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禮 / 凶禮儀式 / 發引儀
◎ 발인의(發引儀)408) 【전기(前期) 1일에 사직(社稷)에 기청(祈晴)하고, 그날에는 궁문(宮門)과 성문(城門)에서 오십 신위(五十神位)에 제사를 지내고, 또 지나가는 교량(橋梁)·명산(名山)·대천(大川)에도 제사를 지낸다. 】
견전(遣奠)을 마치기를 기다려 【내상(內喪)이면 전(奠)을 마치고는 궁인(宮人)들은 모두 물러가서 피한다. 】 재궁(梓宮)을 메는 관원이 【무관(武官)의 4품이다. 】 순(輴)을 빈전(殯殿)의 계하(階下)에 남향하여 올리고, 혼백여(魂帛輿)를 순(輴)의 남쪽에 진설(陳設)한다. 판통례(判通禮)가 앞으로 나가서 영좌(靈座) 앞에서 북향하여 부복하고 꿇어앉아 【뒤의 것도 이와 같다. 】 어좌(御座)에서 내려와 여(輿)를 타기를 계청(啓請)하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난다. 내시(內侍)가 고명(誥命)·시책보(諡冊寶)·애책(哀冊)으로써 【내상(內喪)이면 평시책(平時冊)이 있다. 】 집사자(執事者)에게 각각 요여(腰輿)에 두게 한다. 【그 안(案)은 봉담인(捧擔人)에게 준다. 】 내직 별감(內直別監)이 향로와 향합을 받들어 향정(香亭)에 두고 곁에서 모신다. 【그 안(案)은 봉담인(捧擔人)에게 준다. 】 대축(大祝)이 【내상(內喪)이면 내시(內侍)가 이를 한다. 뒤의 것도 이와 같다. 】 혼백함(魂帛函)을 받들어 요여(腰輿)에 안치(安置)하고, 우주궤(虞主匱)는 그 뒤에 두고 【위의 것도 이와 같다. 그 교의(交椅)는 내시(內侍)가 받들고 문밖으로 나가서 봉담인(捧擔人)에게 준다. 】 내시가 요여(腰輿)를 받들고 중문(中門)을 지나 나간다. 섭판통례(攝判通禮)가 앞으로 나가 재궁(梓宮) 앞에서 북향하여 순(輴)에 타기를 계청(啓請)하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면, 내시가 명정(銘旌)을 받들고 층계에 내려온다. 좌의정이 재궁(梓宮)을 메는 관원과 내시를 거느리고 재궁(梓宮)을 받들고 층계에 내려와서 순(輴)에 올리고, 소금저(素錦楮)로써 이를 덮고 안팎이 모두 곡을 한다.
섭판통례(攝判通例)가 앞에서 인도하고, 충의위(忠義衛)에서 삽(翣)으로써 재궁(梓宮)을 가려 막는다. 【내상(內喪)이면 내시가 삽(翣)과 행장(行障)·좌장(坐障)으로써 이를 가려 막는다. 】 여사(輿士)가 순(輴)과 명정(銘旌)을 받들고 먼저 행진하여 【문에 나가서 충의위(忠義衛)에게 주고 부(趺)는 봉담인(捧擔人)에게 준다. 】 외문(外門) 밖에 이르면, 섭판통례(攝判通例)가 앞으로 나가 혼백여(魂帛輿) 앞에 가서, 여(輿)에서 내려 차(車)를 타기를 계청(啓請)하고, 대축(大祝)이 혼백함(魂帛函)을 받들어 차(車)에 안치(安置)한다. 섭판통례(攝判通例)가 앞으로 나가 순(輴) 앞에 가서, 순(輴)에서 내려 대여(大輿)에 오르기를 계청(啓請)하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난다. 좌의정이 재궁(梓宮)을 메는 관원 등을 거느리고 재궁(梓宮)을 받들어 대여(大輿)에 올리고 남쪽으로 머리를 둔다. 【순(輴)에서 내려 대여(大轝)에 오를 때는 윤여(輪轝)를 사용한다. 무릇 오르고 내릴 적에도 이와 같다. 】
