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50권, 地理志 慶尙道 慶州府 蔚山郡

地理志 / 慶尙道 / 慶州府 / 蔚山郡

울산군(蔚山郡)

본디 굴아화촌(屈阿火村)인데, 신라 파사왕(婆娑王)이 현(縣)을 설치하였고, 경덕왕이 이름을 하곡(河曲)으로 고치고 【혹은 하서(河西)라고도 한다. 】 임관군(臨關郡)의 영현(領縣)으로 삼았다. 고려에서 울주군(蔚州郡)으로 고쳐, 현종(顯宗) 무오년에 방어사(防禦使)를 두었고, 【김부식이 이르기를, "경덕왕이 우화현(于火縣)을 우풍현(虞風縣)으로 고치고, 율포현(栗浦縣)을 동진현(東津縣)으로 고쳤는데, 지금 고쳐서 울주(蔚州)에 합속(合屬)시켰다." 하였다. 】 본조 태조 6년 정축에 비로소 진(鎭)을 설치하고 병마사(兵馬使)로써 지주사(知州事)를 겸하게 하였는데, 태종 13년 계사에 진(鎭)을 폐지하고 지울산군사(知蔚山郡事)로 고치고, 을미년에 좌도 병마 도절제사 영(左道兵馬都節制使營)을 군(郡) 북쪽 거마곡(巨麽谷)으로 옮겼다가, 금상(今上) 8년 병오에 영(營)을 폐지하고 다시 진(鎭)을 두어 병마 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로써 지군사(知郡事)를 겸하게 하였다. 【3품은 첨절제사(僉節制使)라 일컫고, 4품은 동첨절제사(同僉節制使)라 일컫는다. 】 별호(別號)는 공화(恭化), 또는 학성(鶴城)이다. 【순화(淳化) 때에 정한 것이다. 본군(本郡)의 정(呈)에 일컫기를, "본디 계변성(戒邊城)인데, 신라 말기에 학(鶴)이 와서 울기 때문에 신학성(神鶴城)이라 고쳤고, 고려 태조 때에 고을 사람 박윤웅(朴允雄)이 큰 공이 있어서, 하곡(河曲)·동진(東津)·우풍(虞風) 등의 현(縣)을 병합하여 흥려부(興麗府)를 설치하였는데, 뒤에 낮추어서 공화현(恭化縣)이라 하고, 또 고쳐서 지울주사(知蔚州事)로 하였다."고 하나, 《삼국사(三國史)》와 《고려실록(高麗實錄)》에는 기재되지 아니하였으니, 그 옳고 그름을 자세히 알 수 없다. 오직 《육익(六翼)》에 이르기를, "예전에는 화성군(火城郡) 또는 흥려부(興麗府)로 일컬었다."고 하였다. 】 부곡(部曲)이 1이니, 갑화(甲火)이다.

주진(注津)언양(彦陽)으로부터 흘러 와서 서남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경주(慶州)와 바다에 이르기 31리, 서쪽으로 언양(彦陽)에 이르기 27리, 남쪽으로 기장(機張)에 이르기 59리, 북쪽으로 경주(慶州) 관문(關門)에 이르기 24리이다.

호수는 1천 58호, 인구가 4천 1백 61명이며, 군정(軍丁)은 시위군(侍衛軍)이 16명, 진군(鎭軍)이 1백 16명, 선군(船軍)이 3백 68명이다.

토성(土姓)이 9이니, ···목(睦)·전(全)·오(吳)·윤(尹)·문(文)·임(林)이며, 서울에서 온 성[京來姓]이 2이니, 황(黃)·허(許)이요, 갑화(甲火)의 성이 2이니, 박(朴)·이다.

