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34권, 五禮 凶禮儀式 發引班次

五禮 / 凶禮儀式 / 發引班次

발인 반차(發引班次)407)

시위군(侍位軍) 3대(隊)가 먼저 행진한다. 제1대(隊) 50인은 갑주(甲胄)를 갖추고 검(劍)을 차고 반주창(半朱槍)을 쥐는데, 호군(護軍)이나 혹은 진무(鎭撫) 1인이 무기(武器)와 제복(制服)을 갖추고 이를 거느린다. 여러 대(隊)들도 이에 준한다. 제2대(隊)는 장검(長劍)을 쥐고, 제3대(隊)는 궁시(引矢)를 차고 【여러 대(隊)들이 서로 섞어져 병기(兵器)를 쥔다. 뒤에도 이와 같다. 】 각(角)를 부는 사람 2인은 무기(武器)와 제복(制服)을 갖추고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1인은 중각(中角)을 쥐고, 1인은 소각(小角)을 쥔다. 뒤에도 이와 같다. 】 우군 절제사(右軍節制使)가 무기와 제복을 갖추고 중간에 서며, 진무(鎭撫) 2인이 이를 뒤따른다. 【무기와 제복은 절제사(節制使)와 같다. 뒤에도 이와 같다. 】 다음의 우군(右軍) 8대(隊)는 제1 호용(虎勇) 2대(隊), 제2 호분(虎賁) 2대(隊), 제3 호익(虎翼) 2대(隊), 제4 호아(虎牙) 2대(隊) 이다. 다음의 중군(中軍) 4대(隊)는 제1 충무(忠武) 2대(隊), 제2 충좌(忠佐) 2대(隊)인데, 사금(司禁) 16인이 【오원(五員)으로 임명 충당한다. 】 무기와 제복을 갖추고 주장(朱杖)을 쥐고, 좌우(左右)로 나누어 의장(儀仗)의 밖에 선다.

다음의 홍문 대기(紅門大旗) 2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무릇 대기(大旗)는 1인이 쥐고 2인이 당기고 2인이 좌우(左右)에서 낀다. 중기(中旗)는 1인이 쥐고, 2인이 당긴다. 소기(小旗)는 1인이 쥐고, 1인이 당긴다. 모두 청의(靑衣)에 피모자(皮帽子)를 착용(着用)한다. 】 홍개(紅蓋) 2개는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각각 1인이 쥐고 청의(靑衣)에 자건(紫巾)을 착용(着用)한다. 무릇 산개(繖蓋)와 청선(靑扇)을 쥔 사람도 이와 같다. 】 다음의 주작기(朱雀旗)·청룡기(靑龍旗) 각각 1개는 왼쪽에 서고, 백호기(白虎旗)·현무기(玄武旗) 각각 1개는 오른쪽에 서며, 황룡기(黃龍旗)는 중간에 서고 금고(金鼓)는 중간에 선다. 【고(鼓)는 왼쪽에 2인이 쥐고, 금(金)은 오른쪽 1인이 쥔다. 모두 홍의(紅衣)에 피모자(皮帽子)를 착용(着用)한다. 뒤에도 이와 같다. 】 다음에 육정기(六丁旗)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주작기(朱雀旗)는 중간에 서고, 다음에 백택기(白澤旗) 2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삼각기(三角旗)·각단기(角端旗)·용마기(龍馬旗) 각각 2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천하태평기(天下太平旗)는 중간에 서고, 다음에 현학기(玄鶴旗) 1개는 왼쪽에 서고, 백학기(白鶴旗) 1개는 오른쪽에 선다. 취각인(吹角人) 6인은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2인은 대각(大角)을 쥐고 먼저 행진하고, 다음에 중각(中角)은 2인이 쥐고, 다음에 소각(小角)은 2인이 쥔다. 뒤에도 이와 같다. 】