혼백여(魂帛輿)·고명(誥命)·시책 보여(諡冊寶輿)·애책여(哀冊輿)·우보(羽葆)·명정(銘旌)과 삽(翣)을 차례대로 진열(陳列)한다. 섭판통례(攝判通禮)가 앞으로 나가 혼백차(魂帛車) 앞에 가서, 거가(車駕)가 출발(出發)하기를 계청(啓請)하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물러간다. 또 섭판통례(攝判通禮)가 앞으로 나가 대여(大轝) 앞에 가서 영가(靈駕)가 조금 멈추기를 계청(階請)하면, 여사(轝士)가 대여(大轝)를 톨이켜 북향하여 욕석(褥席)에 안치(安置)한다. 섭판통례가 영가(靈駕)가 출발하기를 계청(啓請)하면, 여사(轝士)가 대여(大轝)를 톨이켜서 출발한다. 어연(御輦)이 종묘(宗廟) 앞 길에 이르면, 판통례(判通禮)가 앞으로 나가 연(輦) 앞에 가서 연(輦)에서 내리기를 계청(啓請)하면, 전하가 연(輦)에서 내려 종묘(宗廟) 앞을 지나간다. 판통례가 연(輦)에 오르기를 계청(啓請)하면, 전하가 연(輦)에 오르는데 시종(侍從)하기를 처음과 같이 한다. 혹은 선왕(先王)·선후(先后)의 능(陵) 앞에 지나갈 때에도 이와 같이 한다. 출발(出發)하기를 계청(啓請)하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물러간다. 의위(儀衛)가 인도 시종(侍從)하기를 법식대로 한다. 【길흉(吉凶)의 의장(儀仗)은 자세하게 반차(班次)에 있다. 】
탁(鐸)을 쥔 사람이 탁(鐸)을 흔들면 【영가(靈駕)가 행진하고 정지할 때에 호군(護軍)이 탁(鐸)을 흔든다. 】 영가(靈駕)가 움직인다. 궁인(宮人)이 말을 타고 곡을 하며 따라가면서 소리를 끊이지 않고 【행유(行帷)로써 가려서 막는다. 】 내시가 곡을 하며 걸어서 따라간다. 【성문(城門)을 나서면 모두 임시로 곡을 중지한다. 】 처음에 재궁(梓宮)이 대여(大輿)에 오르면, 판통례(判通禮)가 앞으로 나가 여차(廬次) 앞에 가서 부복하고 꿇어앉아 【뒤에도 이와 같다. 】 영가(靈駕)가 출발한다고 계(啓)한다. 내시가 전하를 부축 인도하여 여차(廬次)에서 나가 여(輿)를 타면, 산(繖)과 선(扇)으로 【여(輿)와 산(繖)·선(扇)은 모두 흰 것을 사용한다. 】 시위(侍衛)하기를 평상시의 의식과 같이 하고, 대군(大君) 이하의 왕자가 따라 나가서 중문(中門) 밖에 이른다. 판통례(判通禮)가 앞으로 나가 여(輿) 앞에 가서 전하에게 여(輿)에서 내려 연(輦)에 【소연(素輦)이다. 】 오르기를 계청(啓請)하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물러간다. 전하가 여(輿)에서 내려 연(輦)에 오르면, 인도 배종(陪從)하기를 평상시와 같이 한다. 다음에 대군(大君) 이하의 왕자와 그 다음에 종친과 문무 백관(文武百官)들이 【여러 도(道)의 관찰사(觀察使)·수령관(首領官)들은 본품(本品)의 끝에 따른다. 】 차례대로 걸어서 따른다. 【도성(都城)에 남아 있는 여러 관원은 앞질러 성문(城門) 밖에 이르러 영가(靈駕)가 만약 길이 종묘(宗廟)를 지나게 되면, 유사(攸司)가 먼저 욕석(褥席) 앞 길에 북향하여 편다. 섭판통례(攝判通禮)가 앞으로 나가 혼백차(魂帛車) 앞에서 거가(車駕)가 조금 멈추기를 계청(啓請)하고, 만사(挽士)가 수레를 돌이켜 북향하여 욕석(褥席)의 남쪽에 정지한다. 조금 후에 섭판통례(攝判通禮)가 거가(車駕)가 출발하기를 계청(啓請)하고, 계(啓)하기를 마치면 부복(俯伏)하였다가 일어나서 물러가고, 만사(挽士)가 수레를 돌이켜 출발한다. 또 대여(大轝)가 이르면, 섭판통례(攝判通禮)가 앞으로 나가 대여(大轝) 앞에 가서 영가(靈駕)가 조금 멈추기를 계청(啓請)하면, 여사(轝士)가 대여(大轝)를 돌이켜 북향하여 욕석(褥席)에 안치(安置)한다. 섭판통례가 영가(靈駕)가 출발하기를 계청(啓請)하면, 여사(轝士)가 대여(大轝)를 돌이켜서 출발한다. 어연(御輦)이 종묘(宗廟) 앞 길에 이르면, 판통례(判通禮)가 앞으로 나가 연(輦) 앞에 가서 연(輦)에 내리기를 계청(啓請)하면, 전하가 연(輦)에서 내려 종묘(宗廟) 앞을 지나간다. 