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49권, 地理志 忠淸道 公州牧 藍浦縣

地理志 / 忠淸道 / 公州牧 / 藍浦縣

남포현(藍浦縣)

본래 백제사포현(寺浦縣)인데, 신라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 서림군(西林郡)의 영현(領縣)으로 하였고, 고려 현종(顯宗) 9년에 가림현(嘉林縣) 임내에 옮겨 붙이었다가, 다시 감무(監務)를 두었는데, 홍무(洪武) 13년 경신에 왜구(倭寇)로 인하여 인물(人物)이 사방으로 흩어졌으므로, 〈공양왕(恭讓王) 2년〉 경오에 비로소 진성(鎭城)을 설치하고, 유리(流離)해 흩어진 백성들을 불러 안집(安集)시켰다. 본조(本朝) 태조(太祖) 6년 정축에 비로소 진병마사(鎭兵馬使)를 두고 판현사(判縣事)를 겸하게 하였다.

진산(鎭山)은 구룡(九龍)이다.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홍산(鴻山)에 이르기 34리, 서쪽으로 죽도(竹島)에 이르기 10리, 남쪽으로 비인(庇仁)에 이르기 27리, 북쪽으로 보령(保寧)에 이르기 6리이다.

호수가 1백 80호요, 인구가 9백 49명이다. 군정은 시위군이 2명이요, 진군(鎭軍)이 17명이요, 선군이 61명이다.

토성(土姓)이 3이니, 임(任)·백(白)·이(李)요, 차성(次姓)이 3이니, 유(庾)·현(玄)·문(門)이다.

땅이 기름지고 메마른 것이 반반이며, 간전(墾田)이 2천 6백 68결이요, 【논이 6분의 3에 좀 모자란다. 】 토의(土宜)는 기장·벼·콩·조·메밀·보리·삼·모시·가는대·왕대이다. 토공(土貢)은 자리·참가사리[細毛]·지초(芝草)·황각(黃角)·족제비털·잣·감·붉은 큰새우[紅大蝦]요, 약재(藥材)는 병풍나물뿌리[防風]·녹용(鹿茸)·연밥·목향(木香)이요, 토산(土産)은 은어[銀口魚]·신감초(辛甘草)·대합조개[生蛤]·낙지이다. 어량(魚梁)이 3이요, 【주로 청어·상어·숭어·홍어가 난다. 】 염분(鹽盆)이 18이다. 【염정(鹽井)이 3개이다. 】 자기소(磁器所)가 1이요, 【현의 동쪽 취련(吹鍊) 모로리(毛老里)에 있는데, 중품(中品)이다. 】 도기소(陶器所)가 1이다. 【현의 동쪽 탄부포(炭釜浦)에 있는데, 하품이다. 】

읍 석성(邑石城) 【둘레가 3백 17보이며, 안에 우물 3이 있는데, 겨울이나 여름에도 마르지 아니한다. 】 역(驛)이 1이니, 남전(藍田)이요, 【태종(太宗) 계사에 비로소 두었다. 】 옛 목장(牧場)이 1이다. 【토진곶(土津串)에 있다. 둘레가 16리 34보인데, 안의 토장(土場)이 8리 40보요, 석장(石場)이 7리 36보요, 목장(木場)이 1백 18보이다. 다만 도랑물[渠水]만이 있고, 또 띠와 고사리풀만 있다. 】 봉화가 2곳이니, 현의 서쪽 덕산(德山) 【남쪽으로 비인(庇仁) 칠지(漆枝)에, 북쪽으로 본군의 여도점(余道岾)에 응한다. 】 현의 북쪽 여도점(余道岾)이다. 【북쪽으로 보령(保寧) 조침산(助侵山)에 응한다. 】


  • 【태백산사고본】 53책 149권 15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31면

    藍浦縣: 本百濟 寺浦縣, 新羅改今名, 爲西林郡領縣。 高麗 顯宗戊午, 移屬嘉林縣任內, 復置監務。 洪武十三年庚申, 因倭寇, 人物四散, 庚午, 始置鎭城, 招集流亡。 本朝太祖六年丁丑, 始置鎭兵馬使, 兼判縣事。 鎭山曰九龍。 四境, 東距鴻山三十四里, 西距竹島十里, 南距庇仁二十七里, 北距保寧六里。 戶一百八十, 口九百四十九。 軍丁, 侍衛軍二, 鎭軍十七, 船軍六十一。 土姓三, ; 次姓三, 。 厥土肥塉相半, 墾田二千六百八十六結。 【水田六分之三少】 土宜, 黍、稻、菽、粟、蕎麥、麥、麻、苧、篠。 土貢, 席、細毛、芝草、黃角、黃毛、松子、柿紅、大蝦。 藥材, 防風、鹿茸、蓮子、木香。 土産, 銀口魚、辛甘草、生蛤、落地。魚梁三, 【主産靑魚、沙魚、水魚、洪魚。】 鹽盆十八。 【鹽井二】 磁器所一, 【在縣東吹鍊毛老里, 中品。】 陶器所一。 【在縣東炭釜浦, 下品。】 邑石城。 【周回三百十七步, 內有井三, 冬夏不渴。】 驛一, 藍田 【太宗癸巳, 始置。】 古牧場一。 【在土津串, 周回十六里三十四步, 內土場八里四十步, 石場七里三十六步, 木場一百十八步。 只有渠水, 又有茅蕨草。】 烽火二處, 縣西德山, 【南準庇仁、漆枝, 北準本縣余道岾。】 縣北余道岾 【北準保寧助侵山。】


    • 【태백산사고본】 53책 149권 15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