어마(御馬) 2필은 안장을 갖추고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각각 2인이 이끈다. 청의(靑衣)에 총색립(椶色笠)과 운혜(雲鞋)를 착용(着用)한다. 뒤에도 이와 같다. 】 다음에 표골타자(豹骨朶子) 6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각각 1인이 쥔다. 홍의(紅衣)에 피모자(皮帽子)를 착용(着用)한다. 무릇 과부(瓜斧)·필한(畢罕)·등도(鐙刀)·정절(旌節)·당봉(撞棒)·작자(斫子)·용봉작선(龍鳳雀扇)을 쥔 사람도 이와 같다. 】 금고(金鼓)는 중간에 서고, 어마(御馬) 2필이 선다. 다음에 웅골타자(熊骨朶子) 6개는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영자기(令字旗) 2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쥔 사람은 홍의(紅衣)에 피모자(皮帽子)를 착용(着用)한다. 금고자기(金鼓字旗)를 쥔 사람도 이와 같다. 】 가귀선인기(駕龜仙人旗) 2개는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고자기(鼓字旗) 1개는 왼쪽에 서고 금자기(金字旗) 1개는 오른쪽에 서고, 어마(御馬) 2필이 선다. 다음에 가서봉(哥舒棒) 10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벽봉기(碧鳳旗) 2개는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어마(御馬) 2필이 선다.

다음에 금등(金鐙) 10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군왕천세기(君王千歲旗)는 중간에 서고, 어마(御馬) 2필이 선다. 다음에 은장도(銀粧刀) 2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은교의(銀交椅)는 중간에 있는데, 각답(脚踏)이 이에 뒤따른다. 【1인은 교의(交椅)를 받들고, 1인은 각답(脚踏)을 쥔다. 자의(紫衣)에 자건(紫巾)을 착용(着用)한다. 우관(盂灌)을 쥔 사람도 이와 같다. 】 다음에 금장도(金粧刀) 2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주작당(朱雀幢)·청룡당(靑龍幢) 각각 1개는 왼쪽에 서고, 백호당(白虎幢)·현무당(玄武幢) 각각 1개는 오른쪽에 서고, 은관자(銀灌子)·은우(銀盂) 각각 1개는 중간에 서고, 어마(御馬) 2필이 선다. 다음에 은립과(銀立瓜) 4개와 금립과(金立瓜) 2개는 서로 섞어져서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금고(金鼓)는 중간에 서고, 어마(御馬) 2필이 선다. 다음에 은횡과(銀橫瓜) 4개와 금횡과(金橫瓜) 4개는 서로 섞어서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은교의(銀交椅)는 중간에 서는데, 각답(脚踏)이 이에 뒤따르고, 어마(御馬) 2필이 선다. 다음에 은작자(銀斫子)·금작자(金斫子) 각각 4개는 서로 섞어서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주칠 교의(朱漆交椅)는 중간에 있는데, 각답(脚踏)이 이에 뒤따른다.

청양산(靑陽繖) 2개는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소여(小轝)는 중간에 있고 【여사(轝士) 30인은 자의(紫衣)에 흑건(黑巾)을 착용(着用)한다. 】 한(罕) 1개는 왼쪽에 서고, 필(畢) 1개는 오른쪽에 선다. 다음에 모절(旄節) 4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정(旌) 4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소여(小輦)는 중간에 있다. 【여사(轝士) 40인은 자의(紫衣)에 흑건(黑巾)을 착용(着用)한다. 】 다음에 은월부(銀鉞斧)·금월부(金鉞斧) 각각 4개는 서로 섞어서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금고(金鼓)는 중간에 있고, 어마(御馬) 2필이 선다. 다음에 봉선(鳳扇) 8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청개(靑蓋) 2개는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선다. 다음에 작선(雀扇) 10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홍개(紅蓋) 2개는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용선(龍扇) 2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선다. 전부 고취(前部鼓吹)가 있다. 【진열(陳列)하기만 하고 연주하지 않는다. 】 고명(誥命)의 요여(腰輿)는 중간에 있는데, 상서관(尙瑞官) 1인이 이를 뒤따르고, 【평상복(平常服)에 흑각대(黑角帶)를 착용한다. 】 시책(諡冊)의 보요여(寶腰轝) 2개는 중간에 있어 차례대로 행진하는데, 【1개의 요여(腰轝)마다 여사(轝士)와 보충한 수까지 15명인데 모두 자의(紫衣)에 흑건(黑巾)·학창(鶴氅)·홍대(紅帶)·청행등(靑行縢)·운혜(雲鞋)를 착용한다. 】 국장 도감(國葬都監)의 관원 2인이 이를 뒤따른다. 【평상복에 흑각대(黑角帶)를 착용한다. 】 수정장(水精杖)·금월부(金鉞斧) 각각 1개는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장(杖)은 왼쪽에 있고, 부(斧)는 오른쪽에 있는데, 각각 1인이 이를 쥔다. 청의(靑衣)에 자건(紫巾)을 착용한다. 】