판통례가 연(輦)에 오르기를 계청(啓請)하면, 전하가 연(輦)에 오르는데 시종(侍從)하기를 처음과 같이 한다. 혹은 선왕(先王)·선후(先后)의 능(陵) 앞에 지나갈 때에도 이와 같이 한다. 만사(挽士) 앞에 가서 영가(靈駕)가 조금 멈추기를 계청(啓請)하면, 여사(轝士)가 대여(大轝)를 돌이켜서 출발한다. 어연(御輦)이 종묘(宗廟) 앞 길에 이르면, 판통례(判通禮)가 앞으로 나가 연(輦) 앞에 가서 연(輦)에 오르기를 계청(啓請)하면, 전하가 연(輦)에 오르기를 계청(啓請)하면, 전하가 연(輦)에 오르는데, 시종(侍從)하기를 처음과 같이 한다. 혹은 선왕(先王)·선후(先后)의 능(陵) 앞에 지나갈 때에도 이와 같이 한다. 】
영가(靈駕)가 성문(城門) 밖에 나가서 노제소(路祭所)에 이르러 영가(靈駕)가 조금 멈추면, 도성(都城)에 남아 있는 여러 관원이 향을 올리고 하직(下直)하기를 별도의 의식과 같이 한다. 영가(靈駕)가 노제소(路祭所)에 이르러 조금 멈추면, 판통례(判通禮)가 앞으로 나가 연(輦) 앞에 가서, 연(輦)에서 내리기를 계청(啓請)하면, 전하가 연(輦)에서 내려 악차(幄次)에 들어간다. 【전기(前期) 1일에 충호위(忠扈衛)에서 악차(幄次)를 영장전(靈帳殿)의 가까운 땅에 남향하여 설치하되, 땅의 적당한 데 따른다. 】 영가(靈駕)가 출발하면, 【전함(前銜) 재신(宰臣)·추신(樞臣)과 기로(耆老)·학생(學生)·승도(僧徒)들은 길 옆에서 차례대로 서서, 대여(大轝)가 장차 이르려 하면, 모두 부복하고 곡을 하고 네 번 절하고, 또 곡을 하여 진애(盡哀)하고, 네 번 절하고는 하직(下直)을 한다. 】 판통례가 앞으로 나가 악차(幄次) 앞에 가서 연(輦)에 오르기를 계청(啓請)하면, 전하가 악차(幄次)에서 나가 연(輦)에 오르고, 대군(大君) 이하의 왕자와 종친과 백관들이 모두 말을 타고 시종(侍從)하기를 처음과 같이 한다.
혼백차(魂帛車)가 주정소(晝停所)의 유문(帷門) 밖에 이르면, 섭판통례(攝判通禮)가 앞으로 나가 연(輦) 앞에 가서, 수레에서 내려 여(輿)에 오르기를 계청(啓請)하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물러간다. 내시가 요여(腰輿)를 혼백차(魂帛車) 앞에 올리고, 대축(大祝)이 혼백함(魂帛函)을 받들어 요여(腰輿)에 안치(安置)하여 유문(帷門) 안에 이른다. 섭판통례(攝判通禮)가 여(輿)에서 내려 영좌(靈座)에 오르기를 계청(啓請)하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면, 대축(大祝)이 혼백함(魂帛函)을 받들어 들어와서 장전(帳殿) 속의 영좌(靈座)에 안치(安置)하고, 【전기(前期) 1일에 충호위(忠扈衛)에서 장전(帳殿)을 남향하여 설치한다. 】 의장(儀仗)은 유문(帷門) 밖의 좌우(左右)에 늘어선다. 대여(大轝)가 이르면, 섭판통례(攝判通禮)가 앞으로 나가 대여(大轝) 앞에 가서, 영가(靈駕)가 조금 멈추기를 계청(啓請)하고, 부복(俯伏)하였다가 일어나서 물러간다. 궁인(宮人)이 말에서 내려 막차(幕次)에 들어간다. 【막차(幕次)를 장전(帳殿)의 서남쪽에 동향하여 설치한다. 만약 내상(內喪)이면, 궁인(宮人)이 물에 손을 씻고 장전(帳殿)의 시립(侍立)하는 자리에 나아간다. 】 판통례가 앞으로 나가 연(輦) 앞에 가서, 연(輦)에서 내리기를 계청(啓請)하면, 전하가 연(輦)에서 내려 악차(幄次)에 들어가는데 【악차(幄次)를 장전(帳殿)의 동남쪽에 서향하여 설치한다. 】 산(繖)과 선(扇)으로 시위(侍衛)하기를 평상시의 의식과 같이 한다. 대군 이하의 왕자가 말에서 내려 막차(幕次)에 들어오고 【막차(幕次)를 악차(幄次)의 동남쪽에 북향하여 설치한다. 】 종친과 백관들은 말에서 내려 각각 좌차(座次)에 나아간다.
