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실록 128권, 五禮 吉禮序例 樂器圖說 旌
五禮 / 吉禮序例 / 樂器圖說 / 旌
◎ 정(旌)
《악서(樂書)》에 이르기를,
"춘추 시대에 송(宋)나라 사람이 상림(桑林)의 춤을 만들어 진후(晉侯)148) 를 접대하였는데, 무사(舞師)가 정하(旌夏)로써 기에 쓰니, 진후(晉侯)가 두려워하면서 물러나 방에 들어가므로, 정을 버리고 접대를 마치었다. 대개 정하(旌夏)는 큰 기[旌]이요, 춤추는 사람이 행렬에 큰 기로써 이를 표지(表識)한 것이다. 대사례(大射禮)149) 에, ‘정을 들 적엔 궁성(宮聲)으로써 알리고, 정을 가로 놓을 적엔 상성(商聲)으로써 알린다. ’는 것이 또한 이런 등류이다. 그러나 무악(武樂)은 성공을 상징하는 것이니, 그런 까닭으로 정으로써 이에 참여하게 한다. 성조(聖朝)150) 의 《태악소용(太樂所用)》의 주(注)에, ‘모(旄) 삼중(三重)은 고둑(高纛)과 같은데, 두 공인(工人)이 좌우에 나누어 서서 무무(武舞)를 인도한다.’ 하였으니, 또한 옛날의 전해 온 제도를 얻은 것이다."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40책 128권 21장 A면【국편영인본】 5책 210면