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실록 128권, 五禮 吉禮序例 樂器圖說 相
五禮 / 吉禮序例 / 樂器圖說 / 相
◎ 상(相)
《악서》에 이르기를,
"옛날에 음악을 만들 적에 오성(五聲)171) 으로써 이를 아름답게 하고, 팔음(八音)172) 으로써 이를 널리 퍼뜨리지 아니한 것이 없었는데, 오성(五聲)은 궁성(宮聲)이 군(君)이 되고, 상성(商聲)이 신(臣)이 되며, 팔음(八音)은 북[鼓]이 군이 되고, 상이 신이 되니, 이것은 상이 북이 되고 그 형상은 비(鼙)173) 와 같으며, 가죽을 입히고 속은 겨[糠]를 넣고 칠판[漆𨁂局]으로써 이를 받쳐 치게 하니, 음악을 보조하는 것이다. 《이아(爾雅)》에, ‘음악을 조화하는 것을 절(節)이라.’ 이르고, 악기(樂器)에 어지러움을 다스릴 적에 상(相)으로써 하게 되니, 그런 까닭으로 제가(諸家)의 악도(樂圖)에는 많이 상(相)으로써 조절로 삼게 된다. 이것은 상이 비록 음악을 보조하지마는 또한 춤을 조절하게 한 까닭이다."
고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40책 128권 22장 B면【국편영인본】 5책 21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