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28권, 五禮 吉禮序例 冠冕圖 殿下冕服

五禮 / 吉禮序例 / 冠冕圖 / 殿下冕服

◎ 전하의 면복(冕服)

전하(殿下)의 면복(冕服) 【명(明)나라 영락(永樂) 원년에 중국에서 내려 준 제도에 의거하였다. 】

옥규(玉圭), 면(冕)은 오색주 구류(五色珠九旒)이고, 【유(旒)는 각기 9개의 옥으로 되어 있다. 】 청의(靑衣)와 훈상(纁裳)은 구장(九章)인데, 용(龍)·산(山)·화(火)·화충(華蟲)186) ·종이(宗彝)의 오장(五章)은 의(衣)에 그려져 있고, 조(藻)187) ·분미(粉米)·보(黼)·불(黻)의 사장(四章)은 상(裳)에 수놓아 있다. 백사(白紗)의 중단복(中單服)은 보의 옷깃[領]과 청색의 단[緣]으로서 소매가 넓고, 폐슬(蔽膝)은 훈색(纁色)인데, 조·분미·보·불의 사장을 수놓았다. 옥패(玉佩)는 꽃 줄[花線]로 장식하고, 수(綬)는 훈색이며, 홍백색(紅白色)의 대대(大帶), 적색(赤色)의 석(舃), 홍색(紅色)의 말(襪)이다.【송(宋)의 《석전의식(釋奠儀式)》에 이르기를, "그림은 양(陽)의 일이니, 그런 까닭으로 의(衣)에 있고, 수(繡)는 음공(陰功)이니, 그런 까닭으로, 상(裳)에 있다. 불(芾)188) 은 앞에 있고, 패(佩)는 좌우에 설치되고, 인끈[組緩]은 등에 짊어지고, 대대를 또 그 위에 가(加)한다."고 하였다. 】

【그림】

 전하의 규(圭) 전하의 규(圭)

【그림】

 전하의 면(冕) 전하의 면(冕)

【그림】

 전하의 의면(衣面) 전하의 의면(衣面)

【그림】

 전하의 의배(衣背) 전하의 의배(衣背)

【그림】

 전하의 상(裳) 전하의 상(裳)

【그림】

 전하의 대대(大帶) 전하의 대대(大帶)

【그림】

 전하의 중단(中單)의 앞[面] 전하의 중단(中單)의 앞[面]

【그림】

 전하의 중단(中單)의 뒤[背] 전하의 중단(中單)의 뒤[背]

【그림】

 전하의 패(佩) 전하의 패(佩)

【그림】

 전하의 수(綬) 전하의 수(綬)

【그림】

 전하의 폐슬(蔽膝) 전하의 폐슬(蔽膝)

【그림】

 전하의 버선[襪] 전하의 버선[襪]

【그림】

 전하의 신[舃] 전하의 신[舃]

  • 【태백산사고본】 40책 128권 29장 A면【국편영인본】 5책 222면

◎ 殿下冕服 【依永樂元年賜與之制。】

玉圭。冕五色珠九旒, 【旒各九玉。】 靑衣、纁裳九章, 畫龍、山、火、華蟲、宗彝五章在衣繡, 藻、粉米、黼、黻四章在裳。 白紗中單, 黼領靑緣袖襴。 蔽膝纁色、繡藻、粉米、黼、黻四章。 玉佩, 粧花線。 綬纁色, 紅白大帶, 赤舃, 紅襪。 【宋 《釋奠儀》式云: "畫, 陽事也, 故在衣; 繡, 陰功也, 故在裳。 芾當前佩設於左右, 組綬以負之。 大帶又從而加其上。】

【그림】

 圭

【그림】

 冕

【그림】

 衣面 衣面

【그림】

 衣背 衣背

【그림】

 裳

【그림】

 大帶 大帶

【그림】

 中單面 中單面

【그림】

 中單背 中單背

【그림】

 佩

【그림】

 綬

【그림】

 蔽膝 蔽膝

【그림】

 襪

【그림】

 舃

  • 【태백산사고본】 40책 128권 29장 A면【국편영인본】 5책 22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