유사(攸司)가 예찬(禮饌)을 올리고, 행례(行禮)하기를 모두 조석전(朝夕奠)과 같이 하고, 이를 마치면, 【만약 내상(內喪)이면 상식(尙食)이 이를 한다. 】 섭판통례(攝判通禮)가 앞으로 나가 영좌(靈座) 앞에 가서, 어좌(御座)에서 내려 여(輿)에 오르기를 계청(啓請)하고는 부복(俯伏)하였다가 일어난다. 내시가 요여(腰輿)를 유문(帷門) 안에 올리고, 대축(大祝)이 혼백함(魂帛函)을 받들어 요여(腰輿)에 안치(安置)하고, 내시가 요여(腰輿)를 받들어 수레 앞에 나아간다. 섭판통례(攝判通禮)가 여(輿)에서 내려 수레에 오르기를 계청(啓請)하고는 부복(俯伏)하였다가 일어나고, 대축(大祝)이 혼백함(魂帛函)을 받들어 수레에 안치(安置)한다. 섭판통례(攝判通禮)가 거가(車駕)가 출발하기를 계청(啓請)하고, 또 섭판통례가 대여(大轝) 앞에 나가서 영가(靈駕)가 출발하기를 계청(啓請)하고는,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물러가면, 영가(靈駕)가 움직이고 의위(儀衛)가 인도 시종(侍從)하기를 처음과 같이 하고, 궁인(弓人)이 말을 타고 따른다. 판통례(判通禮)가 악차(幄次) 앞에 나가서 연(輦)에 오르기를 계청(啓請)하면, 전하가 악차(幄次)에서 나와 연(輦)에 오르고, 대군 이하의 왕자와 종친과 백관들이 시종(侍從)하기를 처음과 같이 한다. 능소(陵所)에 이르러 혼백차(魂帛車)와 대여(大轝)가 영악전 장문(靈幄殿帳門) 밖에 이르면 【전기(前期) 1일에 충호위(忠扈衛)에서 영장전(靈帳殿)을 현궁(玄宮)의 남쪽에 남향하여 설치하고, 병장(屛帳)을 치고 남쪽에 유문(帷門)을 둔다. 악차(幄次)를 장전중(帳殿中)에 북쪽 가까이 남향하여 설치하고, 궁인(宮人)의 막차(幕次)를 장전(帳殿)의 서남쪽에 동향하여 설치한다. 】 섭판통례(攝判通禮)가 앞으로 나가 대여(大轝) 앞에 가서 여(輿)에서 내려 순(輴)에 오르기를 계청(啓請)하고는 부복하였다가 일어나면, 좌의정이 재궁(梓宮) 메는 관원을 거느리고 재궁(梓宮)을 받들어 여(轝)에 내려 순(輴)에 올린다. 섭판통례(攝判通禮)가 앞에서 인도하고, 충의위(忠義衛)에서 삽(翣)으로써 재궁(梓宮)을 가리운다. 【내상(內喪)이면 내시가 삽(翣)과 행장(行障)·좌장(坐障)으로써 이를 가리운다. 】 여사(轝士)가 순(輴)을 받들고 유문(帷門) 안에 이르면, 섭판통례(攝判通禮)가 순(輴)에서 내리기를 계청(啓請)하고는 부복하였다가 일어난다. 좌의정이 재궁(梓宮)을 메는 관원 등을 거느리고, 재궁(梓宮)을 받들어 탑(榻) 위에 안치(安置)하고 남쪽을 머리로 두게 한다. 내시가 영좌(靈座)를 재궁(梓宮)의 남쪽에 남향하여 설치하고 【악차(幄次)를 설치하기를 처음과 같이 한다. 】
섭판통례(攝判通禮)가 앞으로 나가 혼백차(魂帛車) 앞에 가서, 수레에서 내려 여(輿)에 오르기를 계청(啓請)하고는 부복(俯伏)하였다가 일어난다. 대축이 혼백(魂帛)을 받들어 요여(腰轝)에 안치(安置)하고, 내시가 요여(腰輿)를 받들고 유문(帷門) 안에 이른다. 섭판통례(攝判通禮)가 수레에서 내려 여(輿)에 오르기를 계청(啓請)하고는 부복하였다가 일어나고, 대축(大祝)이 혼백함(魂帛函)을 받들어 영좌(靈座)에 안치(安置)하고, 우주궤(虞主匱)는 그 뒤에 둔다. 내시가 향안(香案)을 그 앞에 설치하고, 명정(銘旌)을 영좌(靈座)의 오른쪽에 설치하고. 또 고명(誥命)·시책보(諡冊寶)·애책(哀冊)을 영좌(靈座)의 왼쪽에 남쪽 가까이 설치하고, 또 영침(靈寢)을 재궁(梓宮)의 동쪽에 설치하기를 처음과 같이 한다. 