홍촉롱(紅燭籠) 2개는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권무 봉지(權務棒持)가 평상복에 흑각대(黑角帶)를 착용한다. 뒤의 것도 이와 같다. 】 혼백(魂帛)의 요여(腰轝)는 중간에 있다. 【여사(轝士)와 보충한 수까지 15명인데, 자의(紫衣)에 흑건(黑巾)을 착용(着用)한다. 】 청촉롱(靑燭籠) 2개는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홍양산(紅陽繖)은 중간에 있다. 백촉롱(白燭籠) 2개는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향정(香亭)은 중간에 서고, 【봉담인(捧擔人)과 보충한 수까지 15인인데, 자의(紫衣)에 흑건(黑巾)을 착용한다. 】 마궤(馬机)는 중간에 서는데, 【1인이 이를 쥔다. 청의(靑衣)에 흑립(黑笠)을 착용한다. 】 혼백거(魂帛車)는 【만사(挽士)와 보충한 수까지 1백 20명인데 자의(紫衣)에 흑건(黑巾)을 착용한다. 】 내시가 이에 뒤따른다. 청선(靑扇) 2개는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현무기(玄武器)는 중간에 선다. 후부 고취(後部鼓吹)가 있다. 다음에 후전 대기(後殿大旗) 2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화철롱(火鐵籠) 40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방상씨차(方相氏車) 4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견예인(牽曳人)은 차(車)마다 보충한 수까지 20명인데, 백의(白衣)에 백건(白巾)을 착용한다. 】

다음에 만사(挽詞) 48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죽산마(竹散馬) 2필은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견예인(牽曳人)은 말마다 5명인데, 백의(白衣)에 백건(白巾)을 착용한다. 뒤의 것도 이와 같다. 】 다음에 죽안마(竹鞍馬) 10필은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청수 안마(靑繡鞍馬) 10필은 왼쪽에 서고, 자수 안마(紫繡鞍馬) 10필은 오른쪽에 서고, 다음에 명기(明器)의 요여(腰轝) 5개는 중간에 있고, 【여사(轝士)는 여(輿)마다 보충한 수까지 15명인데, 백의(白衣)와 백건(白巾)을 착용한다. 】 복완(服玩)의 요여(腰轝)는 중간에 있고, 【여사(轝士)와 매 여(輿)마다 보충한 수까지 20명인데, 백의(白衣)와 백건(白巾)을 착용한다. 】 애책(哀冊)의 요여(腰轝)는 중간에 있는데, 【봉담인(捧擔人)과 보충한 수까지 30명인데, 백의(白衣)에 백건(白巾)을 착용한다. 】 국장 도감(國葬都監)의 관원 1인이 이에 뒤따른다. 【최복(衰服)을 입는다. 】 견여(肩輿)는 【곧 순(輴)이다. 】 중간에 있으며, 【여사(轝士)와 보충한 수까지 1백 40명인데, 백의(白衣)에 백건(白巾)·백학창(白鶴氅)을 착용한다. 】

횃불[炬] 5백 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의장(儀仗)의 밖에 들어서고, 다음에 망촉(望燭) 5백 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의장(儀仗)의 안에 늘어서고, 【4백 80개는 권무(權務)가 이를 쥐고 앞에 서며, 20개는 내시(內侍)가 이를 쥐고 뒤에 선다. 무릇 촛불[燭]과 햇불[炬]은 모두 날이 새면 그치고, 시위(侍衛)하기를 처음과 같이 한다. 】 우보(羽葆)는 중간에 서고, 【선공감(繕工監)의 관원이 이를 들어 쥔다. 】 향정(香亭)은 중간에 서고, 【봉담인(捧擔人)과 보충한 수까지 15명인데, 백의(白衣)에 백건(白巾)을 착용한다. 】 명정(銘旌)은 중간에 선다. 【충의위(忠義衛)가 들어 쥔다. 】 다음에 탁(鐸)을 쥔 사마(司馬) 16인은 좌우(左右)로 나누어 삽(翣)을 쥔 사람의 밖에 늘어서고, 【호군(護軍)으로써 이를 충당한다. 】 대여(大轝)의 【대여(大轝)의 여사(轝士)는 8백 명인데, 백의(白衣)에 백건(白巾)·백학창(白鶴氅)·백행등(白行縢)·백말(白襪)·승혜(繩鞋)르 착용하고, 나누어 4번(番)으로 한다. 무릇 거여(車轝)·의장(儀仗)·거화(炬火)를 가진 사람들은 모두 하무[銜枚]한다. 】 화삽(畫翣)·불삽(黻翣)·보삽(黼翣) 각각 2개는 대여(大轝)의 좌우(左右)에 나누어 서고, 【내시(內侍)가 들어 쥔다. 】 궁인(宮人) 20명이 서고, 【행유(行帷)로써 가리운다. 】 다음에 내시(內侍)가 선다.

