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31권, 五禮 吉禮儀式 州縣釋奠文宣王儀 陳設

五禮 / 吉禮儀式 / 州縣釋奠文宣王儀 / 陳設

◎ 진설(陳設)

석전하기 전 2일에 유사(有司)가 행사할 집사관의 【초헌관·아헌관·종헌관, 전내 종향(殿內從享)의 분헌관(分獻官), 동·서무 종향(東西廡從享)의 분헌관, 축(祝) 2인, 장찬자(掌饌者), 사준자(司尊者)·찬창자(贊唱者)·찬례자(贊禮者)이다. 】 막차(幕次)를 묘의 동문 밖에다 땅의 형편에 따라서 적당히 설치하고, 유사(有司)가 묘의 내외를 소제하고, 찬만(饌幔)을 동문(東門) 밖에 땅의 형편에 따라서 적당히 설치한다. 석전 하기 전 1일에 유사가 희생을 끌고 사소(祠所)로 나아가고, 세 헌관(獻官)의 자리를 동계(東階)의 동남쪽에 서향하여 설치한다. 분헌관(分獻官)과 【계수관(界首官)은 3인, 여러 주군(州郡)은 2인, 현학(縣學)은 1인이다. 】 집사자는 그 뒤에 자리하는데, 품등마다 자리를 달리 하여 모두 겹줄로써 서향하고 북쪽을 위[上]로 한다. 찬창자(贊唱者)·찬례자(贊禮者)의 자리를 동계(東階)의 서쪽에 설치하되, 모두 서향하여 북쪽을 위로 하고, 학생(學生)의 자리를 뜰 가운데[庭中]에 설치하되, 북향하여 서쪽을 위로 한다. 초헌관의 음복위(飮福位)를 당상(堂上)의 전영(前楹) 밖에다 동쪽으로 가까이 서향하여 설치하고, 문외위(門外位)를 설치하는데, 세 헌관은 동문(東門) 밖의 길[道] 남쪽에, 분헌관·집사자는 그 뒤에 있게 하되, 품등마다 자리를 달리 하여 모두 겹줄로써 북향하고 서쪽을 위로 한다. 예감을 묘전의 북쪽 임지(壬地)에 파는데, 넓이와 깊이는 물건을 넣기에 넉넉하게 하고, 남쪽으로 섬돌[陛]을 낸다. 망예위를 예감의 남쪽에 설치하는데, 초헌관은 남쪽에 있어 북향하고, 축(祝)과 찬창자는 동쪽에 있어 서향하고 북쪽을 위로 한다. 미시(未時) 후 2각에 유사가 묘의 내외를 소제하고, 찬창자가 먼저 강당(講堂)으로 들어가고, 헌관 이하가 모두 모여서 의식을 연습한다. 【축이 제문(祭文)을 읽는 것과 폐백을 드리는 것을 익힌다. 】

찬례자가 헌관을 인도하여 상복(常服)으로써 주방(廚房)에 나아가서 척탁(滌濯)을 보고, 찬구(饌具)를 살피고, 희생의 충돈(充腯)을 보고 재소(齋所)로 돌아간다. 포시(晡時) 뒤에 장찬자(掌饌者)가 재인(宰人)을 거느리고 희생을 벤다. 【가죽째 삶아 익힌다. 】 석전일(釋奠日) 행사하기 전에 집사자가 들어와서 축판(祝版) 하나를 대성 지성 문선왕 신위의 오른편에 올려 놓고, 【점이 있다. 】 정·배위(正配位) 5위의 폐비 각각 하나씩을 준소에 진설하고, 향로·향합과 초를 신위 앞에 설치한다. 다음에 제기(祭器)를 진설하고, 장찬자가 찬구를 담는데, 매위(每位)에 각각 변이 8개로서, 왼편에 있게 하여 세 줄로 해서 오른편을 위로 하고, 【첫째 줄에는 형염(形鹽)이 앞에 있고, 어수(魚鱐)가 다음이요, 둘째 줄에는 건조(乾棗)가 앞에 있고, 율황(栗黃)·진자(榛子)가 다음이요, 세째 줄에는 능인(菱仁)이 앞에 있고, 검인(芡仁)·녹포(鹿脯)가 다음이다. 】 두(豆)가 8개로서, 오른편에 있게 하여 세 줄로 해서 왼편을 위로 하고, 【첫째 줄에는 구저(韮菹)가 앞에 있고, 탐해(醓醢)가 다음이요, 둘째 줄에는 청저(菁菹)가 앞에 있고, 녹해(鹿醢)·근저(芹菹)가 다음이요, 세째 줄에는 토해(兎醢)가 앞에 있고, 순저(筍菹)·어해(魚醢)가 다음이다. 】 조(俎)가 2개로서, 하나는 변 앞에 있고, 하나는 두 앞에 있다. 【변 앞의 조에는 양성(羊腥)을 담고, 두 앞의 조에는 시성(豕腥)을 담는다. 송나라 《석전의(釋奠儀)》에 이르기를, "무릇 앞에 있다고 말한 것은 다 남쪽을 이름이다." 하였다. 】 보(簠)·궤(簋)가 각각 2개로서 변·두 사이에 있는데, 보가 왼편에 있고, 궤가 오른편에 있다. 【보에는 도(稻)·양(粱)을 담는데, 양이 도 앞에 있고, 궤에는 서(黍)·직(稷)을 담는데, 직이 서 앞에 있다. 】