거여(車輿)·의장(儀仗)·명기(明器)를 장전 유문(帳殿帷門) 밖의 좌우에 나누어 진열하고 【만약 유숙(留宿)하게 되면, 차여(車輿) 등의 물건은 밤이 되어서는 물리고, 현궁(玄宮)에 나아갈 때에 도로 진열한다. 】 궁인(宮人)이 좌차(座次)에 들어와서 곡을 하기를 처음과 같이 한다. 【만약 내상(內喪)이면 시립(侍立)하는 자리에 들어와서 곡을 한다. 】 처음에 대여(大轝)가 영장전(靈帳殿) 앞에 이르러 재궁(梓宮)을 내리려고 하면, 판통례(判通禮)가 앞으로 나가 연(輦) 앞에 가서, 연(輦)에서 내리기를 계청(啓請)하면, 전하가 연(輦)에서 내려 악차(幄次) 앞에 이른다. 판통례가 임시로 악차(幄次)에 나아가기를 계청(啓請)하고, 판통례가 전하를 인도하고, 내시가 부축 인도하여 임시로 악차(幄次)에 나아가고 【전기(前期) 1일에 충호위(忠扈衛)에서 악차(幄次)를 장전(帳殿)의 동남쪽에 서향하여 설치한다. 】 대군 이하의 왕자가 말에서 내려 막차(幕次)에 나아가고 【막차(幕次)를 악차(幄次)의 동남쪽에 북향하여 설치한다. 】 종친과 백관들도 모두 말에서 내려 임시로 막차(幕次)로 물러간다. 액정서(掖庭署)에서 전하의 자리를 유문(帷門) 안의 동쪽에 북쪽 가까이 서향하여 설치하고, 전의(典儀)가 대군 이하 왕자의 자리를 그 뒤에 가까이 설치하되, 서향하고 북쪽을 상(上)으로 하며, 자리를 달리 하여 겹줄로 선다. 종친과 문무 백관들의 자리를 유문(帷門) 밖에 남쪽 가까이 설치하되, 문관은 동쪽에 있고, 무관은 서쪽에 있으며, 모두 매 등급마다 자리를 달리 하여 겹줄로 북향하고 서로 마주 대하여 머리로 한다. 【종친은 매 품계(品階)마다 반열(班列)의 머리에 별도로 자리를 설치하고, 대군은 특별히 정1품의 앞에 자리를 설치한다. 】 감찰(監察) 자리 2개를 문·무반(文武班)의 뒤에 북향하여 설치하고 【서리(書吏)는 각각 그 뒤에 배석(陪席)한다. 】 전의(典儀)·통찬(通贊)·봉례랑(奉禮郞)의 자리를 문관(文官)의 북쪽에 서향하여 설치하고, 또 통찬과 봉례랑의 자리를 무관의 북쪽에 동향하여 설치하되, 모두 북쪽을 상(上)으로 한다. 유사(攸司)가 예찬(禮饌)을 설치하기를 평상시와 같이 한다. 감찰(監察)·전의(典儀)·통찬(通贊)·봉례랑(奉禮郞)이 먼저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가고, 봉례랑이 종친과 백관들을 나누어 인도하여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가고, 다음에 대군 이하의 왕자를 인도하여 지팡이를 버리고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가게 한다. 【내상(內喪)이면 봉례랑은 유문(帷門) 밖에서 그친다. 】 판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지팡이를 짚고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가게 하고, 【산(繖)·선(扇)과 호위(護衛)하는 관원은 유문(帷門) 밖에서 정지한다. 내상(內喪)이면, 판통례도 또한 유문(帷門) 밖에서 그친다. 】
판통례가 전하에게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하기를 계청(啓請)하면, 전하가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을 하고, 대군(大君) 이하의 왕자도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을 한다. 통찬이
"궤(跪), 부복(俯伏), 곡(哭)하라."
