場, 歲貢正鐵九千九百五十斤。】 邑石城。 【周回五百二十八步, 內有井泉十八。】 淸涼山石城。 【在才山縣西二十一里。 距本府七十一里。 周回二千二百七十九步, 高險。 內有井泉七、小溪二, 又有軍倉。】 映湖樓 【在府治南, 俯臨大川。 高麗 恭愍王登覽, 大書映湖樓三字, 以爲扁額。 筆力逡健, 觀者敬仰。】 驛七, 安奇瓮泉 【在本府境。】 琴召松蹄 【在臨河。】 安郊 【在豐山。】 新驛、 【在一直。】 幽洞 【在甘泉。】 烽火七處, 南山在府南, 【東準申石山, 南準一直 甘谷, 西準豐山南山 北準開目。】 申石山 【東準臨河 若山】 若山 【東準眞寶 南角山。】 甘谷 【南準義城 馬山。】 南山豐山縣南, 【西準醴泉 西庵山。】 開目 【北準榮川 所伊山。】 烽火岾柰城縣南。 【東準奉化西山, 西準榮川 所伊山。】 所領都護府二, 寧海順興。 郡四, 醴泉榮川永川靑松; 縣十一, 義城盈德禮安河陽基川仁同奉化義興新寧眞寶比安


    • 【태백산사고본】 54책 150권 12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4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