땅이 기름지고, 기후는 따뜻하며, 간전(墾田)이 6천 4백 82결이다. 【논이 9분의 4가 넘는다. 】 토의(土宜)는 벼·조·삼[麻]이며, 토공(土貢)은 꿀·밀[黃蠟]·칠(漆)·종이·가는 대[篠]·왕대[簜]·여우가죽·삵가죽·노루가죽·어피(魚皮)·점찰피(占察皮)·지초(芝草)·작설차(雀舌茶)·마른 죽순[乾竹笋]·표고버섯·오해조(吾海曹)·미역·세모(細毛)·김[海衣]·청각(靑角)·전포(全鮑)·건합(乾蛤)·홍어(洪魚)·흑백 바둑돌[黑白碁子]이요, 약재(藥材)는 방풍(防風)·오징어뼈[烏魚骨]·맥문동(麥門冬)·천문동(天門冬)·염매(鹽梅)·오매(烏梅)이다. 염소(鹽所)가 3이니, 모두 군(郡) 남쪽에 있다. 【염창(鹽倉)은 읍성(邑城) 안에 있는데, 장관(場官)이 감독해 지킨다. 】 철장(鐵場)은 군(郡) 북쪽 달천리(達川里)에 있으니, 백동(白銅)·철(鐵)·수철(水鐵)·생철(生鐵)이 난다. 【세공(歲貢)은 생철 1만 2천 5백 근이다. 】 마류석(瑪瑠石)이 군(郡) 서쪽 원포리(遠浦里)에서 난다. 자기소(磁器所)가 1, 도기소(陶器所)가 1이니, 모두 군(郡) 북쪽 제여답리(齊餘沓里)에 있다. 【하품이다. 】

옛 읍의 석성[古邑石城] 【둘레가 2백 15보이니, 그 안에 우물이 셋이 있고, 또 계변 고사(戒邊古祠)가 있다. 】 좌도 영성(左道營城) 【군(郡) 북쪽에 있으니, 해구(海口)와의 거리가 3리이며, 둘레가 6백 22보이다. 병오년 2월에 군치(郡治)를 성안으로 옮겼다. 안에 우물 셋이 있다. 】 대화루(大和樓)·망해대(望海臺) 【모두 군(郡) 서쪽에 있다. 】 동백도(冬栢島) 【군(郡) 남쪽에 있다. 】 은월봉(隱月峯) 【군(郡) 동쪽에 있다. 】 역(驛)이 3이니, 간곡(肝谷)·굴화(屈火)·부평(富平)이다. 염포(鹽浦) 【군(郡) 동쪽 15리에 있다. 】 개운포(開雲浦) 【군(郡) 남쪽 37리에 있다. 】 서생포(西生浦) 【군(郡) 남쪽 44리 거리에 있다. 모두 수군 만호(水軍萬戶)가 있어 수어(守禦)한다. 】 봉화(烽火)가 8곳이니, 임을랑포(林乙郞浦)는 군(郡) 남쪽에 있다. 【남쪽으로 기장현(機張縣) 남산(南山)의 봉화에 응하고, 북쪽으로 아이포(阿爾浦) 봉화에 응한다. 】 아이포(阿爾浦) 【북쪽으로 이길(爾吉) 봉화에 응한다. 】 ·이길(爾吉) 【북쪽으로 하산(下山) 봉화에 응한다. 】 ·하산(下山) 【북쪽으로 가리(加里) 봉화에 응한다. 】 ·가리(加里) 【북쪽으로 천내(川內) 봉화에 응한다. 】 ·천내(川內) 【북쪽으로 남목(南木) 봉화에 응한다. 】 ·남목(南木) 【북쪽으로 유등포(柳等浦) 봉화에 응한다. 】 ·유등포(柳等浦) 【북쪽으로 경주(慶州) 안산(顔山) 봉화에 응한다. 】 이다. 처용암(處容巖) 【군(郡) 남쪽 37리 거리의 개운포(開雲浦) 가운데에 있다. 세상에서 전하기를, "신라 때에 어떤 사람이 그 위에서 나왔는데, 얼굴이 기괴하고 노래와 춤을 좋아하니, 그때 사람들이 처용옹(處容翁)이라고 일렀다."고 한다. 지금 향악(鄕樂)에 처용희(處容戲)가 있다. 】 우불신당(亐弗神堂) 【군(郡) 서쪽 47리의 원적산(圓寂山) 밑에 있는데, 춘추로 향축(香祝)을 내려 제사를 지낸다. 소사(小祀)이다. 】

팔영(八詠) 【성루의 화각[城樓畫角], 전함의 홍기[戰艦紅旗], 동봉의 해돋이[東峯日出], 남포의 밝은 달[南浦月明], 산사의 솔바람[山寺松風], 강정의 매화눈[江亭梅雪], 조대의 성긴 비[釣臺疎雨], 염촌의 맑은 연기[鹽村淡煙]. 】