창(唱)하면, 종친과 백관들이 꿇어앉아 부복하고 곡을 한다. 판통례가 곡을 그치기를 계청(啓請)하면 전하가 곡을 그치고, 대군(大君) 이하의 왕자가 곡을 그친다. 통찬이
"지곡(止哭)하라."
창(唱)하면, 종친과 백관들이 곡을 그친다. 대전관(大奠官)이 손을 씻고 【관세(盥洗)는 유문(帷門) 밖에 설치한다. 】 들어와서 향안(香案) 앞에 나아와 북향하여 꿇어앉아 삼상향(三上香)하고, 술을 따라 영좌(靈座) 앞에 드리고, 【연달아 잔(盞)을 드린다. 내상(內喪)이면 상식(尙食)이 이 일을 한다. 】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물러간다. 판통례가 곡하기를 계청(啓請)하면, 전하가 곡을 하여 진애(盡哀)하고, 대군(大君) 이하의 왕자가 곡을 하여 진애(盡哀)한다. 통찬이
"곡하라."
창(唱)하면, 종친과 백관들이 곡을 하여 진애(盡哀)한다. 판통례가 곡을 그치기를 계청(啓請)하면, 전하가 곡을 그치고, 대군 이하의 왕자가 곡을 그친다. 통찬이
"지곡(止哭), 흥(興), 사배(四拜), 흥(興), 평신(平身)하라."
창(唱)하면, 종친과 백관들이 곡을 그치고 일어나서 네 번 절하고 일어나서 몸을 그전대로 편다. 판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나가 악차(幄次)에 나아가게 하고, 봉례랑이 대군 이하의 왕자를 인도하여 나가서 악차(幄次)에 나아가게 하고, 다음에 종친과 문무 백관들을 인도하여 나가서 악차(幄次) 앞에 나아가서 차례대로 서서 꿇어앉는다. 반수(班首)가 이름[名]을 올리고 삼가 위문(慰問)한다. 이를 마치면, 봉례랑이 차례대로 인도하여 나간다. 내시가 장전(帳殿)에 시위(侍衛)하고 【내상(內喪)이면, 궁인(宮人)이 시위(侍衛)한다. 】 조석전(朝夕奠)과 상식(上食)을 설치하고, 곡하기를 모두 처음과 같이 한다.
- 【태백산사고본】 46책 134권 31장 B면【국편영인본】 5책 393면
- [註 408]발인의(發引儀) : 발인(發引)의 의식.
