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29권, 五禮 吉禮儀式 祫享宗廟攝事儀 饋食

五禮 / 吉禮儀式 / 祫享宗廟攝事儀 / 饋食

◎ 궤식(饋食)

초헌관이 이미 올라가서 관찬(祼瓚)하였으면, 찬인이 전사관을 인도하여 나가서 진찬자(進饌者)를 거느리고 주방(廚房)으로 나아가 비(匕)로써 확(鑊)에서 소[牛]를 들어 올려 생갑(牲匣)에 담고, 다음에 양(羊)과 돼지[豕]를 들어 올려서 각기 생갑에 담는다. 【매위(每位)에 소·양·돼지 각각 1갑(匣)씩이다. 】 이를 들여다 찬만(饌幔) 안에 진설하면, 알자가 천조관(薦俎官)을 인도하여 나와서 찬소(饌所)로 나아간다. 봉조관(捧俎官)이 이를 따른다. 초헌관이 강신[祼]하고 나서 제자리로 돌아가기를 기다려, 집례가

"찬(饌)을 올리라."

한다. 알자가 천조관을 인도하여 목조위(穆祖位)의 조(俎)를 받들고, 봉조관이 각기 생갑(牲匣)을 받들고, 전사관이 찬(饌)을 인도하여 정문(正門)으로 들어간다. 조(俎)가 처음 문(門)에 들어갈 때 헌가(軒架)에서 옹안지악(雍安之樂)을 연주한다. 여러 축사가 모두 앞으로 나아가서 모혈반을 거두어, 동계[阼階]에서 재랑(齋郞)에게 주어 나가게 한다. 찬(饌)이 태계(泰階)에 이르면, 여러 대축이 계상(階上)에서 맞이하여 인도한다. 천조관이 목조 신위 앞으로 나아가서 북향하여 꿇어앉아 올려 드리는데, 【만약 북향한 신위에 나아가게 되면, 모두 남향하여 꿇어앉아 드린다. 】 먼저 소를 올리고, 다음에 양을 올리고, 다음에 돼지를 올린다. 【여러 대축이 조전(助奠)한다. 】 올리기를 마치면 생갑의 뚜껑을 열고, 다음 위(位)로 나아가서 받들어 올리기를 모두 위의 의식과 같이 한다. 이를 마치면 악이 그친다.

알자가 천조관 이하를 인도하여 동계[阼階]로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가고, 여러 대축이 각기 소(蕭)·서(黍)·직(稷)을 취(取)하여 기름[脂]에 버무려서 노탄(爐炭)에 태우[燔]고 준소(尊所)로 돌아간다. 집례가

"초헌례(初獻禮)를 행하라."

하면, 알자가 초헌관을 인도하여 목조위(穆祖位) 준소(尊所)에 나아가서 서향하여 서게 한다. 등가(登歌)에서 수안지악(壽安之樂)을 연주하고, 열문지무(烈文之舞)를 춘다. 집준자(執尊者)가 멱(羃)을 들고 범제(泛齊)를 떠내면, 집사자 두 사람이 작(爵)으로 술을 받는다. 알자가 초헌관을 인도하여 신위 앞으로 나아가서 북향하여 서게 하고,

"꿇어앉아 홀을 꽂으라."

찬한다. 집사자가 작(爵)을 초헌관에게 주어, 초헌관이 집작 헌작(執爵獻爵)하는데, 작을 집사자에게 주어 신위 앞에 드리게 한다. 집사자가 부작(副爵)을 초헌관에게 주어, 초헌관이 집작 헌작하는데, 작을 집사자에게 주어서 왕후(王后)의 신위 앞에 드린다. 알자가

"홀을 잡고 면복하였다 일어나서 조금 물러나 북향하여 꿇어앉으라."

찬하고, 【만약 북향한 신위에 나아가게 되면, 모두 남향하여 꿇어앉는다. 】 악이 그친다. 대축이 신위의 오른쪽으로 나아가서 동향하여 꿇어앉아 축문을 읽는다. 【만약 북향한 신위에 나아가게 되면, 모두 서향하여 꿇어앉아서 읽는다. 】 이를 마치면 악을 연주한다.