작이 3개로서 보·궤 앞에 있고, 【각기 점(坫)이 있다. 】 희준(犧尊) 2개, 【하나는 명수(明水)를 담고, 하나는 예제(醴齊)를 담는다. 】 상준(象尊) 2개, 【하나는 명수를 담고, 하나는 앙제(盎齊)를 담는다. 】 산뢰(山罍) 2개를 【하나는 현주(玄酒)를 담고, 하나는 청주(淸酒)를 담는다. 】 설치하는데, 세 줄로 하여 【첫째 줄은 희준(犧尊)·둘째 줄은 상준(象尊), 세째 줄은 산뢰(山罍)이다. 】 다 작(勺)과 멱(羃)을 얹어서 당상(堂上)의 동남쪽 모퉁이에 있게 하되, 북향하여 서쪽편을 위로 한다. 【무릇 준(尊)·뇌(罍)는 명수(明水)와 현주(玄酒)를 담은 것이 위[上]가 된다. 배위(配位)의 주준(酒尊)은 정위(正位)의 준소(尊所) 동쪽에 있다. 무릇 신에게 제향하는 물건으로서 만약 그 지방에 없는 것은 그 유(類)로써 충당한다. 】

또 여러 종향위(從享位)의 제기를 설치하는데, 매위에 각각 왼편에 변이 2개, 【율황(栗黃)이 앞에 있고, 녹포(鹿脯)가 다음이다. 】 오른편에 두가 2개요, 【청저(菁菹)가 앞에 있고, 녹해(鹿醢)가 다음이다. 】 보(簠)·궤(簋)가 각각 하나로서 변·두 사이에 있는데, 보가 왼편에 있고, 【도(稻)를 담는다. 】 궤가 오른편에 있다. 【서(黍)를 담는다. 】 조(俎)가 하나로서 보·궤 앞에 있고, 【시성(豕腥)을 담는다. 】 작(爵)이 하나로서 조 앞에 있다. 【점이 있다. 】 전내(殿內)의 동서 종향(東西從享)과 양무(兩廡)에 각각 상준(象尊) 2개를 설치하고, 【하나는 현주(玄酒)를 담고, 하나는 청주(淸酒)를 담는다. 】 세(洗)를 동계의 동남쪽에 북향하여 설치한다. 【관세는 동쪽에 있고, 작세는 서쪽에 있다. 】 뇌는 세의 동쪽에 있게 하되, 작(勺)을 얹어 놓고, 비(篚)는 세의 서남쪽에 늘어놓되, 수건을 담아 놓는다. 【만약 작세의 비라면 또 작을 담아 놓는데, 점이 있다. 】 여러 집사의 관세를 헌관의 세(洗) 동남쪽에 설치하고, 집준자(執尊者)·집뢰자(執罍者)·집비자(執篚者)·집멱자(執羃者)는 준·뇌·비·멱의 뒤에 자리하게 한다.