다음에 만사(挽詞) 48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시릉내시(侍陵內侍)와 수릉관(守陵官)이 선다. 다음에 사금(司禁) 4인이 【오원(五員)으로 임명 충당한다. 】 무기와 재복을 갖추고 주장(朱杖)을 쥐고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국장 도감(國葬都監)의 관원과 빈전 도감(殯殿都監)의 관원과 사금(司禁) 16인이, 무기(武器)와 군복(軍服)을 갖추고 백장(白杖)을 쥐고 좌우(左右)로 나누어 군사의 밖에 서고, 어마(御馬) 6필은 안장(鞍粧)을 갖추고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소안장(素鞍粧)이다. 뒤의 것도 이와 같다. 】 취각인(吹角人) 4인은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대보(大寶)와 제보(諸寶)가 중간에 있는데, 상서사(尙瑞司)의 관원(官員)이 이를 뒤따르고, 소여(小轝)는 중간에 있고, 【봉담인(捧擔人) 30명은 백의(白衣)·백건(白巾)·백학창(白鶴氅)·백행등(白行縢)·백말(白襪)·승혜(繩鞋)를 착용(着用)한다. 】 어마(御馬) 2필은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사복관(司僕官) 2인은 칼을 차고 이를 뒤따른다. 총통위(銃筒衛)·별시위(別侍衛)·충의위(忠義衛)·충순위(忠順衛)·내금위(內禁衛)·보갑사(步甲士)는 각각 무기(武器)와 제복(制服)을 갖추고 좌우(左右)로 나누어 뒤에서 옹위(擁衛)하기를 평상시와 같이 하고, 대호군(大護軍) 2인은 운검(雲劍)을 받들고 중간에 서서 나란히 행진하고, 소친시(小親侍) 12인과 별감(別監) 40인은 좌우(左右)로 나누어 군사의 안에 서고, 소양산(素陽繖)은 중간에 서고 【충의위(忠義衛)가 받들어 쥔다. 】 어연(御輦) 【봉담인(捧擔人) 60명은 백의(白衣)에 백건(白巾)·백학창(白鶴氅)·백행등(白行縢)·백말(白襪)·승혜(繩鞋)를 착용한다. 】 소선(素扇) 2개는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선다. 【각각 1인이 이를 쥔다. 백의(白衣)에 백건(白巾)을 착용하고 보갑사(步甲士)의 뒤에 있다. 】 다음에 내금위 절제사(內禁衛節制使) 2인, 충의위(忠義衛)·충순위(忠順衛)·별시위(別侍衛)의 절제사(節制使) 각각 1인, 운검(雲劍)을 찬 중추(中樞) 4인, 갑(甲)을 받든 상호군(上護軍)·주(胄)를 받든 상호군 각각 1인, 궁시(弓矢)를 받든 상호군(上護軍)과 책(策)을 가진 대호군(大護軍) 각각 2인, 궁시(弓矢)를 가진 호군(護軍)·몸을 방비하는 호군(護軍) 각각 8인, 사복관(司僕官) 6인은 모두 무기와 제복을 갖추고 횡(橫)으로 서서 행진하고, 【절제사(節制使)와 중추(中樞)가 한 줄이 되고, 상호군(上護軍)이 한 줄이 되고, 호군(護軍)과 사복관(司僕官)이 한 줄이 된다. 】