알자가

"면복하였다 일어나서 재배하라."

찬하고, 악이 그친다. 인도하여 다음 위(位)로 나아가서 작헌(酌獻)하게 하기를 모두 위의 의식과 같이 한다. 【목조위(穆祖位)에는 순녕지곡(純寧之曲)을 노래하고, 익조위(翼祖位)에는 소녕지곡(昭寧之曲)을 노래하고, 도조위(度祖位)에는 정명지곡(貞明之曲)을 노래하고, 환조위(桓祖位)에는 위명지곡(威明之曲)을 노래하고, 태조위(太祖位)에는 소명지곡(昭明之曲)을 노래한다. 】 곡(曲)이 끝나고, 악(樂)이 그친다. 알자가 초헌관을 인도하여 조금 뒤로 물러나서 한가운데에 서향하여 서게 하고, 알자가

"재배하라."

찬하고, 인도하여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간다. 문무(文舞)는 물러가고, 무무(武舞)가 나아오는데, 헌가(軒架)에서 서안지악(舒安之樂)을 연주한다. 무자(舞者)가 자리를 정하고 서면, 악이 그친다.


  • 【태백산사고본】 41책 129권 26장 A면【국편영인본】 5책 245면

    ◎ 饋食

    初獻官旣升祼瓚, 贊引引典祀官出, 帥進饌者詣廚, 以匕升牛于鑊, 實于牲匣, 次升羊豕, 各實于牲匣, 【每位, 牛羊豕各一匣。】 入設於饌幔內。 謁者引薦俎官, 出詣饌所, 捧俎官隨之, 俟初獻官祼訖復位。 執禮曰: "進饌。" 謁者引薦俎官, 捧穆祖位俎, 捧俎官各捧牲匣, 典祀官引饌入自正門。 俎初入門, 【軒架作雍安之樂。】 諸祝史俱進, 徹毛血槃, 自阼階授(齊郞)〔齋郞〕 以出。 饌至泰階, 諸大祝迎引於階上, 薦俎官詣穆祖神位前北向跪奠, 【若詣北向神位, 卽皆南向跪奠。】 先薦牛, 次薦羊, 次薦豕。 【諸大祝助奠。】 奠訖, 啓牲匣蓋, 詣次位捧奠, 竝如上儀訖, 【樂止。】 謁者引薦俎官以下, 降自阼階復位。 諸大祝各取蕭黍稷, 擩 【而反。】 於脂燔於爐炭, 還尊所。 執禮曰: "行初獻禮。" 謁者引初獻官, 詣穆祖位尊所西向立, 【登歌作, 壽安之樂、烈文之舞作。】 執尊者擧羃酌泛齊, 執事者二人以爵受酒。 謁者引初獻官, 詣神位前北向立, 贊跪搢笏, 執〔事〕 者以爵授初獻官, 初獻官執爵獻爵, 以爵授執事者, 奠于神位前。 執事者以副爵授初獻官, 初獻官執爵獻爵, 以爵授執事者, 奠于王后神位前, 謁者贊執笏, 俛伏興少退北向跪。 【若詣北向神位, 卽皆南向跪。 樂止。】 大祝進神位之右, 東向跪讀祝文訖, 【若詣北向神位, 卽皆向西跪讀。 樂作。】 謁者贊俛伏興再拜, 【樂止。】 引詣次位酌獻, 竝如上儀。 【穆祖位歌《純寧之曲》, 翼祖位歌《昭寧之曲》, 度祖位歌《貞明之曲》, 桓祖位歌《威明之曲》, 太祖位歌《昭明之曲》。 曲終, 樂止。】 謁者引初獻官少退當中西向立, 謁者贊再拜, 引降復位。 文舞退武舞進, 【軒架作舒安之樂。】 舞者立定。 【樂止。】


    • 【태백산사고본】 41책 129권 26장 A면【국편영인본】 5책 24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