◎ 發引儀 【前一日, 祈晴于社稷。 其日, 於宮門及城門, 祭五十神位, 又祭所過橋梁名山大川。】
俟遣奠畢, 【內喪則奠畢, 宮人皆退避。】 舁梓宮官 【武官四品。】 進輴於殯殿階下, 南向; 魂帛輿陳於輴南。 攝判通禮進當靈座前北向俯伏跪, 【後倣此 。】 啓請降座乘輿, 俯伏興。 內侍以誥命諡冊寶哀冊 【內喪則有平時冊 。】 授執事者, 各置於腰輿。 【其安授捧擔人。】 內直別監捧香爐香合, 置於香亭俠侍。 【其案授捧擔人。】 大祝 【內喪則內侍爲之, 後倣此。】 捧魂帛函, 安於腰輿, 虞主匱置其後。 【後倣此。 其交倚, 內侍捧出門外, 授捧擔人。】 內侍捧腰輿, 由中門出。 攝判通禮進當梓宮前, 北向啓請升輴, 俯伏興。 內侍捧銘旌降階, 左議政帥舁梓宮官及內侍, 捧梓宮降階升輴, 覆以素錦褚, 內外皆哭。 攝判通禮前導, 忠義衛以翣障梓宮, 【內喪則內侍以翣及行障生障障之。】 輿士捧輴銘旌先行, 【出門授忠義衛, 跪授捧擔人 。】 至外門外, 攝判通禮進當魂帛輿前, 啓請降輿升車, 大祝捧魂帛函安於車。 攝判通禮進當輴前, 啓請降輴升大轝, 俯伏興。 左議政帥舁梓宮官等, 捧梓宮升大轝南首。 【降升大轝時用輪轝, 凡升降同。】 魂帛輿誥命諡冊寶輿哀冊輿羽葆銘旌及翣, 以次陳列。 攝判通禮進當魂帛車前, 啓請車駕進發, 俯伏興退。 又攝判通禮進當大轝前, 啓請靈駕進發, 俯伏興退, 儀衛導從如式。 【吉凶儀仗, 具在班次。】 執鐸者振鐸, 【靈駕進止, 皆護軍振鐸。】 靈駕動, 宮人乘馬哭從, 不絶聲, 【障以行帷。】 內侍哭步從。 【出城門, 皆權徹哭。】 初, 梓宮升大轝, 判通禮進當廬次前俯伏跪, 【後倣此 。】 啓靈駕將發, 內侍扶引殿下出次乘輿, 繖扇 【輿及繖扇, 皆用奉。】 侍衛如常儀。 大君以下從出, 至中門外, 判通禮進當輿前啓請降輿升輦, 【素輦。】 俯伏興退。 殿下降轝升輦, 導從如常。 次大君以下, 次宗親及文武百官 【諸道觀察使首領官, 從本品之末。】 以次步從。 【留都群官徑至城門外。 靈駕若道經宗廟, 則攸司先鋪褥席於宗廟前路北向, 攝判通禮進當魂帛車前, 啓請車駕少駐, 挽士回車北向, 停於褥席南。 少頃, 攝判通禮啓請車駕進發, 啓訖俯伏興退, 挽士回車進發。 又大轝至, 攝判通禮進當大轝前, 啓請靈駕少駐, 擧士回大轝北向, 安於褥席。 少頃, 攝判通禮啓請靈駕進發, 轝士回大轝進發。 御輦至宗廟前路, 判通禮進當輦前, 啓請降輦, 殿下降輦。 過宗廟前, 判通禮啓請升輦, 殿下升輦, 侍從如初。 或經先王先后陵前同。】 靈駕出城門外, 至路祭所, 靈駕少駐。 留都群官進香奉辭, 如別儀。 初, 靈駕至路祭所小駐, 判通禮進當輦前, 啓請降輦, 殿下降輦入幄次。 【前一日, 忠扈衛設幄次於靈帳殿近地南向, 隨地之宜。】 靈駕進發, 【前銜宰樞及耆老學生僧徒, 序立道旁。 大轝將至, 皆俯伏哭四拜, 又哭盡哀四拜奉辭。】 判通禮進當幄次前, 啓請升輦, 殿下出次升輦, 大君以下及宗親百官, 皆乘馬侍從如初。 魂帛車至晝停所帷門外, 攝判通禮進當車前, 啓請降車乘輿, 俯伏興退, 內侍以腰轝進魂帛車前, 大祝捧魂帛函, 安於腰輿, 至帷門內, 攝判通禮啓請降輿升座, 俯伏興。 大祝捧魂帛函, 入安於帳殿中靈座, 【前一日, 忠扈衛設帳殿南向。】 儀仗列於帷門外左右。 大轝至, 攝判通禮進當大轝前, 啓請靈駕小駐, 俯伏興退。 宮人下馬入次, 【設次於帳殿西南東向。 若內喪, 則宮人盥水, 詣帳殿侍位。】 判通禮進當輦前, 啓請降輦, 殿下降輦入幄次, 【設幄次於帳殿東南西向。】 繖扇侍衛如常儀。 