다음에 어의(御衣)를 받든 내직 별감(內直別監) 6인은 횡(橫)으로 서서 행진하는데, 내시(內侍)와 상의(尙衣)·내의관(內醫官)이 이를 뒤따른다. 사금(司禁) 4인은 무기와 제복을 갖추고 백장(白杖)을 쥐고, 좌우(左右)로 나누어 군사의 밖에 서고, 다음에 대군(大君) 이하의 왕자가 선다. 다음에 중군(中軍) 제3의 의흥(義興) 2대(隊)와 도진무(都鎭撫)·중군 절제사(中軍節制使)가 모두 무기와 제복을 갖추고 중간에 서는데 진무(鎭撫) 2인과 취각인(吹角人) 2인이 이에 뒤따른다. 다음에 병조 판서가 서고, 【유고(有故)이면 차관(次官)이 한다. 】 다음에 승지(承旨) 6인, 주서(注書) 2인, 사관(史官) 1인, 예조·병조 정랑 각각 1인이 이를 뒤따른다. 제4 웅무(雄武) 2대(隊)가 있다. 다음에 종친과 문무 백관이 서고, 다음에 감찰(監察) 2인은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의금부(義禁府) 진무(鎭撫) 2인은 좌우(左右)로 나누어 선다. 다음에 좌군(左軍) 8대(隊)인데, 제1 용무(龍武) 2대(隊), 제2 용양(龍驤) 2대(隊), 제3 용기(龍騎) 2대(隊), 제4 용분(龍奮) 2대(隊)가 선다. 다음에 취각인(吹角人) 2인과 좌군 절제사(左軍節制使)가 무기와 제복을 갖추고 중간에 서는데, 진무(鎭撫) 2인은 이를 뒤따른다. 다음에 시위군(侍衛軍) 3대(隊)가 있다. 만약 내상(內喪)이면 내시(內侍) 16인이 주장(朱杖)을 쥐고, 좌우(左右)로 나누어 의장(儀仗)의 밖에 선다.

백택기(白澤旗) 2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먼저 행진한다. 다음에 은등(銀鐙) 4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금등(金鐙) 4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은관자(銀灌子)는 중간에 있다. 다음에 은장도(銀粧刀) 2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금장도(金粧刀) 2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은립과(銀立瓜)·금립과(金立瓜) 각각 2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은우(銀盂)는 중간에 선다. 다음에 은횡과(銀橫瓜)·금횡과(金橫瓜) 각각 2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모절(旄節) 4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은교의(銀交椅)는 중간에 있는데, 각답(脚踏)이 이를 뒤따른다. 다음에 은월부(銀鉞斧)·금월부(金鉞斧) 각각 2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작선(雀扇) 6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청개(靑蓋) 2개는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주화단선(朱畫團扇) 8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홍개(紅蓋) 2개는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선다. 전부 고취(前部鼓吹)가 있다. 【대가(大駕)의 반(半)을 줄인다. 진열(陳列)하기만 하고 연주하지는 않는다. 】 평시책(平時冊)의 요여(腰輿) 1개와 시책보(諡冊寶)의 요여(腰輿) 2개는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있는데, 경창부 소윤(慶昌府少尹) 1인과 승(丞) 2인이 이를 뒤따른다. 홍촉롱(紅燭籠) 2개는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혼백(魂帛)의 요여(腰輿)는 중간에 있다. 청촉롱(靑燭籠) 2개는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홍양산(紅陽繖)은 중간에 선다. 【내시(內侍)가 받들어 쥔다. 】 백촉롱(白燭籠) 2개는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향정(香亭)은 중간에 서고, 마궤(馬机) 1개는 중간에 있다. 다음에 행장(行障) 4구(具)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좌장(坐障) 2구(具)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는데, 혼백차(魂帛車)의 내시(內侍)가 이를 뒤따른다. 청선(靑扇) 2개는 중간에 있어 좌우(左右)로 나누어 선다. 후부 고추(後部鼓吹)가 있다. 다음에 화철롱(火鐵籠) 40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방상씨차(方相氏車) 4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만사(挽詞) 48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죽산마(竹散馬) 2필은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죽안마(竹鞍馬) 10필은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청수 안마(靑繡鞍馬) 10필은 왼쪽에 서고, 자수 안마(紫繡鞍馬) 10필은 오른쪽에 서고, 명기(明器)의 요여(腰輿) 5개는 중간에 있고, 복완(服玩)의 요여(腰輿)는 중간에 있고, 애책(哀冊)의 요여(腰輿)는 중간에 있고, 견여(肩輿)는 중간에 있다.