  • 【태백산사고본】 54책 150권 6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38면

蔚山郡: 本屈阿火村, 新羅 婆娑王置縣, 景德王改名河曲, 【一作河西。】臨關郡領縣, 高麗改爲蔚州郡顯宗戊午, 置防禦使。 【金富軾云: "景德王改于火縣爲虞風縣, 栗浦縣爲東津縣, 今改合屬蔚州。"】 本朝太祖六年丁丑, 始置鎭, 以兵馬使, 兼知州事。 太宗十三年癸巳, 罷鎭, 改爲知蔚山郡事。 乙未, 移左道兵馬都節制使營于郡北巨麽谷。 今上八年丙午, 罷營, 復置鎭, 以兵馬僉節制使, 兼知郡事。 【三品則稱僉節制使, 四品則稱同僉節制使。】 別號恭化鶴城 【淳化所定。 本郡呈稱, "本戒邊城, 新羅之末, 有鶴來鳴, 故改爲神鶴城, 高麗 太祖時, 郡人朴允雄有大功, 乃倂河曲、東津、虞風等縣, 置興麗府, 後降爲恭化縣, 又改爲知蔚州事。" 然《三國史》及《高麗實錄》所不載, 未詳是否。 唯《六翼》云: "古稱火城郡 興鹿府。"】 部曲一, 甲火注津彦陽來, 西南入于海。 四境, 東距慶州及大海三十一里, 西距彦陽二十七里, 南距機張五十九里, 北距慶州 關門二十四里。 戶一千五十八, 口四千一百六十一。 軍丁, 侍衛軍十六, 鎭軍一百十六, 船軍三百六十八。 土〔姓〕 九, ; 京來姓二, 甲火姓二, 。 厥土肥風氣暖, 墾田六千四百八十二結。 【水田九分之四强】 土宜, 稻、粟、麻。 土貢, 蜂蜜、黃蠟、漆、紙、篠蕩、狐皮、狸皮、獐皮、魚皮、占察皮、芝草、雀舌茶、乾竹笋、蔈𧀎、吾海曹藿、細毛、海衣、靑角、全鮑、乾蛤、洪魚、黑白碁子。 藥材, 防風、烏魚骨、麥門冬、天門冬、鹽梅、烏梅。 鹽所三, 皆在郡南。 【鹽倉在邑城內, 場官監守。】 鐵場在郡北達川里, 産白銅、鐵、水鐵、生鐵。 【歲貢生鐵一萬二千五百斤。】 瑪瑠石, 産郡西遠浦里。 磁器所一, 陶器所一, 皆在郡北齊餘沓里 【下品。】 古邑石城。 【周回二百十五步, 內有井三, 又有戒邊古祠。】 左道營城。 【在郡北, 去海口三里, 周回六百二十二步。 丙午二月, 移郡治于城中, 內有井三。】 大和樓望海臺 【皆在郡西。】 冬栢島 【在郡南。】 隱月峯 【在郡東。】 驛三, 肝谷屈火富平鹽浦 【在郡東十五里。】 開雲浦 【在郡南三十七里】 西生浦 【在郡南四十四里, 俱有水軍, 萬戶守禦。】 烽火八處, 林乙郞浦, 在郡南。 【南準機張縣 南山, 北準阿爾浦。】 阿爾浦 【北準爾吉。】 爾吉 【北準下山。】 下山 【北準加里。】 加里 【北準川內。】 川內, 【北準南木。】 南木, 【北準柳等浦。】 柳等浦 【北準慶州 顔山。】 處容巖 【在郡南三十七里開雲浦中。 世傳新羅時, 有人出其上, 狀貌奇怪, 好歌舞, 時人謂之處容翁。 今鄕樂有處容戲。】 亏弗神堂 【在郡西四十七里圓寂山下, 春秋降香祝行祭, 小祀。】 八詠。 【城樓畫角, 戰艦紅旗, 東峯日出, 南浦月明, 山寺松風, 江亭梅雪, 鈞臺踈雨, 鹽村淡煙。】


  • 【태백산사고본】 54책 150권 6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3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