大君以下下馬入次, 【設次於幄次東南, 北向。】 宗親及百官下馬各就次。 攸司進饌行禮, 竝如朝夕奠畢。 【若內喪, 則尙食爲之。】 攝判通禮進當靈座前, 啓請降座乘輿, 俯伏興。 內侍以腰輿進帷門內, 大祝捧魂帛函安於腰輿, 內侍捧腰輿進車前, 攝判通禮啓請降輿升車, 俯伏興。 大祝捧魂帛函安於車, 攝判通禮啓請車駕進發, 又攝判通禮進當大轝前, 啓請靈駕進發, 俯伏興退。 靈駕動, 儀衛導從如初, 宮人乘馬以從。 判通禮進當幄次前, 啓請升輦, 殿下出次升輦, 大君以下及宗親百官侍從如初。 至陵所, 魂帛車大轝至靈幄殿帳門外, 【前一日, 忠扈衛設靈帳殿於玄宮之南南向, 施屛帳, 南置帷門。 設幄於帳殿中近北南向, 設宮人次於帳殿西南東向。】 攝判通禮進當大轝前, 啓請降輿升輴, 俯伏興。 左議政帥舁梓宮官等, 捧梓宮降轝升輴, 攝判通禮前導, 忠義衛以翣障梓宮。 【內喪則內侍以翣及行障坐障障之。】 轝士捧輴至帷門內, 攝判通禮啓請降輴, 俯伏興。 左議政帥舁梓宮官等, 捧梓宮安於榻上, 南首。 內侍設靈座於梓宮之南南向。 【設幄如初。】 攝判通禮進當魂帛車前, 啓請降車乘輿, 俯伏興。 大祝捧魂帛安於腰轝, 內侍捧腰輿至帷門內, 攝判通禮啓請降車乘輿, 俯伏興。 大祝捧魂帛函安於靈座, 虞主匱置其後。 內侍設香案於其前, 設銘旌於靈座之右, 又設誥命諡冊寶哀冊於靈座之左近南, 又設靈寢於梓宮之東如初。 車輿儀仗明器, 分列於帳殿帷門外左右, 【若經宿則車輿等物, 至夜乃退。 卽玄宮時, 還陳。】 宮人入次哭如初。 【若內喪則入就侍位哭。】 初, 大轝至靈帳殿前, 梓宮將降, 判通禮進當輦前, 啓請降輦, 殿下降輦。 至幄次前, 判通禮啓請權就幄次, 判通禮導殿下, 內侍扶引, 權就幄次, 【前一日, 忠扈衛設幄次於帳殿東南西向。】 大君以下下馬就次, 【設次於幄次東南, 北向。】 宗親及百官皆下馬, 權退次。 掖庭署設殿下位於帷門內之東近北, 西向。 典儀設大君以下位於其後近南, 西向北上, 異位重行; 宗(宗)〔親〕及文武百官位於帷門外近南, 文東武西, 俱每等異位重行, 北向相對爲首; 【宗親, 每品班頭別設位; 大君, 特設位於正一品之前。】 監察位二於文武班後, 北向; 【書吏各陪其後。】 典儀通贊奉禮郞位於文官之北, 西向; 又通贊奉禮郞位於武官之北, 東向, 俱北上。 攸司設禮饌如常。 監察典儀通贊奉禮郞先入就位, 奉禮郞分引宗親及百官入就位, 次引大君以下去杖入就位, 【內喪則奉禮郞止於帷門外 。】 判通禮導殿下杖入就位。 【繖扇及護衛官停於帷門外, 內喪則判通禮亦止於帷門外。】 判通禮啓請跪俯伏哭, 殿下跪俯伏哭, 大君以下跪俯伏哭。 通贊唱跪俯伏哭, 宗親及百官跪俯伏哭。 判通禮啓請止哭, 殿下止哭, 大君以下止哭。 通贊唱止哭, 宗親及百官止哭。 代奠官盥手, 【盥洗設於帷門外 。】 入詣香案前, 北向跪三上香, 酌酒奠于靈座前, 【連奠三盞, 內喪則尙食爲之。】 俯伏興退。 判通禮啓請哭, 殿下哭盡哀, 大君以下哭盡哀。 通贊唱哭, 宗親及百官哭盡哀。 判通禮啓請止哭, 殿下止哭, 大君以下止哭。 通贊唱止哭興四拜興平身, 宗親及百官止哭興四拜興平身。 判通禮導殿下出就幄次, 奉禮郞引大君以下出就次, 次引宗親及文武百官出詣幄次前序立跪, 班首進名奉慰訖, 奉禮郞以次引出。 內侍侍衛帳殿, 【內喪則宮人侍衛 。】 設朝夕奠及上食哭, 竝如初。
- 【태백산사고본】 46책 134권 31장 B면【국편영인본】 5책 39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