  • 【태백산사고본】 43책 131권 22장 A면【국편영인본】 5책 272면

◎ 陳設

前釋奠二日, 有司設行事執事官 【初獻官、亞獻官、終獻官、殿內從享分獻官、東西廡從享分獻官、祝二、掌饌者、司尊者、贊唱者、贊禮者。】 次於廟東門外, 隨地之宜。 有司掃除廟之內外, 設饌幔於東門外, 隨地之宜。 前一日, 有司牽牲詣祠所。 設三獻官位於東階東南, 西向; 分獻官 【界首官三, 諸州郡二, 縣學一。】 執事者位於其後, 每等異位, 俱重行, 西向北上; 設贊唱者、贊禮者位於東階之西, 俱西向北上; 設學生位於庭中, 北向西上; 設初獻官飮福位於堂上前楹外近東, 西向; 設門外位三, 獻官於東門外道南, 分獻官執事者於其後, 每等異位, 俱重行, 北向西上; 開瘞坎於廟殿之北壬地, 方深取足容物, 南出陛; 設望瘞位於瘞坎之南, 初獻官在南北向; 祝及贊唱者在東, 西向北上。 未後二刻, 有司掃除廟之內外, 贊唱者先入講堂。 獻官以下, 竝集肄儀。 【祝習讀祭文及視幣。】 贊禮者引獻官, 以常服詣廚, 視滌濯省饌具及視牲充腯, 還齋所。 晡後, 掌饌者帥宰人割牲。 【連皮煮熟。】 釋奠日未行事前, 執事者入, 奠祝版一於大成至聖文宣王神位之右, 【有坫。】 陳正配五位幣篚各一於尊所, 設香爐香合幷燭於神位前。 次設祭器, 掌饌者實饌具。 每位各籩八在左, 爲三行右上; 【第一行, 形鹽在前, 魚鱐次之。 第二行, 乾棗在前, 栗黃、榛子次之。 第三行, 菱仁在前, 芡仁、鹿脯次之。】 豆八在右, 爲三行左上。 【第一行, 韭菹在前, 醓醢次之。 第二行, 菁菹在前, 鹿醢、芹菹次之。 第三行, 兎醢在前, 筍菹、魚醢次之。】 俎二, 一在籩前, 一在豆前。 【籩前俎實以羊腥, 豆前俎實以豕腥。 宋 《釋奠儀》云: "凡言在前者, 皆謂南也。"】 簠簋各二在籩豆間, 簠在左簋在右。 【簠實以稻粱, 粱在稻前。 簋實以黍稷, 稷在黍前。】 爵三在簠簋前。 【各有坫。】 設犧尊二 【一實明水, 一實醴齋。】 象尊二 【一實明水, 一實盎齋。】 山罍二 【一實玄酒, 一實淸酒。】 爲三行。 【第一行犧尊, 第二行象尊, 第三行山罍。】 皆加勺羃, 在堂上東南隅, 北向西上。 【凡尊實明水, 玄酒爲上。 配位酒尊, 卽於正位尊所之東。 凡享神之物, 若土無者, 以其類充之。】 又設諸從享位祭器, 每位各左二籩 【栗黃在前, 鹿脯次之。】 右二豆。 【菁菹在前, 鹿醢次之。】 簠簋各一在籩豆間, 簠在左, 【實以稻。】 簋在右。 【實以黍。】 俎一在簠簋前, 【實以豕腥。】 爵一在俎前。 【有坫。】 殿內東西從享及兩廡, 各設象尊二。 【一實玄酒, 一實法酒。】 設洗於東階東南北向, 【盥洗在東, 爵洗在西。】 罍在洗東加勺, 篚在洗西南肆, 實以巾。 【若爵洗之則又實以爵, 有坫。】 設諸執事盥洗於獻官洗東南, 執尊罍篚羃者位於尊罍 羃者位於尊罍篚羃之後。 【開氷, 又設桃弧、棘矢於氷室戶內之右, 祭訖遂留之。】 設獻官位於神位東南; 執事者位又於東南, 俱重行, 西向北上; 設謁者、贊者位於獻官西南, 俱西向北上; 設飮福位於壇上南陛之西, 北向。


  • 【태백산사고본】 43책 131권 22장 A면【국편영인본】 5책 27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