횃불[炬] 5백 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의장(儀仗)의 밖에 늘어서고 【4백 80개는 권무(權務)가 이를 쥐고 앞에 서고, 20개는 내시(內侍)가 이를 쥐고 뒤에 선다. 무릇 촛불[燭]과 횃불[炬]은 날이 새면 그치고, 시위는 처음과 같이 한다. 】 우보(羽葆)는 중간에 있고, 【선공감(繕工監)에서 받들어 쥔다. 】 향정(香亭) 1개는 중간에 서고, 명정(銘旌)은 중간에 선다. 【내시(內侍)가 받들어 쥔다. 】 다음에 탁(鐸)을 쥔 사마(司馬) 16인은 좌우(左右)로 나누어 삽(翣)을 쥔 사람의 밖에 늘어선다. 【호군(護軍)으로써 임명한다. 】 다음에 행장(行障) 4구(具)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좌장(坐障) 2구(具)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대여(大輿)의 화삽(畫翣)·불삽(黻翣)·보삽(黼翣) 각각 2개는 대여(大輿)의 좌우(左右)에 나누어 서고, 【그 의장(儀仗)·거여(車轝)를 끌거나 잡는 사람의 수와 의건(衣巾)은 모두 위의 의식과 같다. 】 궁인(宮人)은 20명이다. 【행유(行帷)로써 가리워 막는다. 】 다음에 내시(內侍)가 있고, 다음에 만사(挽詞) 48개는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시릉 내시(侍陵內侍)와 수릉관(守陵官)이 서고, 다음에 경창부(慶昌府)의 관원이 서고, 다음에 내시(內侍) 4인은 주장(朱杖)을 쥐고 좌우(左右)로 나누어 서고, 다음에 국장 도감(國葬都監)과 빈전 도감(殯殿都監)의 관원이 선다. 전하가 종친(宗親)·백관(百官)과 군사들을 거느리고 인도 호종(扈從)하기를 위의 의식과 같이 한다. 만약 내상(內喪)이 먼저 있어서 왕세자가 배행(陪行)한다면, 종친과 백관이 각각 1인과 승지(承旨) 2인이 이를 뒤따르고, 전후(前後)에 군사는 각가 1대(隊)씩 시위(侍衛)하게 한다.


  • 【태백산사고본】 46책 134권 29장 B면【국편영인본】 5책 392면

  • [註 407]
    발인 반차(發引班次) : 발인(發引)의 반열(班列) 차례.

◎ 發引班次

侍位軍三隊先行, 第一隊五十人, 具甲冑佩劍, 執半朱槍。 護軍或鎭撫一人具器服領之, 諸隊準此。 第二隊執長劍, 第三隊佩弓矢。 【諸隊相間執兵, 倣此。】 次吹角二人具器服, 居中分左右, 【一人執中角, 一人執小角, 後倣此。】 右軍節制使具器服居中, 鎭撫二人隨之。 【器服, 與節制使同, 後倣此。】 次右軍八隊, 第一虎勇二隊, 第二虎賁二隊, 第三虎翼二隊, 第四虎牙二隊, 次中軍四隊, 第一忠武二隊, 第二忠佐二隊。 司禁十六人 【五員差充。】 具器服, 執朱杖, 分左右在儀仗之外。 次紅門大旗二分左右, 【凡大旗一人執, 二人引, 二人夾, 中旗一人執, 二人引。 小旗一人執, 一人引, 皆著靑衣皮帽子。】 紅蓋二居中分左右。 【各一人執, 著靑衣紫巾。 凡執繖蓋靑扇人同。】 次朱雀靑龍旗各一在左, 白虎玄武旗各一在右, 黃龍旗居中, 金鼓居中。 【鼓左二人執, 金右一人執, 皆著紅衣皮帽子, 後同。】 次六丁旗分左右, 朱雀旗居中。 次白澤旗二分左右, 次三角角端龍馬旗各二分左右, 天下太平旗居中。 次玄鶴旗一在左, 白鶴旗一在右。 吹角六人居中分左右。 【二人執大角先行, 次中角二人, 次小角二人, 後倣此。】 御馬二匹具鞍粧, 居中分左右。 【各二人牽, 著靑衣椶色笠雲鞋。 後同。】 次豹骨朶子六分左右, 【各一人執, 著紅衣皮帽子。 凡執瓜斧畢罕鐙刀旌節撞棒斫子龍鳳雀扇人同。】 金鼓居中, 御馬二匹。 次熊骨朶子六分左右, 次令字旗二分左右; 【執人着紅衣皮帽子, 執金鼓字旗人同。】 駕龜仙人旗二, 居中分左右。 次皷字旗一在左, 金字旗一在右, 御馬二匹。 次哥舒捧十分左右, 碧鳳旗二居中分左右, 御馬二匹。 次金鐙十分左右, 君王千歲旗居中, 御馬二匹。 次銀粧刀二分左右, 銀交倚居中, 脚踏隨之。 【一人捧交椅, 一人執脚踏, 著紫衣紫中執盂灌人同。】 次金粧刀二分左右, 次朱雀靑龍幢各一在左, 白虎玄武幢各一在右。 銀灌子銀盂各一居中, 御馬二匹。 次銀立瓜四、金立瓜二, 相間分左右, 金鼓居中, 御馬二匹。 次銀橫瓜四、金橫瓜二, 相間分左右, 銀交椅居中, 脚踏隨之, 御馬二匹。 次銀斫子金斫子各四, 相間分左右, 朱漆交椅居中, 脚踏隨之。 靑陽繖二居中分左右, 小轝居中。 【轝士三十, 著紫衣黑巾。】 罕一在左, 畢一在右。 次旄節四分左右, 次旌四分左右, 小輦居中。 【轝士四十, 著紫衣黑巾。】 次銀鉞斧金鉞斧各四, 相間分左右, 金鼓居中, 御馬二匹。 次鳳扇八分左右, 靑蓋二居中分左右。 次雀扇十分左右, 紅蓋二居中分左右。 次龍扇二分左右, 前部鼓吹 【陳而不作。】 誥命腰轝居中, 尙瑞官一人隨之。 【著常服黑角帶。】 諡冊寶腰轝二居中, 以次而行, 【每一腰轝士幷補數十五, 皆著紫衣黑巾鶴氅紅帶靑行縢雲鞋。】 國葬都監官二人隨之。 【著常服黑角帶。】 水精杖金鉞斧各一居中分左右, 【杖左斧右各一人, 執著靑衣紫巾。】 紅燭籠二居中分左右, 【權務捧持, 著常服黑角帶, 後倣此。】 魂帛腰輿居中, 【輿士幷補數三十, 著紫衣黑巾。】 靑燭籠二居中分左右, 紅陽繖居中, 【忠義衛擎執 。】 白燭籠二居中分左右, 香亭居中, 【捧擔人幷補數十五, 著紫衣黑巾。】 馬机居中, 【一人執, 著靑衣黑笠。】 魂帛車, 【挽士幷補數一百二十, 著紫衣黑巾。】 內侍隨之。 靑扇二居中分左右, 玄武旗居中, 後部鼓吹。 次後殿大旗二分左右, 次火鐵籠四十分左右, 次方相氏車四分左右。 【牽曳人每車幷補數十五, 著白衣白巾。】 次挽詞四十八分左右, 次竹散馬二分左右。 【牽曳人每馬五, 著白衣白巾, 後同。】 次竹鞍馬十分左右。 次靑繡鞍馬十在左, 紫繡鞍馬十在右。 次明器腰輿五居中, 【轝土每輿幷補數十五, 著白衣白巾。】 服玩腰輿居中, 【轝士幷補數二十, 著白衣白巾。】 哀冊腰輿居中, 【捧擔人幷補數三十, 著白衣白巾。】 國葬都監官一人隨之。 【衰服。】 肩輿 【卽。】 居中, 【轝士幷補數一百四十, 著白衣白巾白鶴氅。】 炬五百, 分左右列於儀仗之外。 次望燭五百, 分左右列於儀仗之內。 【四百八十權務執之在先, 二十, 內侍執之在後。 凡燭炬, 皆天明而止, 侍衛如初。】 羽葆居中, 【繕工監官擎執。】 香亭居中, 【捧擔人幷補數十五, 著白衣白巾。】 銘旌居中。 【忠義衛擎執 。】 次執鐸司馬十六人, 分左右列於執翣人外。 【以護軍差。】 大轝 【轝士八百, 著白衣白巾白鶴氅白行縢白襪繩鞋, 分爲四番。 凡車轝儀仗炬火捧持者, 皆枚。】 畫翣黻翣黼翣各二, 分立於大轝左右, 【內侍擎執。】 宮人二十。 【障以行帷。】 次內侍, 次挽詞四十八分左右。 次侍陵內侍守陵官。 次司禁四人 【五員差充。】 具器服執朱杖, 分左右。 次國葬及殯殿都監官司禁十六人, 具器服執白杖, 分左右在軍士之外。 御馬六匹具鞍粧, 居中分左右。 【素鞍粧後同 。】 吹角四人居中分左右。 次大寶及諸寶居中, 尙瑞司官隨之, 小轝居中。 【捧擔人三十, 著白衣白巾白鶴氅白行縢白襪繩鞋。】 御馬二匹居中分左右, 司僕官二人佩劍隨之。 銃筒衛別侍衛忠義衛忠順衛內禁衛步甲士各具器服, 分左右擁後如常。 大護軍二人捧雲劍居中竝行。 小親侍十二人、別監四十人, 分左右在軍士之內。 素陽繖居中。 【忠義衛擎執 。】 御輦 【捧擔人六十, 著白衣白巾白鶴氅白行縢白襪繩鞋。】 素扇二居中分左右。 【各一執, 著白衣白巾, 在步甲士之後。】 次內禁衛節制使二、忠義忠順別侍衛節制使各一、佩雲劍中樞四、捧甲上護軍捧冑上護軍各一、捧弓矢上護軍扶策大護軍各二、帶弓矢護軍備身護軍各八、司僕官六, 皆具器服橫行。 【節制使中樞爲一行, 上護軍爲一行, 護軍司僕官爲一行。】 次捧御衣內直別監六人橫行, 內侍及尙衣內醫官隨之。 司禁四人具器服執白杖, 分左右在軍士之外。 次大君以下。 次中軍第三、義興二隊、都鎭撫、中軍節制使, 皆具器服居中, 鎭撫二人及吹角二人隨之。 次兵曹判書。 【有故則次官 。】 次承旨六人、注書二人、史官一人、禮曹兵曹正郞各一人隨之。 第四雄武二隊。 次宗親及文武百官, 次監察二人分左右, 次義禁府鎭撫二人分左右, 次左軍八隊, 第一龍武二隊, 第二龍驤二隊, 第三龍騎二隊, 第四龍奮二隊。 次吹角二人、左軍節制使具器服居中, 鎭撫二人隨之。 次侍衛軍三隊。 若內喪則內侍十六人執朱杖, 分左右在儀仗之外。 白澤旗二分左右先行。 次銀鐙四分左右, 次金鐙四分左右, 銀灌子居中。 次銀粧刀二分左右, 次金粧刀二分左右, 次銀立瓜金立瓜各二分左右, 銀盂居中。 次銀橫瓜金橫瓜各二分左右, 次旄節四分左右, 銀交椅居中, 脚踏隨之。 次銀鉞斧金鉞斧各二分左右, 次雀扇六分左右, 靑蓋二居中分左右。 次朱畫團扇八分左右, 紅蓋二居中分左右。 前部鼓吹。 【減大駕之半, 陳而不作。】 平時, 冊腰輿一、諡冊寶腰輿二居中分左右, 慶昌府少尹一丞二隨之。 紅燭籠二居中分左右, 魂帛腰輿居中, 靑燭籠二居中分左右, 紅陽繖居中, 【內侍擎執。】 白燭籠二居中分左右, 香亭居中, 馬机一居中。 次行障四具分左右。 次坐障二具分左右, 魂帛車內侍隨之。 靑扇二居中分左右, 後部鼓吹。 次火鐵籠四十分左右, 次方相氏車四分左右, 次挽詞四十八分左右, 次竹散馬二分左右, 次竹鞍馬十分左右。 次靑繡鞍馬十在左, 紫繡鞍馬十在右。 明器腰輿五居中, 服玩腰輿居中, 哀冊腰輿居中, 肩輿居中, 炬五百分左右列於儀仗之外, 【四百八十, 權務執之在先; 二十, 內侍執之在後。 凡燭炬, 皆天明而止, 侍衛如初。】 羽葆居中, 【繕工監擎執 。】 香亭一居中, 銘旌居中。 【內侍擎執。】 次執鐸司馬十六人分左右, 列於執翣人外。 【以護軍差。】 次行障四具分左右, 次坐障二具分左右。 大轝畫翣黻翣黼翣各二分立於大轝左右, 【其儀仗車轝曳執人數及衣巾, 竝如上儀。】 宮人二十。 【障以行帷。】 次內侍, 次挽詞四十八分左右, 次侍陵內侍守陵官, 次慶昌府官, 次內侍四人執朱杖分左右, 次國葬都監及殯殿都監官。 殿下率宗親百官及軍士, 導從如上儀。 若內喪在先而王世子陪行, 則宗親百官各一人及承旨二人隨之。 前後軍士, 各一隊侍衛。


  • 【태백산사고본】 46책 134권 29장 B면【국편영인본】 5책 39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